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레진의 색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the color in composite resin 원문보기

大韓齒科保存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perative Dentistry, v.36 no.4, 2011년, pp.271 - 279  

박정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존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상에서 복합 레진을 이용하여 자연치를 재현하는 과정은 매우 어려우며 이를 위해서는 색과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복합 레진은 자연치와 화학적 조성과 미세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광학적 특성도 다를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색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색을 측정하는 장비에 대한 이해, 그리고 자연치의 색에 대한 분석을 살펴보고, shade tab의 정확도에 대한 평가, 복합 레진의 중합 전후의 색 변화, 수분과 물에 의한 영향, 미백제의 의한 영향 및 투명도, 유백광 성질(opalescence), 형광성(fluorescence)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linic, esthetic restoration of a defective natural tooth with composite resin is challenging procedure and needs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color of tooth itself and materials used.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s are different because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microstruc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색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살펴보고 복합 레진 수복에서 고려하여야 할 색의 개념과 재료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색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계측기의 원리, 그리고 자연치와 복합 레진의 색의 차이에 대해 살펴 보았다. 자연치와 복합 레진은 서로 다른 재료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광학적인 특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는? 사람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물체의 빛을 눈의 망막을 통해 받아들여 원추 혹은 간상세포의 시세포를 통해 색을 지각하고 이를 대뇌에서 인지하여 색을 구별하게 된다. 이때 사람의 눈으로 느낄 수 있는 빛은 그 파장이 약 400 nm에서 700 nm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를 가시광선이라 한다. 색은 사람마다 느끼는 주관적인 감각이 개입되므로 이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표색계(color system)을 고안하게 되었다.
치과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진의 색을 고르는 기준은? 임상에서 복합 레진 수복을 하는 경우 자연치와 색이 잘 맞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치과 임상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의 기준은 Vita shade guide일 것이다. 대부분 이를 기준으로 레진의 색을 고르고, 기공소에 기공물 제작을 의뢰하고, 재료를 구입하며 기록을 할 것이다.
표색계가 고안된 이유는? 이때 사람의 눈으로 느낄 수 있는 빛은 그 파장이 약 400 nm에서 700 nm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를 가시광선이라 한다. 색은 사람마다 느끼는 주관적인 감각이 개입되므로 이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표색계(color system)을 고안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Munsell AH. A color notation. Boston: G.H. Ellis Co. 

  2. Paul S, Peter A, Pietrobon N, Hammerle CH.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shade analysis of human teeth. J Dent Res 2002;81:578-582. 

  3. Kim-Pusateri S, Brewer JD, Davis EL, Wee AG. Reliability and accuracy of four dental shade-matching devices. J Prosthet Dent 2009;101:193-199. 

  4. Blaes J. Today's technology improves the shade-matching problems of yesterday. J Indiana Dent Assoc 2002;81:17-19. 

  5. Bolt RA, Bosch JJ, Coops JC. Influence of window size in small-window colour measurement, particularly of teeth. Phys Med Biol 1994;39:1133-1142. 

  6. Johnston WM. Color measurement in dentistry. J Dent 2009;37(Supplement 1):e2-6. 

  7. Chu SJ, Trushkowsky RD, Paravina RD. Dental color matching instruments and systems. Review of clinical and research aspects. J Dent 2010;38(Supplement 2):e2-16. 

  8. King KA, deRijk WG. Variations of $L^{\ast}a^{\ast}b^{\ast}$ values among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s. J Prosthodont 2007;16:352-356. 

  9. Cal E, Sonugelen M, Guneri P, Kesercioglu A, Kose T. Application of a digital technique in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shade guides. J Oral Rehabil 2004;31:483-491. 

  10. Watts A, Addy M. Tooth discolouration and stain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Br Dent J 2001;190:309-316. 

  11. Jahangiri L, Reinhardt SB, Mehra RV, Matheson PB. Relationship between tooth shade value and skin color: an observational study. J Prosthet Dent 2002;87:149-152. 

  12. Vaarkamp J, ten Bosch JJ, Verdonschot EH. Propagation of light through human dental enamel and dentine. Caries Res 1995;29:8-13. 

  13. ten Bosch JJ, Coops JC. Tooth color and reflectance as related to light scattering and enamel hardness. J Dent Res 1995;74:374-380. 

  14. Zijp JR, ten Bosch JJ, Groenhuis RA. HeNe-laser light scattering by human dental enamel. J Dent Res 1995;74:1891-1898. 

  15. Yuan JC, Brewer JD, Monaco EA, Jr., Davis EL. Defining a natural tooth color space based on a 3-dimensional shade system. J Prosthet Dent 2007;98:110-119. 

  16. Paravina RD, O'Keefe KL, Kuljic BL. Color of permanent teeth: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Balkan Journal of Stomatology 2006;10:93-97. 

  17. Goodkind RJ, Schwabacher WB. Use of a fiber-optic colorimeter for in vivo color measurements of 2830 anterior teeth. J Prosthet Dent 1987;58:535-542. 

  18. Zhao Y, Zhu J. In vivo color measurement of 410 maxillary anterior teeth. Chin J Dent Res 1998;1:49-51. 

  19. Hasegawa A, Ikeda I, Kawaguchi S. Color and translucency of in vivo natural central incisors. J Prosthet Dent 2000;83:418-423. 

  20. Odioso LL, Gibb RD, Gerlach RW. Impact of demographic, behavioral, and dental care utilization parameters on tooth color and personal satisfaction. Compend Contin Educ Dent Suppl 2000;29:S35-41, quiz S43. 

  21. Hasegawa A, Motonomi A, Ikeda I, Kawaguchi S. Color of natural tooth crown in Japanese people. Color Res Appl 2000;25:43-48. 

  22. Morley J. The esthetics of anterior tooth aging. Curr Opin Cosmet Dent 1997;4:35-39. 

  23. Mayekar SM. Shades of a color. Illusion or reality? Dent Clin North Am 2001;45:155-172, vii. 

  24. Russell MD, Gulfraz M, Moss BW. In vivo measurement of colour changes in natural teeth. J Oral Rehabil 2000;27:786-792. 

  25. Browning WD, Contreras-Bulnes R, Brackett MG, Brackett WW. Color differences: polymerized composite and corresponding Vitapan Classical shade tab. J Dent 2009;37(Supplement 1):e34-39. 

  26. Park JH, Lee YK, Lim BS. Influence of illuminants on the color distribution of shade guides. J Prosthet Dent 2006;96:402-411. 

  27. Ragain JC, Johnston WM. Color acceptance of direct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by human observers. Color Res Appl 2000;25:278-285. 

  28. Ruyter IE, Nilner K, Moller B. Color stability of dental composite resin materials for crown and bridge veneers. Dent Mater 1987;3:246-251. 

  29. Lee YK, Yu B, Lim HN. Lightness, chroma, and hue distributions of a shade guide as measured by a spectroradiometer. J Prosthet Dent 2010;104:173-181. 

  30. Barutcigil C, Harorli OT, Yildiz M, Ozcan E, Arslan H, Bayindir F. The color differences of direct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after setting and compared with a shade guide. J Am Dent Assoc 2011;142:658-665. 

  31. Kim IJ, Lee YK. Changes in color and color parameters of dental resin composites after polymerization. J Biomed Mater Res B Appl Biomater 2007;80:541-546. 

  32. Celik EU, Aladag A, Turkun LS, Yilmaz G. Color Changes of Dental Resin Composites before and after Polymerization and Storage in Water. J Esthet Restor Dent 2011;23:179-188. 

  33. del Mar Perez M, Saleh A, Pulgar R, Paravina RD. Light polymerization-dependent changes in color and translucency of resin composites. Am J Dent 2009;22:97-101. 

  34. Lee YK, Lim BS, Kim CW. Difference in polymerization color changes of dental resin composites by the measuring aperture size. J Biomed Mater Res B Appl Biomater 2003;66:373-378. 

  35. Yap AU, Sim CP, Loganathan V. Polymerization color changes of esthetic restoratives. Oper Dent 1999;24:306-311. 

  36. Hosoya Y. Five-year color changes of light-cured resin composites: influence of light-curing times. Dent Mater 1999;15:268-274. 

  37. Bagheri R, Burrow MF, Tyas M. Influence of food-simulating solutions and surface finish on susceptibility to staining of a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J Dent 2005;33:389-398. 

  38. Monaghan P, Trowbridge T, Lautenschlager E. Composite resin color change after vital tooth bleaching. J Prosthet Dent 1992;67:778-781. 

  39. Johnston WM, Ma T, Kienle BH. Translucency parameter of colorants for maxillofacial prostheses. Int J Prosthodont 1995;8:79-86. 

  40. Li Q, Xu BT, Li R, Wang YN. Spectrophotometric comparison of translucent composites and natural enamel. J Dent 2010;38(Supplement 2):e117-122. 

  41. Johnston WM, Reisbick MH. Color and translucency changes during and after curing of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Dent Mater 1997;13:89-97. 

  42. Ryan EA, Tam LE, McComb D. Comparative translucency of esthetic composite resin restorative materials. J Can Dent Assoc 2010;76:a84. 

  43. Lee YK, Yu B. Measurement of opalescence of tooth enamel. J Dent 2007;35:690-694. 

  44. Lee YK, Lu H, Powers JM. Measurement of opalescence of resin composites. Dent Mater 2005;21:1068-1074. 

  45. Primus CM, Chu CC, Shelby JE, Buldrini E, Heckle CE. Opalescence of dental porcelain enamels. Quintessence Int 2002;33:439-449. 

  46. Yu B, Lee YK. Difference in opalescence of restorative materials by the illuminant. Dent Mater 2009;25:1014-1021. 

  47. McLaren EA. Luminescent veneers. J Esthet Dent 1997;9:3-12. 

  48. Zena R. Evolution of dental ceramics. Compend Contin Educ Dent 2001;22:12-14, quiz 19. 

  49. Spitzer D, Bosch JJ. The total luminescence of bovine and human dental enamel. Calcif Tissue Res 1976:201-208. 

  50. Matsumoto H, Kitamura S, Araki T. Autofluorescence in human dentine in relation to age, tooth type and temperature measured by nanosecond time-resolved fluorescence microscopy. Arch Oral Biol 1999;44:309-318. 

  51. Monsenego G, Burdairon G, Clerjaud B. Fluorescence of dental porcelain. J Prosthet Dent 1993;69:106-113. 

  52. Lim YK, Lee YK. Fluorescent emission of varied shades of resin composites. Dent Mater 2007;23:1262-1268. 

  53. Lee YK, Powers JM. Metameric effect between resin composite and dentin. Dent Mater 2005;21:971-97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