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RQoL) and socio-economic position in the elderly in rural area of Gangwon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1 no.5, 2011년, pp.707 - 715  

이민선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  신선정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정세환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 level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RQoL) for rural communities elderly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HRQoL and socio-economic position.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was elderly(60+year-old) residents of PyeongChang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스트레스 측정은 국민 건강영양조사와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등 우리나라 대표적인 국가 보건통계 조사에서 사용되는 문항으로 선택하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도구를 한 문장으로 질의한 결과로 다양한 경로의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스트레스 수준이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도출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추후 정확한 표본추출과정을 통해 대표성을 보완하고,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추가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겠다.
  • 본 연구는 강원도 일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중에서 임의 추출된 171명을 면접 조사하여 획득한 자료를 분석하여, 농촌거주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GOHAI) 수준을 확인하고,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일부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평가지수(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를 이용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GOHAI)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부수적으로는 이들 연관성에 대한 스트레스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일부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평가지수(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를 이용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GOHAI)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부수적으로는 이들 연관성에 대한 스트레스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 그에 따라 구강보건 분야에서도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진행 하고 있다15,26,29).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결정요인이란 무엇인가? 특히 질병의 원인으로서 사회경제적 위치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데, 사회경제적 위치와 건강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간 메커니즘으로 건강관련 행위, 의료 서비스이용, 스트레스 정도, 심리사회적 자원 등이 제안되 어 왔으며, 사회경제적 위치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 소득, 교육수준, 직업이 활용되고 있다2).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건강결정요인이라 지칭한다. 국내에서도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데, 특히 사회경제적 요인에 집중되고 있다3~5).
WHO에서 건강을 무엇으로 정의하였는가? WHO에서 건강을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안녕(Well-being)한 상태라고 정의한 바1)와 같이 건강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특히 질병의 원인으로서 사회경제적 위치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데, 사회경제적 위치와 건강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간 메커니즘으로 건강관련 행위, 의료 서비스이용, 스트레스 정도, 심리사회적 자원 등이 제안되 어 왔으며, 사회경제적 위치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 소득, 교육수준, 직업이 활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WHO. Health Promotion: A Discussion Document, Copenhagen: WHO 1984. [online] http://www.who.int/hac/about/definitions/en/. 검색일자 2011. 7. 23. 

  2. Adler NE, Ostrove JM.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Ann N Y Acad Sci 1999;896:3-15. 

  3. 이승미.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002;22(3):135-157. 

  4. 손미아. 사회계급과 건강행위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2002;35(1):57-64. 

  5. 이석구, 전소연.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건강수준, 건강행태와의 관계. 예방의학회지 2005;38(2):154-162. 

  6.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007;41(3):127-153. 

  7. Petersen PE. Sociobehavioural risk factors in dental caries - international perspective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5;33(4):274-279. 

  8. 송근배, 최연희, 홍석진, 김진범. 한국 성인들의 사회경제적 요인 및 구강보건의식행태에 따른 치아우식증 실태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3;27(2):319-328. 

  9. 김혜영. 사회경제적 수준과 구강진료필요도의 연관성에 대한 건강행위, 구강진료이용도의 영향 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6;30(1):85-94. 

  10. 조남억. 한국 성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 형평성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11. 신선정, 정원균, 안용순 외 3인. 다중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사회 경제적위치의 연관성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1;35(3):297-305. 

  12. Marmot M, Wilkins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9. 

  13. Dunn AJ. The central nervous system, hormones, and immune responses. In: Frideman H, Klein TW, Friedman AL, editors. Psychoneuroimmunology, stress, and infection. 1st ed. Florida: CRC Press, Inc; 1996:25-40, 127-132, 195. 

  14. Taylor SE. Health psychology. 4th ed. New York: Mc-Graw-Hill; 2003:195-196. 

  15. 장은아. 농촌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의 관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인천: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16. 윤현희. 남녀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심리적 적응감[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17. 김재경. 노년기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따른 생활만족도[석사학위논문].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18. Sheihan A, Tsakos G. Oral health needs assessments. In: Pine CM, Harris R. Community oral health. 2nd ed. London: Quintessence Publishing Co; 2007:59-79. 

  19. Patrick DL, Chiang YP. Measurement of health outcomes in Treatment effectiveness evaluations: conceptual and methological challenges. Med care 2000;38(9):II14-II25. 

  20. Slade GD, Strauss RP, Atchison KA et al. Conference summary: assessing oral health outcomes-measuring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Community Dent Health 1998;15(1):3-7 

  21. Locker D. Measuring oral health: aconcepttual framework. Community Dent Health 1988;5(1):5-13. 

  22. Locker D, Slade G. Or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J Can Dent Assoc 1993;59(10):830-844. 

  23. Atchison KA, Dolan T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J Dent Edu 1990;54(11):680-687. 

  24. Othman WN, Muttalib KA, Bakri R et al. Validation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in the Malay language. J Public Health Dent. 2006;66(3):199-204. 

  25. Naito M, Suzukamo Y, Nakayama T, Hamajima N, Fukuhara S. Linguistic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in an elderly Japanese population. J Public Health Dent. 2006;66(4):273-5. 

  26. 신선정, 정세환. 강원도 일부 노인에서의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GOHAI)의 타당도와 신뢰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1;35(2):187-195. 

  27. 국가통계포털.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KOSIS), 통계DB검색, 장래인구추계. [online]http://kosis.kr/ups/ups_01List01.jsp?grp_no&pubcodePJ. 검색일자 2011. 7. 25. 

  28. 국가통계포털.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KOSIS), 통계DB검색, 시도별장래인구 추계. [online]http://kosis.kr/ups/ups_01List01.jsp?grp_no1002&pubcodePJ&typeF. 검색일자 2010. 7. 25. 

  29. 박지혜, 정성화, 이가령, 송근배.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치아상실이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1):63-74. 

  30. Atieh MA. Arabic version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erodontology 2008;25(1):34-41. 

  31. 윤영숙. 도시농촌 노인의 구강건강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06;6(1):23-28. 

  32. 강원도 정선군/영월군/평창군/원주시.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201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강원도 정선군 지역사회 건강통계. 강원도: 강원도 정선군/영월군/평창군/원주시.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2010:206. 

  33. 하정은, 한경순, 김남희 외 4인. 일부 지역 노인의치보철사업 수혜자의 보철전.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9;33(2):227-234. 

  34. 허익강, 이태용, 동진근, 홍송희. 일부 노인의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10;48(2):101-110. 

  35. 이가령. 농촌지역 노인들의 구강상태와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간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3):396-404. 

  36. Beebe-Dimmer J, Lynch JW, Turrell G et al. Childhood and adult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31-year mortality risk in women. Am J Epidemiol 2004;159(5):481-4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