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 아산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 분석 -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을 사례로 -
Analysis of the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of High-Density Residential Zone in Bronze Age around Asan City, Central Korea - A Case Study of Yongdoocheon and Onyangcheon Basin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4 no.3, 2011년, pp.110 - 125  

박지훈 (공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박종철 (공주대학교 지리정보과학연구소)

초록

충남 아산과 온양 근교의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 그리고 천안 백석동에서는 청동기 시대 주거지가 다수 발견되었다. 백석동에는 약 $1.3km^2$에 207기의 주거지가 집중해 있고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에는 $49.2km^2$에 177기의 주거지가 산발적으로 분포해 있다. 이 지역들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는 대부분 구릉지에 입지해 있으며, 구릉지의 지형환경은 일부 지질적 차이를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백석동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이 지역들의 주거지 밀집구역은 정부평탄면과 정부사면, 상부곡벽사면의 사면 미지형과 남동 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면경사는 완경사지가 많이 나타나지만 사면 미지형과 사면방향에 비해 특정 경사면에 편중되는 경향이 적어 주거지 밀집 구역의 특징적인 지형환경으로 규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지형환경 특징은 일부 사례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충청남도 일대의 구릉지에 입지했던 청동기 시대 주거지들의 밀집에 주요한 요인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umber of the Bronze Age dwelling sites have been found and excavated in the Yoodoocheon, Onyangcheon and Baekseokdong basins. Two basins are located near Asan and Onyan in the Chungnam Province of South Korea. Baekseokdong is located in Cheonan, Chungnam. 207 dwelling sites are concentrated aro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면 미지형이 사면경사만을 반영하여 결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파랑성 평야가 지배적인 정부평탄면과 인공지형을 제외하면 사면 미지형 내에서도 여러 개의 사면경사면이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면미지형과 사면경사를 별개의 요인으로 하여 지형특성을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산과 온양 근교를 연구지역으로 하고 청동기 시대 주거지가 밀집한 지역의 지형환경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여러 지역 간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입지 환경의 차이를 밝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그러나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사면 미지형, 사면경사, 사면 방향을 각각 살펴보는 것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전반적인 지형 특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어떤 사면 미지형-사면경사-사면방향을 가진 지형이 가장 많이 분포해 있는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 요소를 모두 중첩시켜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거지 밀집 구역은 상부곡벽사면-경사지-남동사면이 가장 많이 분포해 있으며, 정부사면- 완경사지 또는 경사지-남동 또는 남 사면에 많이 분포해 있었다(표 6).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산과 온양 근교를 연구지역으로 하고 청동기 시대 주거지가 밀집한 지역의 지형환경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여러 지역 간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입지 환경의 차이를 밝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 특색으로 살펴본 3가지는? 본 연구에서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 특색으로 살펴본 것은 사면 미지형과 사면경사, 사면방향이다. 공간 분석에는 ArcGIS를 활용하였다.
원형 탐색반경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때 탐색반경의 크기 또는 시작 지점의 차이에 의한 밀도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거지가 위치한 지점에서는 1의 값을 반영하고 그 위치로부터 원형반경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점차적으로 0에 가까운 값을 반영한다. 원형 탐색반경은 밀도를 계산할 때 탐색반경의 경계부로부터 발생되는 단절현상을 부드럽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50m의 원형 탐색반경을 사용하였으며, 주거지 밀도도의 격자 크기는 3m로 하였다.
충청남도 아산시와 온양시에, 청동기 시대 유적은 어떻게 분포해 있는가? 연구지역은 행정구역 상으로 충청남도 아산시와 온양시에 속한다. 연구지역의 청동기 시대 유적은 곡교천의 지류인 용두천 유역과 온양천 유역의 구릉지에 분포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12개의 청동기 시대 유적지에서 발견된 177기의 주거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표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권중. 2004. 북한강유역 청동기 시대 주거 유형과 중기 설정 시론 - 용암리 유적을 중심으로. 문화사학 22:7-38. 

  2. 김만규, 장동호, 박종철, 김용민, 신종국, 송의정, 심상육. 2006. 유적지 평면도 전산화를 통한 지리정보시스템 개발과 고고학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3(3):21-33. 

  3. 박성우. 2009. 인천지역 청동기 시대 주거지의 현황과 성격. 사림 34:317-352. 

  4. 박종철, 박지훈. 2011. 충남 천안 백석동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3):297-312. 

  5. 박지훈. 2011. 곡교천 유역 청동기 시대 취락의 입지와 환경 복원- 호서지역 청동기인들의 가거지에 대한 지형적 인식에 주목하여-. 가경고고학연구소. 천안. 

  6. 박지훈, 박종철. 2011. GIS분석을 이용한 천안 백석동유적그룹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입지의 최적 지형환경-구릉사면의 미지형별 경사도에 주목하여-. 한국지형학회지 18(1): 1-16. 

  7. 박지훈, 오규진. 2009a. 지리적 관점으로 본 아산 용두천 유역 및 주변지역에 있어서 청동기 시대 주거지의 최적 입지환경.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2):69-82. 

  8. 박지훈, 오규진. 2009b. 지리적 관점으로 본 충남 천안천 유역 및 주변지역에 있어서 청동기 시대 주거지의 최적 입지환경. 한국지형학회지 16(1):67-87. 

  9. 박지훈, 오규진. 2010. 천안 백석동유적그룹 청동기인들의 지형인식과 주거지 입지선택- 구릉사면의 미지형과 청동기 시대 주거지와의 대응관계에 주목하여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4):207-223. 

  10. 박지훈, 장동호. 2009. 충남 아산 근교 구릉지 소유역에 있어서 사면 미지형과 청동기 시대 주거지 분포와의 대응관계. 한국지형학회지 16(2):43-61. 

  11. 오규진, 허의행. 2006. 청동기 시대 주거지 복원 및 실험 - 전기주거지를 중심으로 -. 야외고고학:175-201. 

  12. 이금삼, 조화룡. 2000. DEM을 이용한 한반도 지형의 경사도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1):35-43. 

  13. 이진영, 박준범, 양동윤, 김주용, 홍세선, 정계옥. 2005. GIS 중첩분석을 이용한 요지유적 분포 예측의 시범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4):165-175. 

  14. 이진영. 2006. GIS를 이용한 남한의 고고유적 입지 예측모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9쪽. 

  15. 장용구. 2006. 모바일 GPS/GIS 기술을 이용한 유적 지표조사 시스템 구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91-101. 

  16. 장호식, 서동주, 이현재, 이종출. 2003. GPR을 이용한 매장문화재의 위치해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83-87쪽. 

  17. 충남대학교박물관, 삼성전자. 2001. 아산 테크노콤플렉스 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내 아산명암리 유적. 25쪽. 

  18. 충청문화재연구원. 2008a. 온양-음봉간 지방도 4차로 확.포장공사(제2공구)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약보고서. 20쪽. 

  19. 충청문화재연구원. 2008b. 아산 탕정 제 2일반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 내 I-2지점(가지 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아산 용두리 진터유적-. 28쪽. 

  20. 충청문화재연구원. 2008c. 아산 탕정 제2일반 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내 I-2지점(나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28쪽. 

  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한국지형에 적합한 수치표고모형 구축방안 연구. 1-178쪽. 

  22. 한국고고환경연구소, 대전지방국토관리청. 2008. 아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배방-탕정) 건설공사 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지도위원회의 자료. 14쪽. 

  23. 황상일, 윤순옥. 1998. 대구분지의 자연환경과 선사(先史) 및 고대의 인간생활. 대한지리학회지 33(4):469-486. 

  24. 田村俊和. 1996. 微地形の分類と地形發達達-谷頭部斜面を中心に-, 恩田裕一ほか編 水文地形學-山地の水循環と地形?化の相互作用. 古今書院,. pp.177-189. 

  25. Ciminale, M., H. Becker and D. Gallo. 2007. Integrated technologies for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the Celone Valley project. Archaeological Prospection 14(3B):167-181. 

  26. Craig, N., M. Aldenderfer and H. Moyes. 2006. Multivariate visualization and analysis of photomapped artifact scatter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3(11B):1617-1627. 

  27. Jenks, G.F. 1967. The Data Model Concept in Statistical Mapping, International Yearbook of Cartography 7. pp.186-190. 

  28. Llobera, M. 2001. Building past landscape perception with GIS: understanding topographic prominence.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8(9B):1005-1014. 

  29. Neubauer, W. 2004. GIS in archaeology― the interface between prospection and excavation. Archaeological Prospection 11(3B):159-166. 

  30. Silverman, B.W. 1986.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New York: Chapman and Hall. 76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