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B발파에서 무장약 균열 유도공의 파단면 제어 유효성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uide Holes on the Fracture Plane Control in Smooth Blasting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1 no.3 = no.92, 2011년, pp.235 - 243  

김현수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  김승곤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  송영수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  김광염 (한국건설기술원) ,  조상호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SB발파에서 평활한 최종파단면과 발파손상영역을 제어하고, 동시에 발파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무장약 균열 유도공을 이용한 제어발파기법을 제안하였다. 무장약 균열유도공의 파단면 제어 유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반 SB발파와 무장약 균열 유도공 적용한 SB발파에서 암반 내 발생하는 파괴과정을 수치해석법으로 모사하여 파단면을 분석하였다. 제발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도폭선에 의한 기폭을 고려하였으며, 무장약 균열 유도공을 중심으로 양쪽에 장약공이 설치된 일자유면 발파로 가정하여 암반의 파괴과정해석을 수행하여 SB발파에서 무장약 균열 유도공에 의한 파단면 형성 기구를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간격이 40cm 이하에서 무장약 균열 유도공을 사용한 경우가 낮은 파단면 거칠기를 보여 파단면 제어 효과가 있음을 입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control blast method, which utilizes crack guide holes, is suggested to achieve smooth fracture plane and minimize blast damage zone (BDZ) in smooth blasting.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rack guide holes on the fracture plane control in blasting, fracture process anal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발파하중은 장약 공내에서 등 엔톨피가 팽창하는 것을 가정하여 다음과 같이 JWL상태방정식을 적용하였다(조상호 외 2004).
  • 일반 SB발파는 무장약 균열 유도공 SB발파결과와 비교하기 위함이며, 그림 1과 달리 장약공1과 장약공2 사이의 무장약공을 기폭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기폭순서는 장약공1, 무장약공, 장약공2가된다.
  • 표 2는 공간격의 변화에 따른 기폭초시를 고려한 일반 SB발파와 무장약 균열 유도공SB발파의 해석모델을 나타내고 있다. 장약공간의 기폭초시는 60 ㎲~200 ㎲ 범위로서 도폭선의 폭발속도를 5000 m/sec으로 가정하고 공간격에 따라서 결정되었다.
  • 그림 2는 해석모델의 유한요소망을 보여주고 있으며, 사용된 총 요소수는 61,860개이고 총 절점수는 122,472개이다. 장약공의 공경은 일반 SB발파에서 사용하는 공경인 45 mm을 가정하였으며, 각 장약공의 기폭시차는 도폭선의 폭굉속도와 장약공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최소저항선은 55 cm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장약공의 간격(S)을 15 cm에서 60 cm까지 5 cm 간격으로 변화시켰다.
  • 본 연구에서는 Newmark-β법 동적유한요소해석법과 비선형 파괴역학을 기초로 하여 개발된 동적파괴과정해석(DFPA)코드를 적용하였다(조상호 외, 2004). 터널발파의 최외곽공을 대상으로 장약공 사이에 무장약공을 배열하는 일자유면 발파을 가정하여 해석모델을 작성하였다(그림 1). 그림 2는 해석모델의 유한요소망을 보여주고 있으며, 사용된 총 요소수는 61,860개이고 총 절점수는 122,472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반 터널 발파 시 발생하는 미굴 또는 여굴이 감소되면 어떤 효과가 있는가? SB공법은 주로 암반 터널 발파 시 최외곽부 굴착설계예정선을 따라 원활한 파단면을 형성시키고 주변 암반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파시에 발생하는 미굴 또는 여굴이 감소되면 쇼크리트 및 록볼트 등의 지보재 경감으로 굴착경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최근에는 교통망의 고속화와 직선화로 인한 기존 도로터널의 성형개량 및 확장공사가 증가함에 따라 근접터널 굴착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해저 및 하저터널을 건설하기 위한 계획이 세워지면서 굴착 예정면을 따라 발생하는 여굴이나 미굴을 최소화하면서 발파진동의 제어가 가능한 SB발파공법의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SB공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SB공법은 주로 암반 터널 발파 시 최외곽부 굴착설계예정선을 따라 원활한 파단면을 형성시키고 주변 암반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파시에 발생하는 미굴 또는 여굴이 감소되면 쇼크리트 및 록볼트 등의 지보재 경감으로 굴착경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대구경 무장약공을 적용한 현장 발파 사례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2009)은 터널의 최외곽공열의 장약공 사이에 대구경 무장약공을 배치한 SB발파를 가정한 암반과정해석을 통하여 대구경 무장약공의 파단면 제어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대구경 무장약공을 적용한 현장 발파 사례를 소개하였다. 그러나 대구경무장약공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점보드릴의 비트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현장에서 실무에 적용된 사례는 거의 없다. 이희광 외(2010a, 2010b)는 다양한 형상의 무장약 가이드공의 균열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이아몬드형, 마름모형, 노치형 및 원형 가이드공을 설치한 콘크리트 블록에 대한 발파실험 및 수치실험을 수행하여 가이드 공의 균열제어 유효성을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이희광, 김승곤, 조상호, 2010, 발파에서 가이드공의 균열 제어 유효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한국암반공학회), 20.2, 125-130. 

  2. 이희광, 김학만, 김승곤, 조상호, 2010, 발파에서 가이드공의 균열제어 유효성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한국암반공학회), 20.4, 299-307. 

  3. 조상호, 양형식, 가네꼬 카츠히꼬, 2004, SB발파에서 지발 뇌관의 기폭초시오차가 암반파괴 과정에 미치는 영향, 터널과 지하공간(한국암반공학회), 14.2, 121-132. 

  4. Weibull, W. 1951, A statistical distribution function of wide applicability, J. Apple. Mech 18:253. 

  5. Fukuda, D., K. Kaneko, K. Ishiyama, M. Naitoh and S.H. Cho, 2009, Numerical method for achieving smoothness of fracture plane and minimizing overbreak in Tunnel- Blasting, 2009 Korea-Japan Joint symposium on Rock Engineering, 125-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