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착생에 따른 담쟁이덩굴 흡착근의 부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Adhesive Disks in Parthenocissus tricuspidata during Attachment 원문보기

한국현미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scopy, v.41 no.2, 2011년, pp.139 - 145  

이명희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인선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담쟁이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은 줄기에 형성된 흡착근으로 접촉 물체표면에 부착하여 식물체를 여러 방향으로 자라게 한다. 이들 흡착근은 접촉면에 일단 착생하면 잘 떨어지지 않는 부착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적벽돌 벽면에 담쟁이덩굴 부착 시 수반되는 흡착근과 벽면 간의 구조적 변화와 함유하는 성분 간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어 주사전자현미경과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분석법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담쟁이덩굴의 흡착근은 적벽돌 표면에 강력 착생하여 벽면을 피복하며 거의 모든 방향으로 생장한다. 이들이 벽 표면에 접촉하는 경우, 흡착근 배축면 내부조직에서 분비하는 점액성 물질에 의해 흡착근-접촉면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접촉면 상에 있는 거친 표면이나 간극 또는 미세한 틈 사이로 침적된 분비물질들에 의해 흡착근과 접촉면은 빈틈없이 밀착된다. 강력 착생한 흡착근조직 내 세포들은 이미 사멸되고, 접촉면에 분비된 물질과 뒤엉키며 수축되어 벽면에서 잘 분리되지 않는 강력한 착생구조체로 변형된다. 접촉면에 착생하였던 흡착근을 분리하여 하피 표면부위에 함유된 원소를 분석한 결과, 이들 흡착근조직의 표면부위에서 적벽돌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들이 거의 검출되었다. 이는 착생 전 후 흡착근- 접촉면 사이에서 진행된 물리적인 밀착 및 부착이 구조적 변형과 성분간의 상호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rthenocissus tricuspidata is an epiphyte that lacks a main axial stem, but develops adhesive disks along the stem for climbing support. In this stud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were utilized to examine the brick wall surface and the adhes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광분석 결과 스펙트럼에서 강도가 제일 큰 피크의 위치에서 원소를 파악할 수 있으며, X-선 강도에서 구성원소의 상대적인 양을 분석할 수 있다(Lee, 2002).EDS 연구에서는 적벽돌 벽면과 벽면으로부터 조직이 손상되지 않게 분리된 흡착근의 최외층 표면을 실험 조사하여 각각의 구조에 함유된 성분을 분석하고 이들 부착면-흡착근간의 상호작용 및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담쟁이덩굴의 환경개선 및 벽면녹화 관련 연구와 흡착근에 대한 구조적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수행되어 있으나 이들 흡착근이 부착하는 물체표면과의 상호작용이나 연관성에 초점을 두어 착생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담쟁이덩굴이 가장 많이 접촉하는 벽면 재질인 적벽돌을 대상으로 흡착근 착생의 특성을 SEM 주사전자현미경과 EDS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착생면에 따라 이들 흡착근이 접촉하는 물체표면의 특성과 함유성분을 흡착근 최외층 조직과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 이들 식물체 흡착근의 구조적 특성이나 착생특성, 벽면녹화와 관련된 연구는 위와 같이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부착면 재질에 따른 이들의 흡착 특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 속에서 건축구조물의 벽면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질인 적벽돌 표면에서 생장하는 흡착근을 대상으로 이들의 흡착특성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흡착근이 착생하지 않은 적벽돌면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착생하였던 흡착근과 함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담쟁이덩굴의 특징은? 담쟁이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은 줄기에 형성된 흡착근으로 접촉 물체표면에 부착하여 식물체를 여러 방향으로 자라게 한다. 이들 흡착근은 접촉면에 일단 착생하면 잘 떨어지지 않는 부착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적벽돌 벽면에 담쟁이덩굴 부착 시 수반되는 흡착근과 벽면 간의 구조적 변화와 함유하는 성분 간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어 주사전자현미경과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분석법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담쟁이덩굴의 흡착근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가? 담쟁이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은 줄기에 형성된 흡착근으로 접촉 물체표면에 부착하여 식물체를 여러 방향으로 자라게 한다. 이들 흡착근은 접촉면에 일단 착생하면 잘 떨어지지 않는 부착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적벽돌 벽면에 담쟁이덩굴 부착 시 수반되는 흡착근과 벽면 간의 구조적 변화와 함유하는 성분 간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어 주사전자현미경과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분석법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착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착생(adhesion)은 식물 종에 따라 나무의 수피와 같은 생물체 표면에서 일어나거나 바위 같은 무생물체 표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담쟁이덩굴에서와 같이 일부 착생식물의 경우, 흡착근은 나무와 같은 생물체의 표면은 물론 벽면, 돌담 등의 무생물체의 표면에도 착생을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 DH, Lee J: Building Materials Engineering, Paju, Yeamoonsa, p. 252, 2111. 

  2. Bowling AJ, Vaughn KC: Structural and immunocyt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adhesive tendril of virginia creeper (Parthenocissus quinquefolia [L.] Planch.). Protoplasma 232 : 153-163, 2008. 

  3. Endress AG, Thomson WW: Ultrastructural and cytochemical studies on the developing adhesive disk of Boston ivy tendrils. Protoplasma 88 : 315-331, 1976. 

  4. Endress AG, Thomson WW: Adhesion of the Boston ivy tendril. Can J Bot 55 : 918-924, 1977. 

  5. Gerrath JM, Posluszny U: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development in the Vitaceae. III. Vegetative development in Parthenocissus inserta. Can J Bot 67 : 803-816, 1989. 

  6. Jiang Z: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wall adhesion mechanism of the adhesive discs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and P. Henryana. J Nanjing Agricult Univ 17 : 27-31, 1994. 

  7. Junker 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ndrils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 & Zucc. New Phytol 77 : 741-746, 1976. 

  8. Kim J, Kim IS: Epidermal changes of the adhesive disks during wall attachment in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Kor J Electron Microsc 37 : 83-91, 2007. 

  9. Kim JW: Building Materials and Techniques. Kimoondang, Seoul, p. 190, 2008. 

  10. Kim KY, Nam KK: Architectural Design. Seowoo Publishing Co., Seoul, p. 64, 2001. 

  11. Lee JY: Basic Electron Microscopy. Daeyoung, Seoul, pp. 410-419, 2002. 

  12. Lee KB: 2004. Plant Morphology, Seoul, Life Science, p. 140, 2004. 

  13. Lee PS, Yun PS: Indigenous Botany - Focusing on Wild Flowers. Daesun Publishing, Seoul, pp. 501-502, 2002. 

  14. Lee SN: A study on the awareness of residents on wall planting. Hankyung University MS Thesis, 2005. 

  15. No SM: Growth of vine plants and techniques development for afforestation of the surface of wall. University of Seoul MS Thesis, 2003. 

  16. Park HS: Analysis of the states and planning of facade greenery of buildings in Seoul. Seoul Women's University MS Thesis, 2003. 

  17. Ragni G, Conti GF, Cniti S, Sapelli PL: Parthenocissus tricuspidata: un modele vegetal D'adhesion biologique. Bull Group Int Rech sc Stomat.et Odont 31 : 189-205, 1988. 

  18. Shin SH: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wall greening techniques and law system. Seoul Women University MS Thesis, 2006. 

  19. Steinbrecher T, Kraft O, Speak T, Melzer B, Schwaiger R: Ontogenetic variations in morphology and attachment strength of permanent attachment pads of species of Parthenocissus. 6th Plant Biomechanics Conference-Cayenne, November 16-21 : 444-449, 2009. 

  20. Wilson T, Posluszny U: Complex tendril branching in two species of Parthenocissus: implications for the vitaceous shoot architecture. Can J Bot 81 : 587-597, 2003. 

  21. Xu R, Wang H, Gao C: Application of Parthenocissus to greening high-angle slope. Safety Environ Engineer 16 : 35-37, 2009. 

  22. Yan X, Zhou L: The feasibility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introduction in the side slope vegetation restoration of Yinchuan Express Loop Highway. J Shanxi Agricult Sci 36 : 62-65, 2008. 

  23. Yim J, Kim IS: Morphological and cellular characteristics of aerial roots in the epiphytic American ivy (Parthenocissus sp.). Kor J Electron Microsc 32 : 329-333, 2002. 

  24. Yun JD, Yang CW, Kim J, Lee 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and X-ray Microanalysis. Cheongmungak, Paju, pp. 155-156,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