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배양 유래 자생나리 소인경의 온탕 및 저온처리가 맹아 및 비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ot Water and Chilling Treatments of Bulblets Propagated by Tissue Culture on Sprouting and Bulb Development in Korean Native Lilie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9 no.2, 2011년, pp.87 - 94  

김민희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원예생명과학과) ,  임영희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원예생명과학과) ,  오욱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원예생명과학과) ,  윤해근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원예생명과학과) ,  김규원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원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관상가치가 높은 5종의 자생나리에 있어서 조직배양을 통해 획득한 소인경의 휴면타파 및 비대를 위한 저온 및 온탕처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솔나리(L. cernuum), 섬말나리(L. hansonii), 민섬말나리(L. hansonii for. mutatum), 중나리(L. leichtlinii), 하늘말나리(L. tsingtauense)의 소인경을 $4^{\circ}C$에서 0, 4, 8주 저온처리하거나 $35^{\circ}C$의 증류수 또는 $100mg{\cdot}L^{-1}$$GA_3$$GA_{4+7}$ 용액으로 2시간 온탕처리를 하였는데, 저온과 온탕처리는 처리의 선후를 달리하면서 순차적으로 처리한 후 $20^{\circ}C$의 유리온실에서 맹아 및 비대 양상을 조사하였다. 자생나리 5종 모두 기내 소인경은 모두 휴면에 돌입하여 저온 또는 온탕처리 없이는 맹아하지 않았다. 휴면타파를 위한 온탕처리에는 5종 모두 $GA_{4+7}$이 55-96%까지 맹아를 유도한 반면, 증류수나 $GA_3$ 용액은 거의 효과가 없었다. 솔나리와 중나리는 4주간의 저온처리만으로도 50-70%의 맹아를 유도한 반면, 섬말나리, 민섬말나리의 맹아에는 8주간의 저온처리가 필요했다. 온탕과 저온의 연속처리는 맹아 유도에 상승효과를 주었는데, 솔나리와 섬말나리에서 $GA_{4+7}$ 온탕처리 후 4주 저온처리한 것이 역순의 처리보다 맹아를 35-45% 촉진시켰으며, 맹아소요일수도 3-9일까지 앞당겼다. 구근의 비대는 맹아가 촉진된 처리구에서 증가된 경향이었다. 신초는 솔나리에서만 출현하였는데, $GA_{4+7}$ 온탕처리와 저온처리에서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GA_{4+7}$ 온탕처리 후 저온 8주 처리에서 신초 출현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맹아 및 인경비대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휴면타파법은 섬말나리, 민섬말나리와 중나리의 경우에는 $GA_{4+7}$온탕처리 후 4주 저온처리였고, 솔나리와 하늘말나리에서는 $GA_{4+7}$ 온탕처리 후 8주 저온처리구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t solution soaking and chilling treatment on sprouting and enlargement of bulblets obtained through in vitro culture in Korean native lilies with ornamental values. In vitro bulblets of Lilium cernuum, L. hansonii, L. hansonii for. mutatu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원예용 잡종 나리에서는 휴면 타파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었지만, 자생나리의 경우는 부분적인 연구만 진행되고 있어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상가치가 높은 5종의 자생나리에 있어서 조직배양을 통해 획득한 소인경의 휴면타파 및 비대를 위한 저온 및 온탕처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처리에 의한 나리 구근의 휴면타파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GA처리에 의한 나리 구근의 휴면타파는 그 반응이 나리의 종류에 따라 달랐다. 오리엔탈나리는 GA3(Kim et al., 1998) 가, 나팔나리는 GA4+7(Lin et al., 1975) 또는 GA3(Stimart et al., 1982)가, 아시아틱나리는 GA4(Takayama et al., 1993) 가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생나리 5종의 기내 소인경 휴면타파에는 GA4+7 온탕처리는 매우 효과적이었지만, GA3 효과는 거의 없었다. 자생나리의 절별 반응 특성을 보면, Martagon절에 속하는 섬말나리와 민섬말나리의 온탕 및 저온처리에 대한 맹아반응의 경향이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사하였고, Sinomartagon절에 속하는 솔나리와 중나리도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나리의 휴면기간의 특징은? 나리의 휴면기간은 비교적 긴 편으로 휴면의 시작은 저장 기관이 형성된 직후이며 줄기나 잎과 같은 영양기관이 생장할 때까지 계속된다(Kamerbeek et al., 1972).
휴면 정도는 어디에 영향을 받는가? , 1996). 휴면 정도는 나리의 종류나 품종에 따라 다양하며(Kim and De Hertogh, 1997), 배양 온도, 당의 함량, 배양기간 등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Isablle et al., 1990; Takayama and Misawa, 198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S.T. 1983. Effects of low temperature and hot water treatment to the dormant bulbs on the leaf emergences of bulblets during scale propagation of Easter lily (Lilium longiflorum Thunb.). J. Kor. Soc. Hort. Sci. 24:42-48. 

  2. Choi, S.T. 1998. Cut-flower production of bulbous plants. Kor. J. Hort. Ind. Sci. 2:63-74. 

  3. Higgins, W.S. and D.P. Stimart. 1990. Influence of in vitro generation temperature and post-in vitro cold storage duration on growth response of Lilium longiflorum bulblets. J. Amer. Soc. Hort. Sci. 115:930-933. 

  4. Isabelle, D., P. Annie, and G.J. Klerk. 1990. The development of dormancy in bulblet of Lilium speciosm generated in vitro. II. The effect of temperature. Physiol. Plant 80:431-436. 

  5. Kamerbeek, G.A., T.C.M. Beijersbergen, and P.K. Schenk. 1972. Dormancy in bulbs and corms. Proc. 18th Int. Hort. Congr. 5:233-239. 

  6. Kim, J.Y., S.T. Choi, M.S. Roh, and T.S. Ko. 1996. Production and detection of virus-free lily plants by shoot tip culture and virazole treatment of bulbils. J. Kor. Soc. Hort. Sci. 37:64-69. 

  7. Kim, K.S. 1991.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temperature and sucrose on the dormancy in Lillium speciosum bulblets cultured in vitro. Kor. J. Plant Tissue Culture 18:103-111. 

  8. Kim, K.W. 1999. Control and manipulation of dormancy in Lilium bulblets regenerated in vitro. Proceedings of the First Joint Symposium between Hokkaido Univ. and Yeungnam Univ., Yeungnam Univ. Press, Korea p. 136-142. 

  9. Kim, K.W. and A.A. De Hertogh. 1997. Tissue culture of ornamental flowering bulbs (geophytes). Hort. Rev. 18:87-169. 

  10. Kim, K.W., J.S. Kim, E.Y. Kim, J.D. Choi, and K.I. Park. 1998.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dormant status of in vitro regenerated Lilium Oriental Hybrid bulblets. J. Kor. Soc. Hort. Sci. 39:641-646. 

  11. Kim, K.W., K.A. Kim, and M.S. Byun. 1999. Physiological changes before and after breaking dormancy of Lilium hansonii bulblets regenerated in vitro. J. Kor. Soc. Hort. Sci. 40:751-754. 

  12. Kim, K.W., S.Y. Moon, and S.J. Eum. 2003. Shortening dormancy breaking period by $GA_{4+7}$ addition in hot-water treatment of Korea native Lilium bulblets regenerated in vitro. J. Kor. Soc. Hort. Sci. 44:744-747. 

  13. Kim, K.W., J.H. Shin, J.D. Choi, and J.A Kim. 2002. Difference between species of shoot emergence ability from lily bulblets regenerated in vitro. J. Kor. Soc. Hort. Sci. 43:226-230. 

  14. Lighty, R.W. 1969. The lilies of Korea. The Lily Year Book, Royal Hort. Soc., London. 

  15. Lin, W.C., H.F. Willins, and M. Angell. 1975. Exogenous gibberellins and abscisic acid effects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Lillium longiflorum. J. Amer. Soc. Hort. Sci. 100:9-16. 

  16. Matsuo, E. and K. Arisumi. 1979. Differences in chilling effects in shoot emergence from the bulb and on leaf emergence from the scale bulblet in Lilium longiflorum Thunb. HortScience 14:68-69. 

  17. Matsuo, E., K. Arisumi, and H. Kawashima. 1982. Cultural practices influencing premature daughter leaf and/or shoot emergence in scale-propagated Easter lily. HortScience 17:196-198. 

  18. Niimi, Y., Y. Endo, and E. Arisaka. 1988. Effect of chilling and $GA_{3}$ treatments on breaking dormancy in Lilium rubellum Baker bulblets cultures in vitro. J. Jpn. Soc. Hort. Sci. 57: 250-257. 

  19. Park, K.I., J.D. Choi, M.S. Byun, J.J. Choi, K.H. Kwon, and K.W. Kim. 2000. Introduction and proliferation of callus in Liliium Oriental Hybrids in vitro. J. Kor. Soc. Hort. Sci. 41:297-300. 

  20. Stimart, D.P. and P.D. Ascher. 1981. Foliar emergence from bulblets of Lilium longiflorum Thunb. as related to in vitro generation temperatures. J. Amer. Soc. Hort. Sci. 106:446-450. 

  21. Stimart, D.P., P.D. Ascher, and H.F. Wilkins. 1982. Overcoming dormancy in Lilium longiflorum bulblets produced in tissue culture. J. Amer. Soc. Hort. Sci. 107:101-107. 

  22. Stimart, D.P., P.D. Ascher, and H.F. Wilkins. 1983. Axis elongation from tissue-culture-generated bulblets of Lilium longiflorum Thunb. J. Amer. Soc. Hort. Sci. 108:99-101. 

  23. Takayama, S. and M. Misawa. 1980. Differentiation in Lilium bulbscales grown in vitro.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physiological age of bulbs and sucrose concentrations on differentiation and scale leaf formation in vitro. Physiol. Plant 48: 121-125. 

  24. Takayama, T., T. Toyomasu, H. Tamane, N. Murofushi, and H. Yajima. 1993. Identification of gibberellins and abscisic acid in bulbs of Lilium ${\times}$ elegans Thunb. and their quantitative changes during cold treatment and the subsequent cultivation. J. Jpn. Soc. Hort. Sci. 62:189-196. 

  25. Tsukamoto, Y. 1971. Change of endogenous growth substances in Easter lily as affected by cooling. Acta Hort. 23:75-81. 

  26. Woo, J.H., Y.Y. Han, Y.G. Sim, H.S. Lee, K.B. Choi, J.D. Choi, and K.W. Kim. 2000.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culture method on shoot formation from microscale in Lilium Oriental Hybrids 'Casa Blanca'. J. Kor. Soc. Hort. Sci. 41:297-300. 

  27. Yae, B.W., B.H. Han, and D.H. Goo. 2001. Dormancy breaking and in vitro growth of in vitro bulblets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J. Kor. Soc. Hort. Sci. 42:99-1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