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딸기 영양번식을 통한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의 자묘 감염
Infection of Daughter Plants by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through Runner Propagation of Strawberry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9 no.3, 2011년, pp.273 - 277  

남명현 (충남농업기술원 논산딸기시험장) ,  강양제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이인하 (충남농업기술원 논산딸기시험장) ,  김홍기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전창후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딸기의 크라운과 뿌리를 갈변시키는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에 의한 시들음병은 국내 육묘포장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토양병해이다. 육묘기 영양번식을 통한 시들음병 전염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금향' 품종을 대상으로 시들음병에 감염된 모주로부터 일시채묘 방식으로 자묘를 증식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들음병 감염묘와 건전묘간의 자묘생산량 비교에서는 접종 58일 후 감염묘의 러너 발생수는 비닐하우스와 인공광 이용형 육묘 모듈에서 각각 2.7개와 3.8개였으나 건전묘에서는 6.5개와 8.4개로 감염묘에 비해 자묘 생산이 2배 이상 되었다. 시들음병에 감염된 모주에서 영양번식을 통한 자묘의 감염율은 정식 58일 후 1차 러너의 상단부위(2-1)에서 100% 검출되었으나 그 이하 부위에서는 검출이 되지 않았다. 정식 90일 후에는 시들음병균이 1차 러너의 상, 중, 하단 부위(2-1, 2-2, 2-3) 모두에서 100% 검출되었으며, 1차 자묘에서도 60%의 검출율을 보였다. 반면 건전 묘에서는 정식 58일과 90일 후에도 시들음병균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딸기 시들음병은 토양 전염 외에 감염된 모주로부터 영양번식을 통한 자묘로의 전염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시들음병의 건전묘 생산방법으로 인공광 환경에서 생산된 1차 자묘를 육묘용 모주로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Fof), the causal agent of crown and root rot in strawberry, is the most serious soilborne disease of nursery plants in Korea.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by Fof through runner propagation from infected mother plants of strawberry cv. 'Kumhyang' was assessed i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딸기 시들음병 발생에 대한 이병묘의 역할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품종별 감염된 모주로부터 러너 증식을 통해 자묘로의 전염 가능성을 밝혀 딸기 시들음병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딸기 시들음병의 원인균은 무엇인가?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에 의한 딸기 시들음병은 토양 전염성 병해로(Winks and Williams, 1965) 토양 속에 존재하는 병원균이 자연상태에서 오랜 기간 생존이 가능하다(Okayama et al., 1988).
시들음병균은 어떻게 딸기 식물체의 고사를 일으키는가? , 1988). 시들음병균은 딸기 뿌리로 침입하여 뿌리를 갈변시키고 크라운(관부)의 도관부에 증식하여 도관을 패쇄시켜 영양분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신엽이 황색을 띄고 짝잎을 형성하며 결국 딸기 식물체의 고사를 일으키는 딸기의 고질적 병해이다(Nam et al., 2009).
딸기 시들음병에 대한 철저한 토양 소독 외에 일차 전염원으로써의 가능성이 있는 이병묘의 역할 및 건전묘의 중요성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인 이유는 무엇이 가장 중요한 방제 수단이기 때문인가? , 2009b)와 쿠퍼 수화제 토양 관주처리(KCPA, 2010) 등에 의한 방제 방법들이 딸기 재배농가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들음병은 한번 발생이 된 상태에서는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병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방제 수단이다. 그러므로 철저한 토양 소독 외에 일차 전염원으로써의 가능성이 있는 이병묘의 역할 및 건전묘의 중요성에 대한 자세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 C.T. and B.J. Moon. 1984. Studies on the wilt of strawberry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in Korea. Kor. J. Plant Prot. 23:74-81. 

  2. Correll, J.C., C.J.R. Klittich, and J.F. Leslie. 1987. Nitrate nonutilizing mutants of Fusarium oxysporum and their use in vegetative compatibility tests. Phytopathology 77:1640-1646. 

  3. De Cal, A., A., Martinez-Treceno, J.M. Lopez-Aranda, and P. Melgarejo. 2004. Chemical alternatives to methyl bromide in Spanish strawberry nurseries. Plant Dis. 88:210-214. 

  4. Jeong, M.S., S.K. Kim, and C.H. Chun. 2005. Effect of phytosynthetic photon flux during transplant production on runner plant production rate of "Maehyang" strawberry. Kor. J. Hort. Sci. Technol. 23:24. 

  5.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CPA). 2010. 2010 Agrochemicals use guide book. KCPA, Seoul p. 1199. 

  6. Komada, T. and T. Fukui. 1982a. Solar heating in closed plastic house for control of soilborne diseases V. Application for control of Fusarium wilt of strawberry. Ann. Phytopathol. Soc. Japan 48:570-577. 

  7. Komada, T. and T. Fukui. 1982b. Heating with plastic-film mulching in the out-door field for control of Fusarium wilt of strawberry. Ann. Phytopathol. Soc. Japan 48:699-701. 

  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1. 2010 the production of vegetable. http://kosis.kr. 

  9. Mori, M. 1999. Prevention of runner transmission of strawberry Fusarium wilt fungus by cutting daughter plants as propagule at their second leaf stage. Farming Hort. 53(8):137-140. 

  10. Nam, M.H., S.K. Jung, N.G Kim, S.J. Yoo, and H.G. Kim. 2005. Resistance analysis of cultivars and occurrence survey of Fusarium wilt on strawberry. Res. Plant Dis. 11:35-38. 

  11. Nam, M.H., Y.G. Nam, T.I. Kim, H.S. Kim, W.S. Jang, W.K. Lee, I.H. Lee, H.K. Kang, Y.J. Park, J.M. Choi, and K.S. Whang. 2009a. Compendium of strawberry diseases and pests. Chungnam strawberry association. p. 204. 

  12. Nam, M.H., M.D. Park, H.G. Kim, and S.J. Yoo. 2009b. Biological Control of strawberry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using Bacillus velezensis BS87 and RK1 formulation. J. Microbiol. Biotechnol. 19(5):520-524. 

  13. Nash, S.N. and W.C. Snyder. 1962. Quantitative estimations by plate counts of propagules of the bean rot Fusarium in field soil. Phytopathology 73:458-462. 

  14. Okayama, K., K. Horimoto, H. Kobatake, T. Kodama, and Y. Kitagawa. 1988. Studies on the control of Fusarium wilt of strawberry by proceeding crops. I. Effect of preceding crops on Fusarium wilt of strawberry and presence of microorganisms in the soil. Bull. Nara. Agri. Expt. Sta. 19:67-78.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9. Strawberry. A standard manual of farming-40. RDA, Suwon. p. 225. 

  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0. 2010 New technology of agriculture and food (IV). RDA, Suwon p. 1357. 

  17. Shaw, D.V. and K.D. Larson. 1999. A meta-analysis of strawberry yield response to preplant soil fumigation with combinations of methyl bromide-chloropicrin and four alternative systems. HortSci. 34:839-845. 

  18. Winks, B.L. and Y.N. Williams. 1965. A wilt of strawberry caused by a new form of Fusarium oxysporum. Queensland J. Afric. Animal Sci. 22:475-479. 

  19. Yuen, G.Y., M.N. Schroth, A.R. Weinhold, and J.G. Hancock. 1991. Effects of soil fumigation with methyl bromide and chloropicrin on root health and yield of strawberry. Plant Dis. 75:416-4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