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생 수생식물 노랑꽃창포와 창포의 카드뮴 축적 및 내성
Cadmium Accumulation and Tolerance of Iris pseudacorus and Acorus calamus as Aquatic Plants Native to Korea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9 no.5, 2011년, pp.413 - 419  

이성춘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김완순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자생 수생식물인 노랑꽃창포와 창포를 수질 내 카드뮴(Cd) 제거용 식물재료로 이용하고자 Cd 축적과 내성을 조사하였다. Cd 농도에 따른 치사율을 근거로 Cd에 대한 반수치사량($LD_{50}$)을 계산한 결과, 노랑꽃창포는 $78.5{\mu}M$, 창포는 $47.6{\mu}M$로 나타났다. Cd 스트레스에 대해 노랑꽃창포에서는 POD와 SOD, 창포에서는 CAT와 SOD, 폴리페놀이 활성화되었다. 노랑꽃창포에서는 폴리페놀이 측정되지 않았다. 노랑꽃창포와 창포 모두 Cd 처리 농도가 증가하고 기간이 길어질수록 식물체 내 Cd 축적량이 증가하였고, 두 종 모두 지상부보다는 지하부 축적량이 현저하게 많았다. 지상부에 축적된 Cd 함량은 노랑꽃창포 $548.1mg{\cdot}kg^{-1}$(지하부 축적 대비 82.1%) 창포 $121.4mg{\cdot}kg^{-1}$(지하부 축적 대비 13.7%)로 두 종 모두 Cd 고축적식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노랑꽃 창포가 Cd 축적능력과 내성이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admium (Cd) accumulation and tolerance of Iris pseudacorus and Acorus calamus as aquatic plants native to Korea for Cd removal in water. In the range of Cd concentration from $10{\mu}M$ to $130{\mu}M$, the Cd lethal dose 50 ($LD_{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창포(Acorus calamus)는 천남성과(Araceae) 창포속(Acorus) 다년생 정수 식물로 우리나라 수변 전역에 자생하고 있으며, 생체량 등 외형적으로 노랑꽃창포와 비슷하며 초형이 아름답고 지하경에 의한 번식이 빠른 것이 특징이다(Lee, 2003). 본 연구는 관상가치가 뛰어나고 우리나라 수변 전역에서 자생하고 있는 노랑꽃창포와 창포를 대상으로 Cd에 대한 내성과 축적능력을 조사하여 Cd에 대한 phytoremediation 소재로의 이용가치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체가 Cd을 비롯한 고농도의 중금속에 노출되면 무엇이 발생하게 되는가? 식물체가 Cd을 비롯한 고농도의 중금속에 노출되면 식물체 내 산화력이 강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발생하게 되며 핵산, 단백질, 지질 등의 변성과 광합성 억제 등 생리적 장해를 유발한다(Halliwell, 2006).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물체가 지속적으로 생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세포 내 특정 효소나 물질들을 분비하여 ROS를 제거하거나 중화시킬 수 있는 자기방어체계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때문이다.
카드뮴은 주로 어떤 경로를 통해 발생해 하천이나 호수에 축적되는가? 4)은 비필수중금속으로 다른 효소나 단백질의 황화수소기(-SH)와의 강한 친화력으로 쉽게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식물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유독한 중금속으로 분류된다(Mengel and Kirkby, 1978). 주로 아연 제련, 인산비료 시용, 석탄 연소, 쓰레기 소각, 살충제 사용 등 여러 경로를 통해 발생하며 결국 하천이나 호수로 유입되어 축적된다. 한편 Cd은 유기화합물과는 달리 무독성 물질로 분해되거나 안정된 화합물 형태로 변환되지 않고 오랜 기간 생태계 내에 잔류하면서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며 먹이사슬을 통하여 생물체 내에 고동도로 축적되어 독성피해를 유발한다(Galiulin et al.
Cd과 유기화합물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주로 아연 제련, 인산비료 시용, 석탄 연소, 쓰레기 소각, 살충제 사용 등 여러 경로를 통해 발생하며 결국 하천이나 호수로 유입되어 축적된다. 한편 Cd은 유기화합물과는 달리 무독성 물질로 분해되거나 안정된 화합물 형태로 변환되지 않고 오랜 기간 생태계 내에 잔류하면서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며 먹이사슬을 통하여 생물체 내에 고동도로 축적되어 독성피해를 유발한다(Galiulin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i, C., D.M. Reda, R. Rachid, and B. Houria. 2009. Cadmium induced changes in metabolic function of mitochondrial isolated from potato tissue (Solanum tuberosum L.). Amer. J. Biochem. Biotechnol. 5:35-39. 

  2. Barcelo, J., M.D. Vazquez, and C. Poschenrieder. 1998. Structural and ultrastructural disorders in cadmium-treated bush bean plants (Phaseolus vulgaris L.). New Phytol. 108:37-49. 

  3. Brown, S.L. and J.S. Angle. 1995. Zinc and cadmium uptake by hyperaccumulator Thlaspi caerulescens grown in nutrient solution. Soil Sci. Soc. Amer. J. 59:125-133. 

  4. Chance, B. and A.C. Maehly. 1995. Assay of catalases and peroxidases, p. 764-775. In: S.P. Colwick and N.O. Kaplan (eds.). Methods in enzymology. Vol. 2. Academic Press, New York. 

  5. Chaney, R.L, M. Malik, Y.M. Li, S.L. Brown, J.S. Angle, and A.J.M. Baker. 1997. Phytoremediation of soil metals. Biotechnology 8:279-284. 

  6. Chang, J.Y., Y.Y. Chang, B.H. Bae, and I.S. Lee. 2001. A study on the cadmium tolerance of some native herb plants. Korean J. Ecol. 24:309-313. 

  7. Choi, M.K. and M.H. Chiang. 2003.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and heavy metal accumulation of Artemisia princeps and Helianthus annuus in the abandoned zinc mine area for phytoremediation. Kor. J. Hort. Sci. Technol. 12:451-456. 

  8. Cunningham, S.D. and W.R. Berti. 1993.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 with green plants: An overview. In Vitro Cellular Dev. Biol.-Plant. 29:207-212. 

  9. Ebbs, S.D., M.M. Lasat, D.J. Brady, J. Cornish, R. Gordon, and L.V. Kochian. 1997. Phytoextraction of cadmium and zinc from a contaminated soil. J. Environ. Quality 26:1424-1430. 

  10. Galiulin, R.V., V.N. Bashkin, R.R. Galiulina, and P. Birch. 2001. A critical review: Protection from pollution by heavy metalsphytoremediation of industrial wastewater. Land Contamination Reclamation 9:349-358. 

  11. Halliwell, B. 2006. Reactive species and antioxidants. Redox biology is a fundamental theme of aerobic life. Plant Physiol. 141:312-322. 

  12. Han, Y.L., H.Y. Yuan, S.Z. Huang, Z. Guo, B. Xia, and J. Gu. 2007. Cadmium tolerance and accumulation by two species of Iris. Ecotoxicology 16:557-563. 

  13. Lavid, N., A. Schwartz, E. Lewinsohn, and E. Tel-Or. 2001. Phenols and phenol oxidases are involved in cadmium accumulation in the water plants Nymphoides peltata (Menyanthaceae) and Nymphaeae (Nymphaeaceae). Planta 214:189-195. 

  14.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15. Mengel, K. and E.A. Kirby. 1978. Principles of plant nutrition. 5th ed. Kluwer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16. Mittler, R. 2002. Oxidative stress, antioxidants and stress tolerance. Trends Plant Sci. 7:405-410. 

  17. Park, J.S., J.D. Shin, S.S. Han, and D.J. Yoon. 2002. Phytoremediation technology with using water celery (Oenanthe stolonifer DC.) to clean up heavy metals in the contaminated wastewater. Kor. Environ. Agr. 21:122-129.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3.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9. Sandalio, L.M., H.C. Dalurzo, M. Gomez, M.C. Romero-Puertas, and L.A. del Rio. 2001. Cadmium-induced changes in the growth and oxidative metabolism of pea plants. J. Exp. Bot. 52:2115-2126. 

  20. Singh, S., S. Eapen, and S.F. D'Souza. 2006. Cadmium accumulation and its influence on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system in an aquatic plant, Bacopa monnieri L. Chemosphere 62: 233-246. 

  21. Velioglu, Y.S., G. Mazza, L. Cao, and B.D. Oomah.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4113-4117. 

  22. Zhang, J. and M.B. Kirkham. 1994. Drought-stress-induced changes in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peroxidase in wheat species. Plant Cell Physiol. 35:785-791. 

  23. Zhou, Y.Q., S.Z. Huang, S.L. Yu., J.G. Gu, J.Z. Zhao, Y.L. Han, and J.J. Fu. 2010. The physiological response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lead and cadmium in Iris pseudacorus L. Ecotoxicology 19:69-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