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 '신고'의 만개일 및 생육기 기상을 이용한 수확일 예측
Predicting Harvest Date of 'Niitaka' Pear by Using Full Bloom Date and Growing Season Weather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9 no.6, 2011년, pp.549 - 554  

한점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손인창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최인명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김승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조정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윤석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김호철 (원광대학교 원예학과) ,  김태춘 (원광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나주지역에서 '신고' 배나무의 만개일 및 생육기 기상이 수확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과실 생육일수를 추정할 수 있는 다중 직선회귀 모델을 도출하였다. 만개일이 빠른 해일수록 수확일이 빨라지는 경향이었지만 과실 생육일수는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과실 생육기의 $0^{\circ}C$ 기준 일평균기온과 일최고기온의 생육온도일수와 변이계수는 3,565와 2.9% 및 4,463과 2.5%로 해에 따른 편차가 적었다. 과실 생육일수와 생육기의 월별 일평균기온 및 일최고기온의 생육온도 일수와는 관련성이 낮았지만, 만개후 생육일수별 기상요인과는 관련성이 높게 나왔다. 특히 만개후 1-60일과 31-60일까지의 일평균기온 및 일최고기온의 생육온도 일수와는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만개일과 만개 후 1일부터 60일까지의 일평균기온 및 일최고기온의 생육온도 일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과실 생육일수를 추정하는 다중 선형회귀식으로 0.7212의 높은 결정계수 값을 얻었다. 따라서 나주지역에서 배 '신고'의 과실 생육일수를 다중 직선회귀 모델식에 의해 72%의 정확도로 추정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full bloom date and growing season weather on harvesting date of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in Naju province and the model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 predicting the fruit growing days was studied. Earlier year in full bloom date, the harvesting date tended earlier but fru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배 ‘신고’ 과실의 과거 작황자료를 이용하여 만개일 및 생육기 기상이 수확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배 과실의 생육일수를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따른 배 과실의 비대 및 품질 예측 모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주지역에서 ‘신고’ 배나무의 1985년부터 2003년까지 연도별 만개일에 따른 수확일과 과실 생육일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무엇인가? 1). 19년간 만개일이 가장 빠른 해는 4월 5일, 가장 늦은 해는 4월 24일로 19일의 차이를 보였다(Fig. 1A). 수확일이 가장 빠른 해는 9월 25일, 가장 늦은 해는 10월 6일로 11일의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만개일의 19일에 비해 8일 적었다. 만개일이 빠를수록 수확일이 빨라지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결정계수는 0.4928로서 약 49%의 설명이 가능하였다. 만개일에 따라 과실 생육일수가 가장 짧은 해는 162일, 가장 긴 해는 175일로 차이는 13일이었으며 평균 생육일수는 167일이었다(Fig. 1B). 만개일이 빠를수록 과실 생육일수가 길어지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결정계수는 0.6567로서 Fig. 1A의 수확일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따라서 만개일을 활용하여 직접 수확일을 추정하기보다는 먼저 Fig.
적산온도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무엇에 많이 수행 되었는가? , 2001; Lee, 1983). 적산온도에 관한 연구는 주로 1년생 작물에서 많이 수행되었는데 특히, 시설재배에서 고품질 다수확, 그리고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파종시기 결정에 관한 것이다(Arnold, 1971; Lee, 1983; Seong et al., 2004).
작물의 수확시기를 판정하는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작물의 수확시기를 판정하는 요인으로는 생육일수와 적산온도를 들 수 있는데, 이 중 환경 영향 및 연차 또는 지역간 변이가 적은 적산온도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Jong et al., 1986;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rnold, C.Y. 1971. Heat units used in field corn production. III. Research 13:6-7. 

  2. Choi, C.M. and S.G. Moon. 2009. Changes of flowering time in the weather flora in Busan using the time series analysis. J. Environ. Sci. 18:369-374. 

  3. Choi, S.T., S.C. Kim, G.H. Ahn, Y.W. Yoon, and S.M. Kang. 2007. Time of nitrogen application in autumn affects fruit characteristics and reserve accumulation of 'Fuyu' persimmon. Kor. J. Hort. Sci. Technol. 25(Suppl. I):111. (Abstr.) 

  4. Hyun, S.W., Y.M. Park, M.S. Ko, and Y.K. Kang. 1994. Effect of seeding date on growth and yield in oats. Kor. J. Crop Sci. 39:359-365. 

  5. Jong, S.K., S.S. Lee, and K.Y. Park. 1986. Methods of estimating growing degree days to predict growth duration in maize. Kor. J. Crop Sci. 31:186-194. 

  6. Jung J.E., E.Y. Kwon, U. Chung, and J.I. Yun. 2005. Predicting cherry flowering date using a plant phenology model. Kor. J. Agri. Forest Meteorol. 7:148-155. 

  7. Kim, Y.H., D.Y. Moon, C.M. Kim, S.U. Ko, and S.B. Kim. 1996. Comparative analysis of cumulative temperature and growth period depending upon growth stage as affected by cropping system in plastic house-grown Satsuma mandarin. J. Kor. Soc. Hort. Sci. 37:269-278. 

  8. Koo, B.C., C.W. Lee, C.G. Lee, J.C. Kim, and M.W. Park. 2001. Growth and yield of barley as affected by accumulated temperature. Kor. J. Crop Sci. 46:468-472.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07. Analysis of climatic change tendency of the Korean Peninsula. KMA, Seoul. p. 15. 

  10. Lee, S.S. 1983. Utilization of growing degree days as an index of growth duration of rice varieties. Kor. J. Crop Sci. 28:173-183. 

  11. Ministry for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2006. Prediction of harvesting time of super sweet and waxy corn hybrids with growing degree days. MAF, Gwacheon. p. 49-62. 

  12. Ruml, M., A. Vukovic, and D. Milatovic. 2010.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for determining growing degree-day thresholds in apricot cultivars. Int. J. Biometeorol. 54:411-422. 

  13. Seong, K.C., J.W. Lee, H.M. Kwon, C.H. Kim, D.Y. Moon, and H.D. Seo. 2004. Effect of planting date on the growth and yield in retarding culture of squash (Cucurbita maxima) under rain-shielding condition. Kor. J. Hort. Sci. Technol. 22:143-146. 

  14. Sugiura, T. 1997. Interpretation of climatic ecology response and development model to predict growth and development of pear tree. PhD Diss., Kyoto Univ., Kyoto. 

  15. Yun J. I. 2006.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flowering season of Japanese cherry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in Korea during 1941-2100. Kor. J. Agri. Forest Meteorol. 8:68-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