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울산 및 경상남도 지역의 지하수 중 norovirus 오염실태 조사
Groundwater Contamination of Noroviruses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Kore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6 = no.134, 2011년, pp.819 - 828  

박병주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  오혜리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  강호영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  장경립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부산, 경남 및 울산 지역의 145 개 지하수 시료들을 대상으로 norovirus의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먼저 norovirus의 검출을 위한 두 세트의 primer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최적 nested reverse transcription (RT)-PCR 조건을 확립하였다. 지하수의 norovirus 오염실태 조사에 의하면, 건기(4월~6월)와 우기(7월~8월)에 각각 21개(25.9%)와 15개(23.4%)의 시료에서 norovirus가 검출되었다. 부산, 울산 및 경상남도의 시료에서 각각 15%, 7% 및 32%의 norovirus가 검출되어 지역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norovirus 양성시료에서 GI과 GII가 각각 5개와 31개가 검출되어GI에 비하여 GII가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norovirus 분리주들의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GI 분리주들은 모두 GI.5 유전자형으로 분류되었으며, GII 분리주들은 GII.3과 GII.4로 양분되었다. norovirus의 검출은 pH, 온도, 산화-환원전위 및 용존산소 등의 이화학적 인자들과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및 대장균과 같은 미생물 수질지표들과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norovirus의 검출과 저탁도(<0.50 NTU)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하수 중 norovirus의 분포실태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수인성 질병의 예방과 국민 보건위생을 위해서는 지하수의 주기적인 norovirus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spect norovirus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in south eastern areas of Korea, a systematic survey of groundwater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was performed for two years from 2009 to 2010. For this purpose, we first optimized the nested reverse transcription-PCR condition by design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B).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I에 속하는 12개의 유전자형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보존적인 영역에서 GII-R1M primer를 대체할 수 있는 GII-R3M을 제작하였다(Table 1). GII-F3M/GII-R3M을 이용하여 nested PCR을 수행한 결과 양성 대조군에서만 GII형의 norovirus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Fig.
  • Norovirus의 검사는 주로 RT-PCR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문헌에 보고되어 유전자형 GII의 검출에 이용되고 있는 primer[21,26]가 본 연구에서는 조건에 따라서 위양성을 나타내거나 특이적인 산물을 생성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I에 속하는 14가지 유전자형들의 capsid 영역서열을 분석하여 보존적인 부분을 표적으로 하는 GII-R3M primer를 새로 제작하여 보다 특이적인 산물을 얻을 수가 있었다. 따라서 이질적인 norovirus의 게놈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서는 primer 제작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 총대장균군은 사람과 동물의 분변에서 발견되지만 물 속이나 토양 등의 환경에서도 널리 분포하는 종속영양 세균으로 수질 기준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지표미생물이다. 먹는 물 수질 기준에서 총대장균군은 음성이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총대장균군 양성과 음성에 따라서 norovirus 검출률을 살펴보았다. 총대장균군이 음성인 118개의 시료에서 norovirus검출률이 28%인 반면, 양성인 27개의 시료에서는 오히려 18%로이 보다 낮았다(Fig.
  • 하지만, 대부분의 norovirus에 대한 연구가 질병발생에 대한 병리학적 및 역학적 관점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질병의 발생원인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orovirus의 오염원들 가운데 하나인 지하수에서 norovirus의 분포실태를 조사하여 질병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최근 학교의 급식시설 등에서 발생하고 있는 norovirus 식중독이 이러한 지하수의 이용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므로[26] 지하수의 norovirus 오염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과 오염 관련 인자와의 상관성 분석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에서 정하는 표준 norovirus 검사법[12]에 근거하여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제작한 지하수 중 norovirus 관리 매뉴얼[21]에 따라서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지하수에 존재하는 norovirus의 분포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norovirus의 지하수 오염을 나타내는 지표인자를 정하고자 norovirus의 검출과 pH, 온도, 산화환원전위, 용존산소 등의 이화학적 인자 및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대장균 등의 생물학적 수질지표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부산, 경남 및 울산 지역의 145 개 지하수 시료들을 대상으로 norovirus의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먼저 norovirus의 검출을 위한 두 세트의 primer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최적 nested reverse transcription (RT)-PCR 조건을 확립하였다. 지하수의 norovirus 오염실태 조사에 의하면, 건기(4월~6월)와 우기(7월~8월)에 각각 21개(25.9%)와 15개(23.4%)의 시료에서 norovirus가 검출되었다. 부산, 울산 및 경상남도의 시료에서 각각 15%, 7% 및 32%의 norovirus가 검출되어 지역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norovirus 양성시료에서 GI과 GII가 각각 5개와 31개가 검출되어GI에 비하여 GII가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norovirus 분리주들의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GI 분리주들은 모두 GI.5 유전자형으로 분류되었으며, GII 분리주들은 GII.3과 GII.4로 양분되었다. norovirus의 검출은 pH, 온도, 산화-환원전위 및 용존산소 등의 이화학적 인자들과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및 대장균과 같은 미생물 수질지표들과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norovirus의 검출과 저탁도(<0.50 NTU)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하수 중 norovirus의 분포실태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수인성 질병의 예방과 국민 보건위생을 위해서는 지하수의 주기적인 norovirus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Norovirus의 명칭은 언제 어디서 최종 확정되었는가? Norovirus는 1972년 미국 오하이오주 Norwalk 지역의 한 초등학교에서 복통과 설사를 주 증상으로 하는 급성 위장관염 환자에서 처음 보고되었다. 이 바이러스는 Caliciviridae과에 속하며[7], Norwalk-like virus (NLV) 혹은 small round-structured virus로 명명되기도 하였으며[2], 2002년에 국제 바이러스 명명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에 의해 norovirus로 최종 명칭이 확정되었다[31]. Norovirus는 크기가 약 27 nm로 외막을 가지지 않는 나출성 바이러스이다[8].
norovirus는 어떻게 감염되는가? 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norovirus에 의한 식중독 사고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norovirus는 다른 수인성 바이러스들처럼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식품 등을 통해 전염되거나 병원이나 학교 등 밀폐된 공간에서 분변-구강 경로를 통하여 감염된다[4,28-30]. 또한 실내활동이 많은 겨울철에 장염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1,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dler, J. L. and R. Zickl. 1969. Winter vomiting disease. J. Infect. Dis.119, 668-673. 

  2. Ando, T., J. S. Noel, and R. L. Fankhauser. 2000. Genetic classification of "Norwalk-like viruses. J. Infect. Dis. 181, 336-348. 

  3. Atmar, R. L. and M. K. Estes. 2001. Diagnosis of noncultivatable gastroenteritis viruses, the human caliciviruses. Clin. Microbiol. Rev. 14, 15-37. 

  4. Atmar, R. L., F. H. Neill, J. L. Romalde, F. Le Guyader, C. M. Woodley, T. G. Metcalf, and M. K. Estes. 1995. Detection of Norwalkvirus and hepatitis A virus in shellfish tissues with the PCR. Appl. Environ. Microbiol. 61, 3014-3018. 

  5. Baert, L., M. Uyttendaele, A. Stals, E. VAN Coillie, K. Dierick, J. Debevere, and N. Botteldoorn. 2009. Reported food borne outbreaks due to noroviruses in Belgium: the link between food and patient investigations in an international context. Epidemiol. Infect. 137, 316-325. 

  6. Bailey, M. S., C. J. Boos, G. Vautier, A. D. Green, H. Appleton, C. I. Gallimore, J. J. Gray, and N. J. Beeching. 2005. Gastroenteritis outbreak in British troops, Iraq. Emerg. Infect. Dis. 11, 1625-1628. 

  7. Berke, T., B. Golding, X. Jiang, D. W. Cubitt, M. Wolfaardt, A. W. Smith, and D. O. Matson. 1997.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caliciviruses. J. Med. Virol. 52, 419-424. 

  8. Bertolotti-Ciarlet, A., L. J. White, R. Chen, B. V. Prasad, and M. K. Estes. 2002. Structural requirements for the assembly of Norwalk virus-like particles. J. Virol. 76, 4044-4055. 

  9. Chung, J. Y., T. H. Han, S. H. Park, S. W. Kim, and E. S. Hwang. 2010. Detection of GII-4/2006b variant and recombinant noroviruses in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South Korea. J. Med. Virol. 82, 146-152. 

  10. Dey, S. K., O. Phathammavong, S. Okitsu, M. Mizuguchi, Y. Ohta, and H. Ushijima. 2010. Seasonal pattern and genotype distribution of norovirus infection in Japan. Pediatr. Infect. Dis. J. 29, 32-34. 

  11. Eaton, A. D., L. S. Clesceri, and A. E. Greenberg.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12. Fout, G. S., B. C. Martinson, M. Moyer, D. R. Dahling, and R. E. Stetler. 1996. ICR microbial laboratory manual.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13. Friedman, D. S., D. Heisey-Grove, F. Argyros, E. Berl, J. Nsubuga, T. Stiles, J. Fontana, R. S. Beard, S. Monroe, M. E. McGrath, H. Sutherby, R. C. Dicker, A. DeMaria, and B. T. Matyas. 2005. An outbreak of norovirus gastroenteritis associated with wedding cakes. Epidemiol. Infect. 133, 1057-1063. 

  14. Glass, R. I., U. D. Parashar, and M. K. Estes. 2009. Norovirus gastroenteritis. N. Engl. J. Med. 361, 1776-1785. 

  15. Green, J., P. A. Wright, C. I. Gallimore, O. Mitchell, P. Morgan-Capner, and D. W. Brown. 1998. The role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with small round structured viruses in a hospital outbreak investigated by reverse-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J. Hosp. Infect. 39, 39-45. 

  16. Green, S. M., P. R. Lambden, E. O. Caul, and I. N. Clarke. 1997. Capsid sequence diversity in small round structured viruses from recent UK outbreaks of gastroenteritis. J. Med. Virol. 52, 14-19. 

  17. Gunson, R. N., J. Miller, and W. F. Carman. 2003. Comparison of real-time PCR and EIA for the detection of outbreaks of acute gastroenteritis caused by norovirus. Commun. Dis. Public Health 6, 297-299. 

  18. Hafliger, D., M. Gilgen, J. Luthy, and P. Hubner. 1997. Seminested RT-PCR systems for small round structured viruses and detection of enteric viruses in seafood. Int. J. Food Microbiol. 37, 27-36. 

  19. Hardy, M. E. 2005. Norovirus protein structure and function. FEMS Microbiol. Lett. 253, 1-8. 

  20. Huh, J. W., W. H. Kim, S. G. Moon, J. B. Lee, and Y. H. Lim. 2009. Viral etiology and incidence associated with acute gastroenteritis in a 5-year survey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J. Clin. Virol. 44, 152-156. 

  21. Jheong, W. H. and Y. H. Kim. 2010. Manual for norovirus management in ground wa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22. Jiang, X., M. Wang, K. Wang, and M. K. Estes. 1993. Sequence and genomic organization of Norwalk virus. Virology 195, 51-61. 

  23. Jiang, X., N. Wilton, W. M. Zhong, T. Farkas, P. W. Huang, E. Barrett, M. Guerrero, G. Ruiz-Palacios, K. Y. Green, J. Green, A. D. Hale, M. K. Estes, L. K. Pickering, and D. O. Matson. 2000. Diagnosis of human caliciviruses by use of enzyme immunoassays. J. Infect. Dis. 181, 349-359. 

  24. Kageyama, T., M. Shinohara, K. Uchida, S. Fukushi, F. B. Hoshino, S. Kojima, R. Takai, T. Oka, N. Takeda, and K. Katayama. 2004. Coexistence of multiple genotypes, including newly identified genotypes, in outbreaks of gastroenteritis due to Norovirus in Japan. J. Clin. Microbiol. 42, 2988-2995. 

  25. Kapikian, A. Z., R. G. Wyatt, R. Dolin, T. S. Thornhill, A. R. Kalica, and R. M. Chanock. 1972. Visualization by immune electron microscopy of a 27-nm particle associated with a cute infectious non bacterial gastroenteritis. J. Virol. 10, 1075-1081. 

  26. Kim, S. H., D. S. Cheon, J. H. Kim, D. H. Lee, W. H. Jheong, Heo, Y. J., H. M. Chung, Y. Jee, and J. S. Lee. 2005. Outbreaks of gastroenteritis that occurred during school excursions in Korea were associated with several waterborne strains of norovirus. J. Clin. Microbiol. 43, 4836-4839. 

  27. Kojima, S., T. Kageyama, S. Fukushi, F. B. Hoshino, M. Shinohara, K. Uchida, K. Natori, N. Takeda, and K. Katayama. 2002. Genogroup-specific PCR primers for detection of Norwalk-like viruses. J. Virol. Methods 100, 107-114. 

  28. Koopmans, M. and E. Duizer. 2004. Foodborne viruses: an emerging problem. Int. J. Food Microbiol. 90, 23-41. 

  29. Lee, C. and S. J. Kim. 2008. The genetic diversity of human noroviruses detected in river water in Korea. Water Res. 42, 4477-4484. 

  30. Maunula, L., I. T. Miettinen, and C. H. von Bonsdorgg. 2005. Norovirus outbreaks from drinking water. Emerg. Infect. Dis. 11, 1716-1721. 

  31. Mayo, M. A. 2002. A summary of taxonomic changes recently approved by ICTV. Arch. Virol. 147, 1655-1663. 

  32. Moe, C. L., J. Gentsch, T. Ando, G. Grohmann, S. S. Monroe, X. Jiang, J. Wang, M. K. Estes, Y. Seto, and C. Humphrey. 1994. Application of PCR to detect Norwalk virus in fecal specimens from outbreaks of gastroenteritis. J. Clin. Microbiol. 32, 642-648. 

  33. Scott, T. M., J. B. Rose, T. M. Jenkins, S. R. Farrah, and J. Lukasik. 2002. Microbial source tracking: current methodology and future directions. Appl. Environ. Microbiol. 68, 5796-5803. 

  34. Zheng, D. P., T. Ando, R. L. Fankhauser, R. S. Beard, R. I. Glass, and S. S. Monroe. 2006. Norovirus classification and proposed strain nomenclature. Virology 346, 312-3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