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체서포터 착용 이동 시의 운동역학적 분석
Biomechanical Analysis on Locomotion with Lower Extremity Supporter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21 no.2, 2011년, pp.215 - 222  

이경일 (조선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부) ,  홍완기 (조선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  이철갑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use of the lower extremity supporter to ground reaction force(GRF) & EMG in women. Five women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conducted in the study(age: $46.7{\pm}3.5$ yrs, weight: $52.3{\pm}2.2$ kg, lower extremity 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전도 분석은 근육동원 양상 및 최대근파워, 근육질환의 진단 및 임상 의학적 진단을 할 수 있으며, 개인의 근력 및 근피로 등을 과학적으로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Gu, Chae, Kang, Yoon & Jang, 2009). 따라서 쪼그려 앉아 앞으로 움직임에서 나타나는 근활성도와 하체서포터를 이용한 정적인 쪼그려 앉기 근활성도의 비교를 통해 근피로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관점에서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이동성을 고려한 정량적 분석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서 나아가 쪼그려 앉은 자세의 움직임이 근육활동과 지면반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쪼그려 앞으로(fron) 움직임을 하체서포터 높이에 따라 실시하고, 하지 관절에 작용하는 운동역학적 변인과 근육활동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부하를 줄여주기 위하여 개발된 하체서포터 착용 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체서포터 착용이 쪼그려 이동 시 지면 반력과 근육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서 나아가 쪼그려 앉은 자세의 움직임이 근육활동과 지면반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쪼그려 앞으로(fron) 움직임을 하체서포터 높이에 따라 실시하고, 하지 관절에 작용하는 운동역학적 변인과 근육활동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부하를 줄여주기 위하여 개발된 하체서포터 착용 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 그러나 하체서포터 착용 후 이동 동작 시 나타나는 하지관절의 역학적 변인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하체서포터 착용 후 움직임 동작에서 나타나는 운동역학적 변인들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앞으로 이동 시 한발 입각기(stance)에서 발생하는 지면반력은 신체 무게 중심의 변화로 인해 정상보행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의 힘이 무릎관절에 전달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체서포터 착용이 쪼그려 이동 시 지면 반력과 근육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첫째, 하체서포터 착용이 전후지면반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뒤꿈치 닿기(heel contact) 구간에서 나타나는 후측(+)방향 힘은 고정된 경골에 대해 대퇴골의 미끄러짐 (slide) 현상이 나타남으로 인해 지지발의 무릎 전단력을 증가시켜 무릎관절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수직지면 반력은 시상면에서 일어나는 상하 움직임의 차이로 인해 하체서포터의 높이가 높을수록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외측 비복근과 대퇴직근의 근전도치는 하체서포터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슬관절 신전과 족관절 저측굴곡이 증가 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하체서포터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적자세를 오래 유지할 경우 생기는 문제는? 7 N/kg으로 증가하고(Stacey, Rober, Andrea, Rebecca & Urs, 2008), 이러한 자세를 지속적으로 취하는 경우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Reillly & Martens, 1972). 또한 건강한 사람이라도 정적자세를 오래 유지 할 경우에는 근 섬유질에 대한 잘못된 하중 분포로 인해 기능적 결함과 퇴행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McAtamney & Corlett, 1993), 이런 이유로 미국에서는 쪼그려 앉는 자세를 근골격계 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분류하고 있다(NIOSH, 1981).
쪼그려 앉은 자세가 가져오는 문제점은? 이중 쪼그려 앉은 자세는 중량물 취급 작업에 비해 순간적인 인체 역학적 부하는 크지 않지만, 1일 2시간 이상 쪼그려 앉아 일을 하는 경우 2시간 미만 일을 하는 작업들보다 무릎 관절에 2.77배(Kim & Yu, 2005) 높은 부하를 받으며, 150°로 굴곡한 상태에서 형성되는 최고 무릎 압박력(peak tibiofemoral joint contact force)은 49.7 N/kg으로 증가하고(Stacey, Rober, Andrea, Rebecca & Urs, 2008), 이러한 자세를 지속적으로 취하는 경우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Reillly & Martens, 1972). 또한 건강한 사람이라도 정적자세를 오래 유지 할 경우에는 근 섬유질에 대한 잘못된 하중 분포로 인해 기능적 결함과 퇴행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McAtamney & Corlett, 1993), 이런 이유로 미국에서는 쪼그려 앉는 자세를 근골격계 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분류하고 있다(NIOSH, 198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shvin, T., James, C. H., & Shamal, D. D.(2005). Contact stresses in the knee joint in deep flexion. Medical Engineering Physics, 27, 329-335. 

  2. Burgess, R.(2003). Squat, Stoop, or Something in Between.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1(3), 143-148. 

  3. Cannell, L. J., Taunton, J. E., Clement, D. B., Smith, C., & Khan, K. M.(2001). A randomised clinical trial of the efficacy of drop squat or leg extension/leg curl exercises to treat clinically diagnosed jumpers knee in athletes. American Orthopaedic Society Medicine, 35, 60-64. 

  4. Chung, M. K., Lee, I., & Kee, D.(2003). Effect of Stool Height Holding Time on Postural Load of Squatting Postru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2(5), 307-309. 

  5. Cram, J. R., Kasman, G. S., & Holtz, J.(1998). Introduction th surface Electromyography, 2nd ed., An Aspen Publication. 

  6. Doorenbosch, C. A., Harlar, J., Roebroeck, M. E., & Lankhorst.(1994). Two strategies of Transferring from Sit-to-Stand; the activation of Monoarticular and Biarticular Muscles. Journal of Biomechanics, 27(11), 1299-1307. 

  7. Escamilla, R. F.(2001). Knee biomechanics of the dynamic squat exercis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3, 127-141. 

  8. Gu, H. M., Chae, W. S., Kang, N. J., Yoon, C. J., & Jang, J. I.(2009). Comparative Analysis of Muscle Activity and Ground Reaction Force between Skilled and Unskilled Player during a Free Throw. Korean Journal of Sports Biomechanics, 19(2), 347-357. 

  9. Jang, E. J.(2008). The Study on the Lower Extremity Supporter for the Prevention of MS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Dongeui University. 

  10. Jung, H. S., & Jung, H. S.(2005). Evaluation of Proper Height for Squatting Stool and the Engonomic Design of Wearable Stoo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18(3), 288-296. 

  11. Kim, Y, C., & Jang, E. J.(2008). The study used Brog's Scale on the Lower Extremity Supporter. Journal of the KOSOS, 23(5), 105-110. 

  12. Kim, Y. C., & Ryu, Y. S.(2005). Ergonomic Evaluation of The Hazardous Jobs in Squatting Work Posture.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4(1), 37-41. 

  13. Lee, I, S., & Jung, K, M., & Ki, D. H.(2002). Evaluation of Postural load of Varying leg Posture using the Psychophysical Scaling.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1(4), 47-65. 

  14. Li, G., & Buckle, P.(1999). Current Techniques for Assessing Physical Exposure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Risks, With Emphasis on Posture-based Methods, Ergonomics, 42(5), 674-695. 

  15.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1981). Mus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al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er Back, DHHS(NIOSH) Publication No. 97-141. 

  16. Neumann, D. A.(2004).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St. Louis : Mosby. 

  17. Maclntyer, N. J., Hill, N. A., Fellows, R. A., Ellis, R. E., & Wilson, D. R.(2006). Patellofemoral joint kinematics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Journal of Bone of Joint Surgery, 88, 596-605. 

  18. McAtamney., & Corlett, E. N.(1993). R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Applied Ergonomics, 24(3), 91-99. 

  19. Nordander, C., Hansson, G. A., Rylander, L., Asterland, P., Bystrom, J. U., Ohlsson, K., Balogh, I., & Skerfving, S.(2000). Muscular Rest nad Gap Frequency as EMG Measures of Physical Exposure; The Impact of Work Tasks and Individual Related Factors. Ergonomics, 43(11), 1904-1919. 

  20. Myung, S., S.(2006). Dynamics Simulation for Analysis of Human Mo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21. Oh, J. S., & Kwon, O. Y., & Kim, H. S., & Myeong, S. S., & Kim, M. H.(2005). A Comparison of Lower Extremities and Erector Spinae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work Postures during a Weeding with a Short Handle Hoe.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31(4), 13-15. 

  22. Reilly, D. T., & Martens, M.(1972).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Quadriceps Muscle Fore and Patellofemoral Joint Reaction Force and Various Activities. Acta Orthopaedica Scandinavica, 43(2), 126-137. 

  23. Roy, G., Nadeau, S., Gravel, D., Malouin, F., McFadyen, B. J., & Piotte, F.(2006). The effect of footposition and chair height on the asymmetry of vertical forces during sit-to-stand and stand-to-sit tasks in individuals with hemiparesis. Clinical Biomechanics, 21(1), 585-593. 

  24. Shiramizu, K., Vizesi, F., Bruce, W., Herrmann, S., & Walsh, R. W.(2007). Tibiofemoral contact areas snd pressures in six high flexion knees, International Orthopedics, 33(2), 403-406. 

  25. Stacey, M. S., Rober, A. C., Andrea, H., Rebecca, M. L., & Urs, P. W.(2008). Tibiofemoral joint contact force and knee kinematics during squatting. Gait & Posture, 27(3), 276-286. 

  26. Straker, L.(2003). Evidence to Support using Squat, Semisquat and Stoop Techniques to Lift Low-lying Ob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1(3), 149-160. 

  27. Takeo Nagura, Chris, O., Dyrby, Eugune, J., Alexander, Thomas, P., Andriacchi.(2002). Mechanical loads at the knee joint during deep flexion. Journal of Orthopaedic Research, 20(2), 881-886. 

  28. Wall-Scheffler, C. M., Geiger, K., & Steudel-Numbers, K. L.(2007). Infant carrying: the role of increased locomotory costs in early tool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133(2), 841-846. 

  29. Wretenberg, P, Ramsey, D. K., & Gunnar, N,(2002). Tibiofemoral contact points relative to flexion angle measured with MRI. Clinical Biomechanics, 17, 477-4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