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7 no.2, 2011년, pp.226 - 237
이병숙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 오익근 (계명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이은미 (계명대학교 관광경영학과)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xperience of health care services by foreign residents in Korea. Method: Participants were 12 foreigners from China, North America, and Japan.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with qualitative content analy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초점집단 면담의 장점은 무엇인가? | 초점집단 면담은 현상에 대한 탐색은 물론,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깊이 있는 전후, 맥락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연구방법으로서 짧은 시간동안 특정 주제에 관한 다량의 잘 조직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질적 연구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방법론이다. 이 방법은 연구목적에 따라 구성된 집단 구성원 간의 활기찬 토론에서 일어나는 공유와 비교를 통해, 연구주제에 대한 탐구와 발견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후 맥락 속에서 연구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Morgan, 1997; Shin et al. | |
귀납적 내용분석은 언제 사용하는 방법인가? | 따라서 이 방법은 본 연구 참여자의 국내 의료서비스에 대한 경험의 기술 및 이해라는 연구목적에 집중된 대화와 토론을 통해 이들의 경험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질적, 혹은 귀납적 내용분석은 탐구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 때 그 현상을 기술하고 이해하며, 나아가 그에 관한 지식을 생성하려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서(Cavanagh, 1997), 최근 의료 및 간호연구에 있어 중요한 접근법으로 사용되고 있다(Elo & Kyngäs, 2008). 이상과 같은 장점을 고려할 때, 초점집단 면담과 질적 내용분석은 외국인의 한국 의료서비스 경험에 대한 지식과 과학적 이해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그 경험의 현상을 발견하고 이해하기 위해 적합한 연구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
초점집단 면담은 무엇을 가능하게 하는가? | 초점집단 면담은 현상에 대한 탐색은 물론,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깊이 있는 전후, 맥락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연구방법으로서 짧은 시간동안 특정 주제에 관한 다량의 잘 조직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질적 연구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방법론이다. 이 방법은 연구목적에 따라 구성된 집단 구성원 간의 활기찬 토론에서 일어나는 공유와 비교를 통해, 연구주제에 대한 탐구와 발견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후 맥락 속에서 연구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Morgan, 1997; Shin et al., 2004). |
Cavanagh, S. (1997). Content analysis: concept, methods and applications. Nurse Researcher, 4(3), 5-16.
Elo, S., & Kyngas, H. (2008).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Graneheim, U. H., & Lundman, B. (2004).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ation Today, 24(2), 105-112.
Grbich, C. (1999). Qualitative research in health: An introduction. London: SAGE Publications.
Hertzman-Miller R, Dawiskiba M., & Frank C. (2010). Immigrants' experience with publicly funded private health insuranc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3(6), 584-590.
Hsieh, H., & Shannon, S. I.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Jang, Y. S., & Shin, C. N. (2005).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t an international clinic of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1(1), 46-54.
Ju, S. M. (1998). The characteristics and medical utilization of migrant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7(2), 164-176.
Kim, A. R. (1996). Evaluation of the health status of migrant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im, S. J., Kim, H. J., Lee, K. J., & Lee, S. O. (1999). Research methodology of focus group. Seoul: Hyunmoonsa.
Kim, J. S. (2004). Survey of services provided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foreign worker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es, 30(1), 24-35.
Koh, C. K., & Koh, S. K. (2009). Married female migrants' experiences of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Education, 15(1), 89-99.
Kong, G. S. (2000). Medical utilization by foreigner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2009). Annual Report on Tourism Trend. Retrieved Jan.19, 2010, from http://www.korea.kr/expdoc/viewDocument.req?id22889&call_fromextlink
Messias, D. K., & Rubio, M. (2004). Immigration and health. Annual Review of Nursing Research, 22(1), 101-134.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09). The present status of foreign citizen of local governments. Retrieved January 20, 2010, from https://naver.nanet.go.kr/dl/CommonView.php?uQ955skOf9aH8IqtuXbmzhAVnjbtDy7Zq0UxUsvqW%2BWxpeNRgGLnn508V7MnOYR6Nd0QDUcaGIGPw7Yl11smJnw%3D%3D
Morgan, D. (1997).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Sage Publication Inc.
Muhn, O. R. (1994). Health systems in developed count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ospital Pharmacy, 11(2), 81-89.
Oxman-Martinez, J., Hanley, J., Lach, L., Khanlou, N., Weerasinghe, S., & Agnew, V. (2005). Intersection of Canadian policy parameters affecting women with precarious immigration status: A baseline for understanding barriers to health. Journal of Immigrant Health, 7(4), 247-258.
Ponce, N., Nordyke, R. J., & Hirota, S. (2005). Uninsured Working Immigrants: A View from a California County. Journal of Immigrant Health, 7(1), 45-53.
Ruppen, W., Bandschapp, O, & Urwyler, A. (2010). Language difficulties in outpatients and their impact on a chronic pain unit in Northwest Switzerland. Swiss Medical Weekly, 140(17-18), 260-264.
Shin, K. L., Jang, Y. J., Kim, Y. K., Lee, K. J., Choi, M. M., & Kim, H. Y.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ocus group. Seoul: Hyunmoonsa.
Shin, H., Song, H., Kim, J., & Probst, J. C. (2005). Insurance, acculturation,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among Korean-Americans. Journal of Immigrant Health, 7(2), 65-74.
Statistics Korea (2009). Annual report on international migration. Retrieved January 20, 2010, from http://cafe.naver.com/multiculturefamil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662
Wang, S. (2009). Comparative study of hospital service quality, loyalty and patient satisfac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Yoon, Y. R. (2003). University hospitals and foreign hospitals when the medical treatment market is opened in Korea: an example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Yeo , S. (2004). Language barriers and access to care. Annual Review of Nursing Research, 22, 59-73.
Yeo, O. S. (2003). A study on the medical service increment for the foreign labor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