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영부하 피로에 대한 마늘추출물 및 비타민 B군 강화 급이의 회복 효과
Recovery Effect of Garlic Extract and Vitamin B group Enhanced Diet on Swimming Fatigu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6 = no.134, 2011년, pp.875 - 883  

강민정 ((재)남해마늘연구소) ,  신정혜 ((재)남해마늘연구소) ,  성낙주 ((재)남해마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늘추출물 및 비타민 B군 강화 식이를 4주간 급이한 후 흰쥐에 수영부하 실험으로 스트레스를 가하였을 때, 피로회복 인자와 관련된 흰쥐의 체내 지질성분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혈당은 대조군($193.41{\pm}3.85$ mg/dl)보다 실험식이군이 $152.85{\pm}6.57{\sim}169.93{\pm}8.75$ mg/dl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중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으며 마늘추출물과 비타민 B군 강화 시료를 각각 첨가한 SG군과 SV군 보다는 이들을 혼합 급이한 SGV군에서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혈청 중의 TBARS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17.25%나 증가하였으며 마늘추출물 및 비타민 B군 강화 급이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간조직의 지질 성분 중 총지질은 정상군에 비해 SGV군이 10% 더 낮은 함량이었고, 중성지질은 대조군에 비해 SGV군에서 46% 더 낮게 정량 되었다. 수영부하 스트레스에 의한 간조직 중의 글리코겐 함량은 대조군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SG, SV 및 SGV 군은 정상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추출물과 비타민 B군 강화급이는 혈중 혈당,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또한 수영부하 스트레스로 혈중 및 간장에 다량 생성될 수 있는 지질과산화물 함량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므로 피로회복 및 스트레스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iet supplemented with garlic extract and vitamin B complex on fatigue recovery from swimming load test in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a non-swimming control group (Normal) and swimming load test groups. Swimming load 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탈진 판정 직후까지 극심한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부과하여 체내 변화를 관찰한 연구는 거의 없어 본 연구에서는 섭취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체내 흡수를 촉진할 수 있는 마늘의 가공 형태로 마늘 추출물을 제조하고자 흰쥐에 수영부하로 극심한 육체피로 및 스트레스를 부과하여 마늘추출물 및 마늘과 비타민 B군의 혼합 급이에 따른 피로회복 효능을 확인·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N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의 생리활성은 무엇이 있는가? 과거로부터 육체피로나 스태미나 증진을 위하여 대표적으로 섭취되어 온 마늘은 고대이집트의 벽화 기록물 등에서 이미 그 역사성을 인정받고 있는데[11], 특유의 향미를 가지고 있어 향신료나 의약품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중요한 양념의 하나로 각종 음식에 사용되고 있다[5]. 마늘은 항혈전작용[3], 항암작용[28], 혈압강하작용[13], 콜레스테롤저하 및 노화방지작용[30]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생리활성의 발현에는 allicin 등의 thiosulfinates 화합물이 가장 큰 역할을 하며, 육체적 피로 및 스태미너 증진 효능은 allicin이 비타민 B1과 결합하여 생성되는 allithiamine 의 작용에 기인한다[2]. Allithiamine은 천연의 비타민 B1과 달리 지용성이면서 수동적 확산에 의해 세포 내로 이행하여 곧바로 환원형 glutathione 등에 의하여 원래의 비타민 B1으로 환원되고 세포 내에서 고농도를 유지하는데 이 특이성에 의하여 비타민 B1 보다 장내 흡수, 조직 친화성, 체내 체류성이 좋으며 에너지 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강장작용을 한다[5].
흰쥐에 수영부하 스트레스를 가한 후 혈청 중의 혈당 및 지질함량을 분석한 결과, 보통 흰쥐의 공복 시 혈당보다 수영부하 스트레스를 부가함으로써 혈당이 증가된 이유는 무엇이라 판단되는가? 보통 흰쥐의 공복 시 혈당은 98~152 mg/dl 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15] 본 실험의 결과 수영부하 스트레스를 부가함으로써 혈당이 증가되었다. 이는 수영부하 스트레스로 당신생작용(gluconeogenesis)이 일어나 혈당이 상승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는데, Ahlbrog 등[1]의 보고에 의하면 장시간 중정도의 운동 중간에 방출되는 포도당의 많은 부분이 당신생에 의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당은 분해되는 과정인 해당작용에서 ATP가 생성되려면 NAD+가 필요한데 무산소 운동 시 연속적인 ATP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LDH에 의한 NAD+ 공급이 필요하고 그 결과로 생성된 젖산이 축적되어 피로가 발생하게 된다[24].
근육피로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현대인은 신체 운동이나 노동 및 정신적 요인에 의한 피로 물질의 축척, 신체기능의 저하 및 균형파괴로 인한 만성적인증상 등 다양한 생리현상으로 표출되는 피로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다[27]. 이중 운동이 과하여 나타나는 근육피로는 공통적으로 삶의 질 저하, 신체 각 기능의 감퇴 및 신체적으로 느끼는 자각현상으로 표현된다[28]. 신체의 과도한 근육운동은 다량의 에너지를 소비함으로써 생리기능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대사산물의 축적, 체내 저장물 및 에너지의 감소로 인한 혈액순환과 체온 변화 등의 원인이 되므로 인체는 자기 방어를 위해 소모된 에너지원을 보충하고, 축적된 대사산물의 제거와 신체변화를 빠르게 개선하고자 피로회복을 위한 휴식과 영양보충을 취하게 된다[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lborg, G. P., L. Felig, R. H. Hender, and J. Wahren. 1974. Substrate turnover during prolonged exercise in man: Splanchnic and leg metabolism of glucose, FFA and amino acid. J. Clin. Invest. 53, 1080-1090. 

  2. Altland, P. D. and B. Highman. 1961. Effect of exercise on serum enzyme values and tissues of rat. American J. Physiol. 201, 393-395. 

  3. Ariga, T., S. Oshiha, and T. Tamada. 1981.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 in garlic. Lancet 1, 150-212. 

  4. Azevedo, J., L. Jr, J. K. Linderman, S. L. Lehman, and G. A. Brooks. 1998. Training decreases muscle glycogen turnover during exercise.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78, 479-486. 

  5. Baek, Y. H. 1995. Effect of garlic intake on the antifatigue and fatigue recovery during prolonged exercise. J. Korean Soc. Food Nutr. 24, 970-977. 

  6. Belman, S. 1983. Onion and garlic oils inhibit tumor promotion. Carcinogenesis 4, 1063-1067. 

  7. Chi, M. S., E. T. Kor, and T. J. Stewart. 1982. Effect of garlic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cholesterol or lard. J. Nutr. 122, 241-248. 

  8. Choi, H. M., S. C. Lee, S. P. Ryu, I. K. Rhee, G. J. Joo, and S. J. Rhee. 2001. Effects of gluconic acid derivatives isolated from xylan on anti oxidative defense system and muscle fatigue recovery after aerobic exercise. Korean J. Nutr. 34, 872-880. 

  9. Davies, K. J. A., A. T. Quintaniham, G. A. Brooks, and L. Packer. 1982. Free radical and tissue damage produced by exercise. Biochem. Biophys. Res. Commun. 107, 1198-1205. 

  10. Folch, J., M. Lees, and G. H. Stanley.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2. 

  11. Friedewald, W. T., R. I. Levy, and D. S. Fredrickson.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2. Hassan, I., E. I. Sayad, M. Amoura, A. E. Naga, A. A. Gadallah, and I. H. Bakr. 2010. Protective effect of Allium against defects of hypercholesterolemia on pregnant rats and their offspring. Int. J. Clin. Exp. Med. 3, 152-163. 

  13. Ichikawa, M, J. Yoshida, N. Ide, T. Sasaoka, H. Yamaguchi, and K. Ono. 2006. Tetrahydro- $\beta$ -carboline derivatives in aged garlic extract show antioxidant properties. J. Nutr. 136, 726-731. 

  14. Hikino, H., M. Tohkin, Y. Bukiso, T. Namiki, S. Nishiumurs, and K. Takeyama. 1986. Antihepatotoxin action of Allium Sativum bulbs. Planta Medica 52,163-168. 

  15. Imai, J., N. Ide, S. Nagae, and T. Moriguchi. 1994.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Planta Medica 60, 417-420. 

  16. Jone, B. D., J. H. Kim, and S. Ryu. 2009. Differences of garlic power ingestion and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MDA and SOD in rats. J. Life Sci. 19, 1337-1345. 

  17. Jung, H. S., E. Y. Kim, E. S. Shin, H. S. Lee, E. J. Moon, Z. H. Jin, S. Y. Kim, Y. J. Sohn, and N. W. Shon. 2008. Effects of Rhodiolarosea (KH101) on Anti-fatigue forced swimming rats. Korean J. Orient Int. Med. 29, 922-938. 

  18. Karlsson, J. 1971. Lactate and phosphagen concentrations in working muscle of man. Acta. Physiol. Scand Supple. 1, 358. 

  19. Koo, H. N., J. K. Lee, S. H. Hong, and H. M. Kim. 2004. Herbkines increase physical stamina in mice. Biol. Pharm. Bull. 27, 117-119. 

  20. Lee, H. Y., I. Y. Park, and J. H. Woo. 2005. The effects of pyruvate supplementation on blood fatigue factors and lipid components during prolonged exercise. Korean J. Sport Sci. 16, 18-26. 

  21. Lee, S. J., M. J. Kang, J. H. Shin, J. H. Kim, S. K. Kang, and N. J. Sung. 2009. The effect garlic and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liver function and lipid metabolism of rats administered with alcoh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61-568. 

  22. Lee, S. J., H. Nam, M. M. Kim, H. J. Jang, A. J. Park, B. W. Kim, and K. T. Chung. 2010.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with antioxidant activity on MMP-2 and MMP-9 related to metastasis. J. Life Sci. 20, 760-767. 

  23. Lo, S., J. C. Russel, and W. Taylor. 1970. Determination of glycogen in small tissue. Appl. Physiol. 28, 234-236. 

  24. Moch, S. B., M. H. Woo, H. W. Lee, J. W. Choi, and H. S. Kim 2009. Effects of herbal sports drinks with Omija, Maesil and Molasses on the endurance and energy metabolites of experimental animals. J. Life Sci. 19, 219-227. 

  25. Morihara, N., I. Sumioka, T. Moriguchi, N. Uda, and E. Kyo. 2002. Aged garlic extract enhances production of nitric oxide. Life Sci. 71, 509-517. 

  26. Park, D. I. and I. J. Cho. 1997. The effect of Hwangkikunjungtang and Gamihwangkikunjoongtang on the recovery of exercise induced fatigue. J. Korean Orient. Med. Soc. 18, 155-166. 

  27. Park, S. H., J. S. Kwak, S. J. Park, and J. H. Han. 2004. Effect of beverage including extracts of Artemisia capillaries on fatigue recovery materials, heart rate and serum lipids in university male athle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839-846. 

  28. Park, Y. Y. and D. I. Park. 1998. The effects of samultang and samultang-mixed-kamibulhwan-gumjungkisan on the recovery of exercise induced fatigue. Korean J. Life Sci. 8, 241-248. 

  29. Seo, H. J. 1999. Effect of garlic on the blood lipids and other serum component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39-1348. 

  30. Sharma, K. K., A. L. Sharma, K. K. Dwivedi, and P. K. Sharma. 1976. Effect of raw and boiled garlic on blood cholesterol in butter fat lipasemia. Ind. J. Nutr. Dietet 13, 7-10. 

  31. Uchiyama, M. and M. Mihara. 1978. Determination of malondialdehyde precursor in tissues by TBA test. Anal. Biochem. 86, 271-278. 

  32. Woo, K. S. 2005. Effects of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cs of licorice (Glycyrrhizauralemsis Fish). Chungbuk University, Cheongju, Korea. 

  33. Yagi, K. 1984. Assay for blood plasma or serum. In: Method in enzymology. pp. 328-331. Academic Press, New York 

  34. Yu, Y. Y. and Y. M. Shaw. 1994. Garlic reduces plasma lipids by inhibiting hepatic cholesterol and triacylglycerol synthesis. Lipids 29, 189-193. 

  35. Yoon, G. A. 2006. Effect of garlic supplement and exercise on plasma lipid and antioxidant enzyme system in rats. Korean Nutr. Soc. 39, 3-10. 

  36. Yoon, G. A. 2007. Antioxidant effect of garlic supplement against exercise-induced oxidation stress rats. Korean Nutr. Soc. 40, 701-707. 

  37. Yoon, Y. H. 1993.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serum LDH activity and isoenzyme pattern.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