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요수종의 Allometry와 개체목 흉고단면적 생장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llometry and Individual Basal Area Growth Model for Major Specie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forest science, v.27 no.1, 2011년, pp.47 - 54  

최정기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lometry and basal area equations were developed with various tree measurement variables for the major species; 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in Korea. For allometry models, th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height-DBH, crown width-DBH, height to the w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천연활엽수림의 대표수종인 굴참나무, 신갈나무와 인공침엽수림의 대표수종인 잣나무, 낙엽송을 대상으로 입목측정인자간의 관계를 수종별 allometry 모델로 구축하고, 다양한 입목 및 임분측정인자를 이용하여 수종별 개체목 흉고단면적 생장함수식을 제작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산림는 전국 토의 몇%를 차지하는가? 우리나라 산림은 2009년 말 현재 6,370천 ha로 전국 토의 63.8%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림면적 중 침엽수림이 41.9%, 활엽수림이 26.
합리적인 산림시업관리를 위해서는? 따라서 합리적인 산림시업관리를 위해서는 천연림과 인공림에 따라, 수종에 따라 입목 및 임분의 구조적 특성 및 생장 규명이 우선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Byeon et al., 1996; Oliver and Larson, 1996).
어떠한 이유로 임업선진국에 비해 임업역사가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단목생장에 관한 자료 및 분석이 미흡한 실정인가? , 1996). 그러나 임목의 생장은 시간에 따라 다양한 인자들이 영향을 미치게 되고 생장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분석하기가 쉽지 않아 개체목 생장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현실이다(Avery and Burkhart, 2002; Lee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very, T.E. and H.E. Burkhart. 2002. Forest Measurements. 5th. ed. McGraw-Hill. New York. 

  2. Belcher, D.W., Holdaway, M.R. and G.J. Brand. 1982. A description of STEMS-the stand and tree evaluation and modeling system. Gen. Tech. Rep. NC-79, USDA Forest Service, St. Paul, MN. 18pp. 

  3. Byeon, W.H., Lee, W.K. and S.W. Bae. 1996. Forest Growth. Rycheonmedia. 

  4. Choi, J., Lorimer, C.G., Vanderwerker, J.M., Cole, W.G. and G.L. Martin. 2001. A crown model for simulating long-term stand and gap dynamics in northern hardwood forest. Forest Ecology Management. 152: 235-258. 

  5. Choi, J.K. and B.O. Yoo. 2006. Diameter Growth Characteristics of Quercus monolica and Quercus variabili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Jour. Korean For. Soc. Vol. 95(1): 131-138. 

  6. Choi, J.K., Lorimer, C.G. and J.M. Vanderwerker. 2007a. A Simulation of the development and restoration of old-growth structural features in northern hardwood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49: 204-220. 

  7. Choi, J.K., You, B.O. and H.E. Burkhart. 2007b. Allometry, Basal Area Growth, and Volume Equations for Quercus monolica and Quercus variabilis in Gangwon Province of Korea. Jour. Korean For. Soc. Vol. 96(2): 189-196. 

  8. Cole, W.G. and C.G. Lorimer. 1994. Predicting tree growth from crown variables in managed northern hardwood stands. Forest Ecology Management. 67: 159-175. 

  9. Korea Forest Service. 2010.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491pp.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Climate characteristics by region in Korea. Available online at www.kma.go.kr/weather/climate. 

  11. Lee, W.K., Gadow, K.v., Chung, D.J., Lee, J.K. and M.Y. Shin. 2004. DBH growth model for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mixed forests in central Korea. Ecological Modelling. 176: 187-200. 

  12. Oliver, C.D. and B.C. Larson. 1996. Forest Stand Dynamics, second ed. Wiley, New York. 

  13. Shin, J, W. (2011) Diameter growth model for major tree species using tree ring information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M.Sc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isty, Chuncheon, Korea. 

  14. Shin, M.Y., Lim, J.S. and D.K. Lee. 2002. Environment-Friendly Forest Management Methods by Using Stand Structure and Competition Status by Site Types for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Jour. Korean For. Soc. Vol. 91(6): 722-732. 

  15. Smith, D.M., Larson, B.C., Kelty, M.J. and P.M.S. Ashton. 1997. The practice of silviculture. 9th ed. Wiley & Sons, New York. 

  16. West, P.W. 1980. Use of diameter increment and basal area increment in tree growth studies. Can. J. For. Res. 10: 71-77. 

  17. Yoo, B, O. (2004) Development of Forest Silviculture Model using Computer Simulation. M.Sc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isty, Chuncheon, Korea 103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