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도점의 전기적 반응에 대한 교감신경작용과 경락 배열과 실질장기의 불일치는 양도락의 경락 관련성을 배제한다.(위 운동장애형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양도점 H4,5,6의 반응을 중심으로)
Sympathetic Nerve Function to Electrical Response of Ryodoraku Point and Disarrangement of its Meridian Location on the Anatomical Viscera Exclude the Association between Ryodoraku Theory and Meridian Principl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2 no.2, 2011년, pp.259 - 277  

윤상협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wo subjects: the diagnostic value of bilateral lowering of electrical activity at point H4,5,6 of Ryodoraku and the mechanism for Ryodoraku phenomena. Methods : Electrical activities of Ryodoraku test and electrogastrography recorded simul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결과는 양도점 H4,5,6의 양측성 하락이 위 운동성 장애를 진단하는 지표로써 가치가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고, 나카타니가 설명하지 못했던 양도락 이론의 내용을 어느 정도 파악하게끔 했다. 아울러 교감신경작용의 효과가 경락학설을 설명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지도 검토했었던 바, 생물학적으로 양도락 현상을 경락의 작용으로 볼 수 없었음을 인식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그래서 저자는 이것의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자들의 양도락 하락패턴의 생성과 변동을 위 평활근의 활성을 측정하는 위전도에 연계시켜서 이들 사이의 관계를 연속적으로 관찰하였다. 이 추적과정에서 양도락 현상을 교감신경작용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었던 근거를 주제별로 나누었고, 비록 양도락의 현상에 교감신경이 관여되었다 하더라도 이것의 효과가 경락학설을 설명하는데 유익한지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 평활근의 전기적 활성 측정은 어떻게 시행하였는가? 위 평활근의 전기적 활성 측정은 위전도 검사(electrogastrography, EGG)에 의해 이루어졌다. 각 환자에게 검사 전날 22시부터 검사 전까지 금식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오전 8시-11시 사이에 조용 하고 약간 어두운 방에서 검사를 시행하였다. motion artifact를 줄이기 위하여 불필요한 움직임, 말하는 것.
양도락 측정은 무엇인가? 양도락 측정은 수족관절주위의 특정한 부위에 neurometer로 피부통전전류를 측정하여 내장기의 병리적 상태를 진단하는 검사로서 1950년 나카타니에 의해 소개된 후, 현재는 한방의료행위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양도락의 전기적 현상(이하 양도락 현상이라 함)에 대하여 한의학계는 대표 양도점과 경락원혈의 위치적 일치성과 12개 양도락과 경락의 노선의 유사성 때문에 경락의 작용으로 이해하고 있고1,2,서양학자들은 교감신경작용에 의한 Sympathetic Skin Response(SSR)로 생각하고 있다3,4.
양도락의 전기적 현상은 한의학계에선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양도락 측정은 수족관절주위의 특정한 부위에 neurometer로 피부통전전류를 측정하여 내장기의 병리적 상태를 진단하는 검사로서 1950년 나카타니에 의해 소개된 후, 현재는 한방의료행위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양도락의 전기적 현상(이하 양도락 현상이라 함)에 대하여 한의학계는 대표 양도점과 경락원혈의 위치적 일치성과 12개 양도락과 경락의 노선의 유사성 때문에 경락의 작용으로 이해하고 있고1,2,서양학자들은 교감신경작용에 의한 Sympathetic Skin Response(SSR)로 생각하고 있다3,4. 나카타니 자신도 양도락 현상을 설명하면서 이것의 기전으로 장기체표 교감신경 반사(viscero-skin sympathetic nerve reflex)를 제안했었고, 양도락과 경락의 특성은 본질적으로 서로 다르다고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박영배. 양도락의 원리와 임상적 활용. 제3의학(현곡학회지) 1996;1(2):83-94. 

  2. 선재광. 경락이론과 임상적 활용에 관한 연구. 경락진단학회 1998;51-7. 

  3. Sancier KM. Electrodermal measurements for monitoring the effects of a Qigong workshop. J Altern Complemnent Med 2003;9(2):235-41. 

  4. Schmidt J, Sparenberg C, Fraunhofer S, Ziringibl H.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during laparoscopic and needlescopic cholecystectomy. Surg Endosc 2002;16(3):476-80. 

  5. Nakatani Y, Yamashita K. 良導絡 Ryodoraku acupuncture - A guide for the application of Ryodoraku therapy, electrical acupuncture, a new autonomic nerve regulating therapy. Tokyo: Ryodoraku Research Institute; 1977, p. 61-8. 

  6. Weng CS, Hung YL, Shyu LY, Chang YH. A study of electrical conductance of meridian in the obese during weight reduction. Am J Chin Med 2004;32(3):417-25. 

  7. Lee CT, Chang YH, Lin WY, Xu JM, Chen HY, Chou PL, et al. Application of meridian electrical conductance for renal colic: a prospective study. J Altern Complement Med 2010;16(8):861-8. 

  8. Chen JX, Ma SX. Effects of nitric oxide and noradrenergic function on skin electric resistance of acupoints and meridians. J Altern Complement Med 2005;11(3):423-31. 

  9. Ogata H, Matsumoto T, Tsukahara H. Electrical skin resistance changes in meridians during ophthamic surgery with local anesthesia. Am J Chin Med 1983;11(1-4):130-6. 

  10. 김소연, 윤상협, 김윤범, 정승기. 기능성 소화불량증에서 위 운동성 장애 진단을 위한 양도락지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2):401-12. 

  11. 윤상협. 위장질환 환자의 양도락에 대한 경락학설과 자율신경이론의 연관성 연구 (위 운동장 애형 소화불량증과 위궤양 환자의 증례를 대상으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31(4):837-45. 

  12. Yamazaki K, Tajimi T, Okuda K, Niimi Y. Skin potential activity in rats, cat, and primates (including man): a phylogenetic point of view. J Com Physiol Psychol 1975;89(4):364-70. 

  13. 今村伸仁. 良導絡 はもういぃ加減古典と訣別すぺし. 日良自律 1985;30(3):21-5. 

  14. 홍상선, 윤상협, 임중화, 한숙영, 박석규, 김진성, 등. 위마비 환자에 대한 위전도 검사로 한방치료효과를 확인한 치험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2;23(3):519-27. 

  15. 김동엽, 이병철, 한권상, 사공석진, 안현식, 김도현. 24채널의 양도락진단기를 이용한 경락의 우세방향에 따른 자기치료시스템에 관한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2002;39(6):34-43. 

  16. 엄국현, 윤상협, 이준석, 김현경, 이선영, 허원 영, 등. The correlation between deviation indexes of Ryodoraku and acute stres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대한한의학회지 2006;27(4):142-9. 

  17. 김현경, 윤상협, 이준석, 엄국현, 이선령, 김소연, 등.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피로도에 대한 체표 교감신경 활성 및 심혈관 반응의 연계성 (양도락과 맥진검사의 진단적 가치).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2):390-7. 

  18. Soh KS. Bonghan circulatory system as an extension of acupuncture meridians. J Acupunct Meridian Stud 2009;2(2):93-106. 

  19. 성호경 김기환. 생리학. 6판. 서울: 도서출판 의학문화사; 2002, p. 627-8, 637-8. 

  20. Jebbink HJ, Van Berge-Henegouwen GP, Bruijs PP, Akkermans LM, Smout AJ.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and gastrointestinal motility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Eur J Clin Invest 1995;25(6):429-37. 

  21. Hayashi Y, Ikata T, Takai T, Takata S, Sogabe T, Koga K. Time course of recovery from nerve injury in skeletal muscle: energy state and local circulation. J Appl Physiol 1997;82:732-7. 

  22. Reeves TM, Phillips LL, Povlishock JT. Myelinated and unmyelinated axons of corpus callosum differ in vulnerability and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Exp Neurol 2005;196(1):126-37. 

  23. Farrar JT, Ingelefinger FJ. Gastrointestinal motility as revealed by study of abdominal sounds. Gastroenterology 1955;29(5):789-800. 

  24. 김규태, 김동훈, 박영재, 김정국, 박영배. 양도락 연구동향에 관한 문헌 고찰.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5;9(1):69-83. 

  25. Critchley HD. Electrodermal Response: What happens in the brain. Neuroscientist 2002;8(2):132-42. 

  26. Vertrugno R, Liguori R, Cortelli P, Montagna P. Sympathetic skin response: basic mechanism and clinical application. Clin Auto Res 2003;13(4):256-70. 

  27. Koss MC, Davison MA. Characteristics of electrodermal response. Naunyn Schmiedebergs Arch Pharmacol 1976;295(2):153-89. 

  28. Lofstrom JB, Malmqvist LA ,Bengtsson M. Can the "sympatho-galvanic reflex" (skin conductance response) be used to evaluate the extent of sympathetic block in spinal analgesia. Acta Anaesthesiol Scand 1984;28(5):578-82. 

  29. Ray BS, Hinsey JC, Geohegan WA. Observation on the distribution of the sympathetic nerves to the pupil and upper extremity as determined by stimulation of the anterior roots in man. Ann Surg 1994;118:647-55. 

  30. Curt A, Weinhardt C, Dietz V. Significance of sympathetic skin response in the assessment of autonomic failure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J Auto Nerv Syst 1996;61(2):175-80. 

  31. Christensen NJ. The biochemical assessment of sympathoadrenal activity in man. Clin Auton Res 1991;1:167-72. 

  32. Dodt C, Breckling U, Derad I, Fehm HL, Born J. Plasma epinephrine and norepinephnine concentrations of healthy humans associated with nighttime sleep and morning arousal. Hypertension 1997;30:71-6. 

  33. Irlenbuch U, Sterba RB, Sterba M, Thoss F, Drischel H. Essay in the classification of morning and evening types of activity in the light of the daily course of autonomically influenced body functions. Chronobiologia 1985;12:339-49. 

  34. Kumru H, Vidal J, Perez M, Schestatsky P, Valls-Sole J. Sympathetic skin responses evoked by different stimuli modalities in spinal cord injury patient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6):553-8. 

  35. 後藤公哉. 김영설, 박영배 驛. 양도락의 동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9, p. 4-6. 

  36. Riley LH, Richter CP. Uses of the electrical skin resistance method in the study of patients with neck and upper extremity pain. Johns Hopkins Med J 1975;137(2):69-74. 

  37. Yamakat S, Ishikawa M, Saijo M, Fukushima S, Yamanobe K, Masamune O, et al. A diagnostic re-evaluation of electric skin resistance,skin temperature and deeper tenderness in patients with abdominal pain. Tohoku J. Exp. Med 1976;118(suppl):183-9. 

  38. Casale R, La Rovere MT. Increased sympathetic tone in the left arm of patients affected by symtomatic myocardial ischemia. Funct Neurol 1989;4(2):161-3. 

  39. 차채훈, 신윤진, 김진명, 김윤범. 양도락의 반복성 재현성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9;30(1):76-82. 

  40. de Erausquin GA, Pitra JC, Rey RB,Faiman CP,Baratti CM.A novel non-invasive method to measure skin potential respose:some pharmacological evidence. Methods Find Exp Clin Pharmacol 1989;11(12):756-70. 

  41. Girardot MN, Koss MC. A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nalysis of the electrodermal response in the rat. Eur J Pharmacol 1984;17(2):185-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