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image according to coloration, tone, and interval of checked pattern in color contrast.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mulus and response scales. The stimuli were 24 color pictures, in which coloration(R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image according to coloration, tone, and interval of checked pattern in color contrast.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mulus and response scales. The stimuli were 24 color pictures, in which coloration(RB: Red+Blue, YP: Yellow+Purple), tone(light, dull, dark), and interval(0.5 cm, 1.5 cm, 3.5 cm, 5.5 cm) were manipulated. The 7-point scale was used for evaluation of clothing image. Data were obtained from 240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Gwangju, Jinju, and Masan on May 2010. For data analysis, ANOVA and Duncan-test were used by using SPSS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lothing image according to coloration, tone, and interval of checked pattern consisted of five dimensions of attractiveness, freshness, appeal, modesty, and activity. Coloration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attractiveness and appeal. Tone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freshness, appeal, and modesty. Interval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freshness. Also, interaction effects of coloration and tone on appeal were found. Interaction effects of coloration and interval on modesty were f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image according to coloration, tone, and interval of checked pattern in color contrast.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mulus and response scales. The stimuli were 24 color pictures, in which coloration(RB: Red+Blue, YP: Yellow+Purple), tone(light, dull, dark), and interval(0.5 cm, 1.5 cm, 3.5 cm, 5.5 cm) were manipulated. The 7-point scale was used for evaluation of clothing image. Data were obtained from 240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Gwangju, Jinju, and Masan on May 2010. For data analysis, ANOVA and Duncan-test were used by using SPSS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lothing image according to coloration, tone, and interval of checked pattern consisted of five dimensions of attractiveness, freshness, appeal, modesty, and activity. Coloration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attractiveness and appeal. Tone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freshness, appeal, and modesty. Interval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freshness. Also, interaction effects of coloration and tone on appeal were found. Interaction effects of coloration and interval on modesty were foun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상에서 5개의 요인은 매력성, 참신성, 현시성, 정숙성, 활동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요인은 점수가 높을수록 앞쪽에 위치한 형용사의 특성과 그 요인의 성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도출된 5개의 요인은 변수로 설정하여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이 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의복이미지 차원별로 이들 단서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에 따른 의복 이미지 차원을 알아보고,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에 따른 의복이미지 평가에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제안 방법
첫째,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색상, 톤, 간격에 따른 의복이미지 차원을 알아본다.
둘째,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색상, 톤, 간격에 따른 의복이미지 평가에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로 단서들의 영향을 알아본다.
셔츠와 바지는 주로 식서방향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스커트와 넥타이는 사선방향으로 바이어스 재단이 보편적으로 활용되었다[Table 2]. 체크무늬의 유형은 최성이(2003)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스타체크형, 블록형, 그리드형, 다이아몬드형, 조합형으로 분류하였다. 여러 가지 배색과 간격이 조합된 버버리체크나 타탄체크 계열인 조합형은 보편적으로 상품화되고 가장 널리 알려진 체크무늬이지만 조사시점에서 체크무늬의 종류는 수직선과 수평선이 모두 동일한 간격을 지닌 블록형 체크무늬가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Table 3].
총 24개의 자극물(4×4)을 24개의 실험조합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실험조합에 하나의 자극물을 포함시켰다.
체크무늬의 배색은 재질을 다르게 한 단색인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2색, 3색, 4색, 5색, 6색 이상 등으로 배색의 조합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체크무늬의 배색은 모든 색을 한번에 다룰 수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김선미, 정수진, 2008; 문주영, 강경자, 2006)와 의복 및 원단시장의 배색경향을 참고로 빨강과 파랑, 노랑과 보라를 색상대비가 되도록 조합하여 빨강과 파랑을 RB로, 노랑과 보라를 YP로 표기하였다. 이렇게 조합된 배색의 톤은 각각 라이트, 덜, 다크가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체크무늬의 배색은 모든 색을 한번에 다룰 수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김선미, 정수진, 2008; 문주영, 강경자, 2006)와 의복 및 원단시장의 배색경향을 참고로 빨강과 파랑, 노랑과 보라를 색상대비가 되도록 조합하여 빨강과 파랑을 RB로, 노랑과 보라를 YP로 표기하였다. 이렇게 조합된 배색의 톤은 각각 라이트, 덜, 다크가 되도록 하였다. 체크무늬의 배열은 대부분 셔츠에 사용된 체크무늬가 식서방향임을 고려하여 식서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체크무늬의 배열은 대부분 셔츠에 사용된 체크무늬가 식서방향임을 고려하여 식서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체크무늬의 간격은 시장성과 통제변인으로 설정하기가 용이하게 체크무늬를 동일한 간격으로 조작하여 수직선과 수평선의 직각교차가 일정하게 정비례하는 0.5 cm, 1.5 cm, 3.5 cm, 5.5 cm가 되도록 조작하였다.
자극물을 제작하기 위해 photoshopCS3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체크무늬는 시장조사를 근거로 하여 평직으로 된 면직물로 하였다.
체크무늬는 시장조사를 근거로 하여 평직으로 된 면직물로 하였다. 이렇게 제직된 느낌을 부여하기 위해 평직의 조직 1칸을 1 mm로 하여 무늬를 이루는 기본 단위인 모티브를 구성하였다. 선정된 체크무늬의 배색과 간격을 각각 다르게 하여 구성된 모티브를 define pattern으로 저장한 후 시뮬레이션 작업으로 적당한 음영과 깨끗한 이미지로 조작한 셔츠 자극물 위에 레이아웃시켰다.
이렇게 제직된 느낌을 부여하기 위해 평직의 조직 1칸을 1 mm로 하여 무늬를 이루는 기본 단위인 모티브를 구성하였다. 선정된 체크무늬의 배색과 간격을 각각 다르게 하여 구성된 모티브를 define pattern으로 저장한 후 시뮬레이션 작업으로 적당한 음영과 깨끗한 이미지로 조작한 셔츠 자극물 위에 레이아웃시켰다. 다음으로 한국표준색표집에 준하여 색을 수정하여 최종 자극물을 HP Deskjet F735 프린터로 출력하였다.
본 연구는 독립변인인 배색 2가지(RB, YP), 톤 3가지(라이트, 덜, 다크), 간격 4가지(0.5 cm, 1.5 cm, 3.5 cm, 5.5 cm)의 삼원요인설계로 이루어졌다. 총 24개의 자극물(4×4)을 24개의 실험조합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실험조합에 하나의 자극물을 포함시켰다.
예비 조사에서 형용사 3쌍이 탈락하였으며, 최종 요인분석 결과 요인부하치가 낮은 문항과 여러 요인에 걸쳐있는 문항을 제외한 형용사 24쌍이 도출되었다. 자료를 수량화하기 위해 형용사쌍 중간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극단의 긍정적인 형용사에 7점을, 우측 극단의 부정적인 형용사에 1점을 주어 7단계로 평가하였다.
대상 데이터
이렇게 색상대비 배색으로 제한한 체크무늬의 색상과 톤은 연구변인으로 설정하기가 용이하고 시장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그 간격을 동일하게 통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선행연구들(박영희, 2004; 최수경, 2010)에서 의복이미지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시각적인 지각 반응을 남자보다 여자가 더 다양하게 나타낸다고 하여 여자대학생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체크무늬의 색상과 톤, 간격이 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서 소비자 감성에 부합하는 패턴 및 의복디자인 기획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자극물을 선정하기 위해 2009년 8월-10월 사이 서울 D시장, 대구 S시장, 서울 S백화점, 진주 G백화점, 창원 L백화점에서 사진과 샘플 수집 및 자유기술식의 메모로 조사한 결과 총 216장의 자극물이 수집되었고, 결과는 [Table 1, 2, 3, 4, 5]와 같다. 먼저 체크무늬를 가진 의복은 다양한 아이템에서 전개되었으며, 셔츠, 스커트, 바지의 순으로 많은 분포를 보였다[Table 1].
본 연구에 사용된 자극물은 칼라와 커프스가 있는 기본형의 긴소매로, 트렌드를 반영하면서 체크무늬의 시각적 효과를 위해 전체적으로 약간의 여유를 갖는 캐주얼 셔츠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셔츠를 전문가 집단(교수와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준거집단과 제4차 한국표준체위예비조사(2003.
의복이미지 척도는 의복의 무늬와 배색에 관한 선행연구들(김선미, 정수진, 2008; 문주영, 강경자, 2006; 박영희, 2004; 이소라, 김재숙, 2007; 최수경 외, 2009; 최은영, 1995)에서 사용된 형용사 35쌍을 기준으로 하여 전문가 집단(교수와 대학원생)에 의해 체크무늬의 배색과 간격에 따른 의복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형용사 28쌍을 선정하였다. 예비 조사에서 형용사 3쌍이 탈락하였으며, 최종 요인분석 결과 요인부하치가 낮은 문항과 여러 요인에 걸쳐있는 문항을 제외한 형용사 24쌍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과 무관한 계열에서 종종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던 본 연구자와 전문가 집단(교수와 대학원생)의 경험에 의해 전공 관련 집단으로 통제하였으며, 본 연구자의 편의상 서울, 광주, 진주, 마산 지역에서 학교를 다니는 여대생으로 한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피험자는 서울, 광주, 진주 마산 지역에서 학교를 다니는 전공 관련(의류, 미용, 미술, 디자인계열) 여대생 2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과 무관한 계열에서 종종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던 본 연구자와 전문가 집단(교수와 대학원생)의 경험에 의해 전공 관련 집단으로 통제하였으며, 본 연구자의 편의상 서울, 광주, 진주, 마산 지역에서 학교를 다니는 여대생으로 한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피험자는 서울, 광주, 진주 마산 지역에서 학교를 다니는 전공 관련(의류, 미용, 미술, 디자인계열) 여대생 2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데이터처리
도출된 의복이미지의 요인별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으로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0년 5월에 이루어졌고, 자료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에 따른 의복이미지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으로 주성분분석과 Varimax의 직교회전을 사용하였다. 도출된 의복이미지의 요인별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으로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도출된 의복이미지의 요인별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으로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에 따른 의복이미지의 평가에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과 사후검증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체크무늬에 사용된 색상과 톤은 한국표준색표집에 근거하여 사용하였으며, [Table 6]과 같다.
성능/효과
이상에서 의복이미지는 색상, 소재, 스타일 등 다양한 요소의 조합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김선미, 정수진(2008)의 연구를 보면 물방울무늬의 크기와 면적비 변화에 따른 의복이미지를 색상대비로 분석한 결과 현시성 차원에서는 청록/빨강 배색의 청록바탕/빨강물방울이, 노랑/파랑 배색의 노랑물방울/파랑바탕이 효과적이며, 매력성 차원에서는 청록바탕/빨강물방울이, 귀염성 차원에는 색상조합에 따른 이미지 차이가 크게 나타나 노랑/파랑 배색의 물방울무늬가 귀여운 이미지로, 청록/빨강 배색이면 성숙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정숙성 차원에는 면적비가 바탕/물방울로 조합되고 물방울 크기가 너무 크지 않는 경우 정숙하고 안정된 이미지를 주고, 고급성 차원에는 2.6 cm의 크기를 가진 노랑/파랑 배색의 물방울이 면적비에 관계없이 높게 나타나 전체적으로 색상대비 배색의 조합에 따라 원피스드레스의 이미지 차원 별로 차이를 보였다.
이상에서 연구자에 따라 의복스타일은 차이를 보였지만 색상대비를 적용한 배색과 톤은 의복이미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문영보(1992)는 의복 및 얼굴변인에 따른 인상을 연구한 결과 얼굴, 의복스타일, 의복무늬가 지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고, 얼굴보다 의복스타일과 무늬가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의복무늬의 크기와 바탕 간격, 명암에 따라 인상이 다르게 지각되므로 의복 무늬가 인상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주었다.
이상에서 무늬는 종류, 간격, 색과 그 색의 면적비 등에서 의복이미지가 다르게 지각됨을 알 수 있었다.
자극물을 선정하기 위해 2009년 8월-10월 사이 서울 D시장, 대구 S시장, 서울 S백화점, 진주 G백화점, 창원 L백화점에서 사진과 샘플 수집 및 자유기술식의 메모로 조사한 결과 총 216장의 자극물이 수집되었고, 결과는 [Table 1, 2, 3, 4, 5]와 같다. 먼저 체크무늬를 가진 의복은 다양한 아이템에서 전개되었으며, 셔츠, 스커트, 바지의 순으로 많은 분포를 보였다[Table 1]. 체크무늬의 배열을 보면 식서방향, 바이어스 방향, 동일한 체크무늬를 가지고 한 가지 아이템에 배치를 다르게 한 경우, 부분적으로 조합된 경우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식서방향이 활용되고 있었다.
의복이미지 척도는 의복의 무늬와 배색에 관한 선행연구들(김선미, 정수진, 2008; 문주영, 강경자, 2006; 박영희, 2004; 이소라, 김재숙, 2007; 최수경 외, 2009; 최은영, 1995)에서 사용된 형용사 35쌍을 기준으로 하여 전문가 집단(교수와 대학원생)에 의해 체크무늬의 배색과 간격에 따른 의복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형용사 28쌍을 선정하였다. 예비 조사에서 형용사 3쌍이 탈락하였으며, 최종 요인분석 결과 요인부하치가 낮은 문항과 여러 요인에 걸쳐있는 문항을 제외한 형용사 24쌍이 도출되었다. 자료를 수량화하기 위해 형용사쌍 중간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극단의 긍정적인 형용사에 7점을, 우측 극단의 부정적인 형용사에 1점을 주어 7단계로 평가하였다.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에 따른 의복이미지 차원을 요인 분석한 결과 [Table 8]과 같다. 그 결과 아이겐 값 1.0이상으로 하여 24개의 형용사 쌍들이 5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각 요인의 신뢰도 계수는 .
이상에서 5개의 요인은 매력성, 참신성, 현시성, 정숙성, 활동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요인은 점수가 높을수록 앞쪽에 위치한 형용사의 특성과 그 요인의 성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도출된 5개의 요인은 변수로 설정하여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이 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의복이미지 차원별로 이들 단서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독립변인인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은 의복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단서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단서의 영향력은 의복이미지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이미지 요인별로 설명하고자 한다.
주효과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낸 배색을 평균에서 보면 YP보다 RB일 때 더 세련되고 매력있고 보기좋은 이미지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색상대비로 조합된 체크무늬는 그 배색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매력적인 이미지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주효과에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낸 톤을 평균에서 보면 덜과 다크보다 라이트일 때 더 참신한 이미지로 평가되었다.
주효과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낸 간격을 평균에서 보면 3.5 cm > 5.5 cm > 1.5 cm > 0.5 cm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3.5 cm일 때 가장 산뜻하고 동적이고 발랄한 이미지로 지각되었다.
주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낸 톤을 평균에서 보면 라이트>덜>다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라이트일 때 가장 정숙한 이미지로, 다크일 때 가장 정숙하지 않는 이미지로 지각되었다.
현시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배색과 톤의 상호작용효과를 [Fig. 1]에서 보면 RB와 YP 배색은 모두 톤이 다크>덜>라이트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일관된 방향성을 보였다.
주효과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낸 배색의 평균을 보면 YP 보다 RB일 때 더 강렬하고 화려하고 대담한 이미지를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랑과 보라의 배색보다 빨강과 파랑의 배색일 때 더 현시적인 이미지로 지각되었지만 선행연구(문주영, 강경자, 2006)에서는 빨강과 청록의 배색보다 노랑과 남색의 배색일 때 더 현시적인 이미지로 나타나 본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주효과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낸 톤의 평균을 보면 덜과 라이트보다 다크일 때 더 현시적인 이미지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복의 톤이 다크일 때 현시적인 이미지로 지각된다고 한 강경자, 최수경(2005)의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5 cm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대체로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빨강과 파랑으로 조합된 체크무늬 의복은 체크무늬의 간격을 크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노랑과 보라로 조합된 체크무늬 의복은 비교적 체크무늬의 간격을 작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간격이 0.
활동성 요인을 [Table 9]에서 살펴보면 독립변인들은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독립변인인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은 활동적인 이미지를 지각하는 데 영향을 주는 단서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다른 배색방법이나 체크무늬의 배열 및 종류 등을 적용하여 활동적인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는 단서를 밝힐 필요가 있다고 본다.
첫째,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에 따른 의복이미지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서 요인 분석한 결과 매력성, 참신성, 현시성, 정숙성, 활동성의 5가지 요인이 의복이미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에 따른 의복이미지 평가에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변량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은 의복이미지 차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매력성 차원은 독립변인 중 배색만이 주효과에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고, 상호작용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효과에서 배색은 YP보다 RB일 때 더 매력적인 이미지를 나타내어 체크무늬의 배색에 따라 매력적인 이미지는 다르게 지각됨을 알 수 있다.
주효과에서 배색과 톤은 RB이고 다크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색과 톤의 상호작용효과를 보면 톤이 라이트일 때는 배색이 YP에서, 덜과 다크일 때는 BP에서 높게 나타나 톤에 따라 배색은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정숙성 차원은 톤이 주효과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배색과 간격 간에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주효과에서 톤은 라이트일 때 가장 단정하고 차분한 이미지로 지각되었다.
주효과에서 톤은 라이트일 때 가장 단정하고 차분한 이미지로 지각되었다. 배색과 간격의 상호작용효과를 보면 간격이 0.5 cm와 1.5 cm일 때는 RB보다 YP에서, 3.5 cm와 5.5 cm일 때는 YP보다 RB에서 높게 나타나 간격에 따라 배색은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을 내리면 색상대비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은 의복이미지 차원에 따라 유의적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색상대비 체크무늬를 가진 의복인 경우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은 의복이미지를 형성하는 영향 요인이 되고, 각각의 의복이미지는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에 따라 지각되는 정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후속연구
체크무늬는 두 가지 색 이상의 배색을 통해서 조화를 이루는 대표적인 형태로 사용되는 디자인보다 색상이나 톤에 의해 변화를 시도하기가 수월하다고 볼 수 있다. 사용되는 색상이나 톤에 따라 다양한 의복이미지의 표현이 가능하다면 무채색만이 아닌 유채색의 배색도 시각적인 형태로 제시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선행연구들(박영희, 2004; 최수경, 2010)에서 의복이미지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시각적인 지각 반응을 남자보다 여자가 더 다양하게 나타낸다고 하여 여자대학생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체크무늬의 색상과 톤, 간격이 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서 소비자 감성에 부합하는 패턴 및 의복디자인 기획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독립변인인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은 활동적인 이미지를 지각하는 데 영향을 주는 단서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다른 배색방법이나 체크무늬의 배열 및 종류 등을 적용하여 활동적인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는 단서를 밝힐 필요가 있다고 본다.
활동성 차원은 독립변인들이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 체크무늬 의복의 활동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단서를 밝힐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선행연구(최수경, 2010)와 비교해 보면 무채색 체크무늬를 가진 의복이미지는 체크무늬의 간격보다 배색이 두드러진 영향을 미쳤으나 본 연구에서는 의복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체크무늬의 배색, 톤, 간격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이상에서 색상대비 체크무늬 의복은 다양한 이미지 창출이 가능하며, 체크무늬의 여러 가지 요소를 가지고 개인이 원하는 의복이미지에 따라 적재적소에 배치한다면 효과적인 이미지 연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대상자를 여대생으로 한정하여 편의 추출하였고, 자극물 설정을 위한 조사 시기, 체크무늬의 종류와 방향, 배색방법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측정하였기 때문에 체크무늬를 가진 의복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변인으로 채택한 체크무늬의 요소 중 활동성 차원에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나타나지 않아 앞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체크무늬를 활용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대상자를 여대생으로 한정하여 편의 추출하였고, 자극물 설정을 위한 조사 시기, 체크무늬의 종류와 방향, 배색방법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측정하였기 때문에 체크무늬를 가진 의복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변인으로 채택한 체크무늬의 요소 중 활동성 차원에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나타나지 않아 앞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체크무늬를 활용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포함시키지 못한 다양한 배색방법과 무늬의 종류, 인구통계적인 변인을 적용하여 연구한다면 보다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본 연구의 변인으로 채택한 체크무늬의 요소 중 활동성 차원에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나타나지 않아 앞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체크무늬를 활용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포함시키지 못한 다양한 배색방법과 무늬의 종류, 인구통계적인 변인을 적용하여 연구한다면 보다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이미지란 무엇인가?
의복이미지란 의복이 전달해 주는 총체적 느낌으로 이러한 시각적인 이미지는 개인적인 표현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를 객관적인 언어로 평가한 조사결과는 의류마케팅 전략에 사용된다. 의복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주로 의복이미지의 구성 요인과 평가차원 등을 밝히고 이를 의류 상품 전략이나 브랜드 포지셔닝에 응용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져 왔다(김영인 외, 2000).
체크무늬의 특징은 무엇인가?
체크무늬는 복잡하고 장식적인 여러 조직보다 단순하고 평범하지만 그 느낌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인 선의 간격, 색채, 소재, 조직 변화를 효과적으로 적용시키면 흥미롭고 다양한 느낌으로 연출할 수 있다(윤정화, 1999).
김선미, 정수진(2008)에서 의복 이미지를 색상 대비로 분석한 결과 각 차원에 효과적인 색채 배색은 무엇인가?
김선미, 정수진(2008)의 연구를 보면 물방울무늬의 크기와 면적비 변화에 따른 의복이미지를 색상대비로 분석한 결과 현시성 차원에서는 청록/빨강 배색의 청록바탕/빨강물방울이, 노랑/파랑 배색의 노랑물방울/파랑바탕이 효과적이며, 매력성 차원에서는 청록바탕/빨강물방울이, 귀염성 차원에는 색상조합에 따른 이미지 차이가 크게 나타나 노랑/파랑 배색의 물방울무늬가 귀여운 이미지로, 청록/빨강 배색이면 성숙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정숙성 차원에는 면적비가 바탕/물방울로 조합되고 물방울 크기가 너무 크지 않는 경우 정숙하고 안정된 이미지를 주고, 고급성 차원에는 2.6 cm의 크기를 가진 노랑/파랑 배색의 물방울이 면적비에 관계없이 높게 나타나 전체적으로 색상대비 배색의 조합에 따라 원피스드레스의 이미지 차원 별로 차이를 보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