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발국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의 동력: 한국의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 사례연구
The Socio-technical Constituency behind New & Renewable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in a Latecomer: The Case study of New & Renewable Technology Program of Korea 원문보기

에너지공학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20 no.4 = no.68, 2011년, pp.267 - 277  

임홍탁 (제주대학교 원자력과학기술연구소) ,  김신 (제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초록

후발국에서의 신재생에너지기술의 개발은 어떤 힘에 의해서 추동될까? 후발국의 '녹색 성장'은 '녹색'의 가치 실현을 위해서 추동되는가 아니면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새로운 분야의 개척인가? 본 연구는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사업 사례 분석을 통해 후발국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의 동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환경문제와 기술개발, 기술개발과 '사회기술연맹' 그리고 후발국 '권위주의적 발전국가론'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통해 기술 개발의 동력은 사회기술연맹의 구성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연구의 틀을 구성하였고 이를 토대로 선발국 덴마크와 독일의 사례를 분석한 후 한국의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한국은 선진국과는 다르게 산업계와 정부 주도의 성장동맹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이 추진되었고 환경시민단체는 정부의 시민단체 국정 참여 정책에 힘입어 신재생에너지정책협의회에 참여함으로써 사회기술연맹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사회기술연맹은 '녹색'의 가치 실현보다는 '성장'중심이라는 한계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looks at the development of new & renewable technology in a latecomer country, Korea. The main question is whether the development is driven by 'green demand' from the people or by the 'growth demand' from the industry. It also ask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ocio-technical constit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다면, 후발국에서의 신재생에너지기술의 개발은 어떤 힘에 의해서 추동될까?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된 보다 나은 환경을 원하는 국민들의 요구에 의해서 인가, 아니면 신재생에너지기술이 갖고 있는 ‘신성장동력’이라는 사업 가능성에 의해서 인가? 소위 말하는 ‘녹색 성장’은 ‘녹색’의 가치 실현을 위해서 추동되는가 아니면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새로운 분야의 개척인가? 정부, 산업계, 그리고 환경단체들은 어떤 역할을 했으며 선진국과 그 등장에 있어 다른 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대답을 한국의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 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후발국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의 동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사례를 통해 후발국의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이 무엇에 의해서 추동되는가를 살펴보았다. 환경의 질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에 의한 것인지, 혹은 새로운 사업기회를 찾으려는 기업의 요구에 의한 것인지, 또는 국가의 결정에 따른 것인지를 알아보고 이것을 둘러싼 사회기술연맹(Socio-technical Constituency)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 후발국의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의 동학(Dynamics)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은 한국의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이 무엇에 의해서 추동되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산업계, 시민사회, 그리고 정부를 아우르는 사회 기술연맹이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그 연맹의 주도세력은 누구였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 특히, 연료전지는 정부의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하나로 선정되어 범정부 차원의 계획아래 그 개발이 추진되었다 [30]. 성장을 목적으로 한 정부와 산업계의 성장동맹이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핵심 질문과 연구방법론을 소개한 후, 연구의 결과로서 먼저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을 둘러싼 선진국의 정부, 산업계 그리고 시민사회의 역할을 알아보고 한국의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 사례를 분석한다.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후발국 신재생에너기술개발을 둘러싼 사회기술연맹의 형성과 그 시사점을 알아본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사례를 통해 후발국의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이 무엇에 의해서 추동되는가를 살펴보았다. 환경의 질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에 의한 것인지, 혹은 새로운 사업기회를 찾으려는 기업의 요구에 의한 것인지, 또는 국가의 결정에 따른 것인지를 알아보고 이것을 둘러싼 사회기술연맹(Socio-technical Constituency)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 후발국의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의 동학(Dynamics)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문제 해결을 3가지 기술적 측면에서 접근하자면? 인간의 활동이란 여러 가지 자연 자원의 전환 활동이라 할 수 있으므로 환경문제 해결은 크게 3가지 기술적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첫째는 원료를 바꾸는 것이고, 둘째는 생산과정을 바꾸는 것이고, 셋째는 생산 후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지구온난화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첫째 방식은, 태양광,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또는 원자력 에너지와 같이 화석연료와는 다른 에너지로 에너지원을 바꾸는 것이다. 둘째 방식은 효율이 높은 공정으로 개선하거나 교체하는 방식이며 에너지효율이 높은 자동차, 가전기구 등이 그 예라 하겠다. 셋째는 탄소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장치와 같이 생산활동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흡착, 따로 처리함으로써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이는 방식이다. 이렇게 크게 3가지 측면, input, process, end-of-pipe의 각각의 단계에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적 접근을 할 수 있으며 이것은 곧 3가지 차원에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새로운 기술은 어떤 단계를 거쳐 사회에 뿌리를 내리게 되는가? 에디슨이 발명한 전구가 널리 쓰일 수 있었던 것은 전구 뿐 아니라 발전, 송전, 소비, 측정기술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력기술 시스템의 구성에 의해서 가능했으며 이는 또한 전력 회사, 전력기기 제조업체, 전기 이용법규 등의 새로운 사회제도의 등장과 맞물려 있음을 그는 역사적 분석을 통해 밝히고 있다. 새로운 기술은 탄생 → 확산 →경쟁과 성장 → Momentum의 획득 → 공고화의 단계를 거쳐 사회에 뿌리를 내리게 되며 특히, 기존 기술 혹은 다른 종류의 기술과의 경쟁을 이겨내고 Momentum 을 획득하는 것은 기술자체의 우수성 외에도 사회구성원들과 조직의 힘에 의해서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사회적 과정의 결과물이기도 하므로 새로운 ‘기술시스템’의 구성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환경문제는 언제 발생한다고 정의할 수 있는가? 환경문제는 근본적으로 인간 활동의 결과물이 자연이 갖고 있는 자연정화능력(Carrying Capacity)를 벗어날 때 발생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는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온난화 가스(Green House Gases: GHGs)가 자연 내에서 순환될 수 있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이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Unruh, G. C. Understanding carbon lock-in. Energy Policy, 2000 28, 817-830. 

  2. OECD/NEA, Renewable Energy: Market Policy Trends in IEA Countries, 2004, Paris, OECD. 

  3. Weart, S. The Discovery of Global Warming, Cambridge &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4. Turner, R.K., D. Pearce and I. Bateman , Environmental Economics, 1994, Hertfordshire: Harvester Wheatsheaf. 

  5. Nelson, R. R. The simple economics of basic scientific researc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959, 67, 148-163. 

  6. Callon, M. Is Science a Public Good?. Science, Technology and Human Values, 1994, 19, 395-424. 

  7. Porter, M.E.; van der Linde, C.. Towards a new conception of the environment-competitiveness relationship,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 1995, 9(4), 97-118. 

  8. Jaffe, A.B.; Newell, R.G.; Stavins, R.G.. Environmental policy and technological change,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2002, 22, 41-69. 

  9. Beise, M.; Rennings, K.. Lead Markets and regulation: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international diffusion of environmental innovations, Ecological Economics, 2005, 52, 5-17. 

  10. Hughes, T.. The Evolution of Large Technological System. IN BIJKER, HUGHES and PINCH (Eds.)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1987, Cambridge and London, MIT Press. 

  11. Arthur, W.B.. Competing technologies: an overview, IN DOSI, FREEMAN, NELSON, SILVERBERG & SOETE (Eds.) Technical change and Economic Theory, 1998, London, Pinter. 

  12. Cowan, Robin. Nuclear Power Reactors: A Study of Technological Lock-In, Journal of Economic History, 1990, 50, 541-566. 

  13. Molina, A.H.. Understanding the emergence of a largescale European initiative in technology, Science and Public Policy, 1994, 21(1), 31-41. 

  14. Gerschenkron, A.. Economic Backwardness in Historical Perspective, 1962, Cambridge, Havard University Press. 

  15. Amsden, A.. Asia'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198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6. Wade, R.. Governing the Market: Economic Theory and the Role of Government in East Asian Industrialization, 1991,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Chang, H.-J.. The Political Economy of Industrial Policy.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1994, 17, 131-157. 

  18. Kim, K.-D.. Confucianism and Capitalist Development in East Asia. IN SKLAIR, L. (Ed.) Capitalism and Development,. 1994,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 Vivek, C.. Building a Developmental State: The Korean Case reconsidered. Politics Society, 1999, 27, 309-346. 

  20. Vivek, C.. The Politics of a Miracle: Class Interests and State Power in Korean Developmentalism. IN COATES, D. (Ed.) Varieties of Capitalism, Varieties of Approaches. 2005,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21. Karnoe, P..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dustrial Organisation in the Danish wind industry.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1990, 2, 105-123. 

  22. Jorgensen, U. & Karnoe, P.. The Danish Wind-Turbine Story: Technical Solution to Political Vision? IN RIP, A., MISA, T. J. & SCHOT, J. (Eds.) Managing Technology in Society. 1995, London and New York, Pinter publishers. 

  23. Bergek, A. & Jacobsson, S.. The Emergence of a Growth Industr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erman, Dutch and Swedish wind turbine industries. IN METCALFE, J. S. & CANTNER, U. (Eds.) Change,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2003, Heidelberg, New York, Physica-Verlag. 

  24. Jacobsson, S. & Bergek, A.. Transforming the energy sector: the evolu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in renewable energy technology.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2004, 13, 815-849. 

  25. Jacobsson, S., Sanden, B. A. & Bangens, L.. Transforming the Energy System - the Evolution of the German Technological System for Solar Cells.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2004, 16, 3-30. 

  26. 지식경제부, 신재생에너지정책위원회 위원명단, 2009, 한국공공정보공개시스템. 

  27. 산업자원부 고시 2002-108. 

  28. 산업자원부, 제2차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이용.보급 10개년계획(2003-2012), 2003, 산업자원부. 

  29.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타 신재생 에너지기술개발사업 보고서 2006, 2007, 과천, 신재생에너지센타. 

  30. 재정경제부 외, '차세대 성장동력 추진계획', 2003, 재정경제부 외. 

  31. 성지은 과학기술정책결정구조의 변화: 참여정부 과학기술행정체계개편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2006, 44권 1호, 243-244. 

  32. 지식경제부, 지식경제부 공고 2008-296,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