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4 = no.132, 2011년, pp.610 - 612
정동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생물산업공정센터) , 정영철 (한국국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효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생물산업공정센터)
We developed a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hlorogenic acid based on the formation of green pigment a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클로로겐산의 함량 분석 방법으로 어떤 방법을 주로 이용해왔는가? | 지금까지 알려진 클로로겐산의 함량 분석 방법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ystem, HPLC) 기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HPLC 방법은 고가의 장비와 장시간의 측정시간이 필요로 하며, 대량의 시료를 빠르게 분석하기에는 어렵다. | |
클로로겐산이란 무엇인가? |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은 커피산과 퀴닉산의 에스테르 결합으로 형성된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이다. 그것은 주로 커피, 사과, 배, 감자, 고구마, 블루베리, 우엉 및 해바라기 등에 과량으로 함유되어 있다[2]. | |
클로로겐산은 주로 어디에 함유되어 있는가? |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은 커피산과 퀴닉산의 에스테르 결합으로 형성된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이다. 그것은 주로 커피, 사과, 배, 감자, 고구마, 블루베리, 우엉 및 해바라기 등에 과량으로 함유되어 있다[2]. 클로로겐산은 시험관 내(Invitro) 상에서 항산화제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프리 라디칼 제거, 메탈 이온의 착화합화, 라디칼 및 과산화물 형성을 관여하는 효소를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1]. |
Chen, J. H. and C. T. Ho. 1997. Antioxidant activities of caffeic acid and its related hydroxycinnamic acid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5, 2374-2378.
Clifford, M. N. 2000. Chlorogenic acid and other cinnamates-nature, occurrence, dietary burden, absorption and metabolism. J. Sci. Food Agric. 80, 1033-1043.
Mateos, R., L. Goya, and L. Bravo. 2006. Uptake and metabolism of hydroxycinnamic acids (chlorogenic, caffeic, and ferulic acids) by HepG2 cells as a model of the Human Liver. J. Agric. Food Chem. 54, 8724-8732.
Politir, J. 1947. Sur une nouvelle methode concernant la localization dans les plantes. Compt. Rend. 225, 954-956.
Rice-Evans, C. A., N. J. Miller, and G. Paganga. 1996. Structure 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al Biol. Med. 20, 933-956.
Uritani, I. and K. Muramatsu. Studies on the phytopathological chemistry of black-rottin potato. Part 2. Some factors concerning the color changes of the injured part. Nippon Nogei Kagaku Kaish 27, 781-789, 1953.
Yabut, G., Y. Koizumi, K. Namiki, M. Hida, and M. Mamiki. 2001. Structure of green pigment formed by the reaction of caffeic acid esters (or chlorogenic acid) with a primary amino compound. Biosci. Biotechnol. Biochem. 65, 2121-213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