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규방공예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
Development of Culture Goods with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3 no.4, 2011년, pp.472 - 477  

송정아 (경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tide of globalization, culture products play pivotal role in effectively introducing our tradition and culture to the world. This research is about developing culture products using our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 to attain the purpose of modern application through recreation of trad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박물관과 도서관의 유물과 문헌조사를 통하여 우리의 전통 규방공예의 개념과 분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다. 국내의 문화상품을 조사하여 종류와 형태, 소재, 장식, 제작 기법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면 구성, 색상조화, 소재구성, 제작기법을 분석한다.
  • 본 연구는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우리의 전통과 문화를 효과적으로 알리는 데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는 문화상품을 전통의 재창조와 더불어 현대적 활용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의 전통규방공예를 현대의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 현대사회는 개성 중심의 고 감성 시대로 전통문화상품에 전통적 이미지를 담고 있으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에 알맞은 문화상품개발에 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 조각보와 전통 문양, 다양한 규방공예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적 이미지의 문화상품 개발을 통하여 현대적인 감각에 알맞은 문화상품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최근 현대적인 규방공예 작품의 흐름은 전통적인 소재를 활용한 재현 작품 만들기와 더불어 규방공예 기법을 활용한 식탁의 러너, 핸드폰 고리, 브로치, 가방, 벽걸이, 책갈피, 주머니, 명함집 등 발전적인 디자인과 실용적인 작품들이 나오고 있다(김경기 외, 2007; 이미석, 2009; 최승연 외, 2006). 본 연구는 전통적 이미지를 담고 있으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에 알맞은 상품개발이 목적이므로 디자인을 전개하는 데 있어 전통장식 기법과 현대적인 소품 아이템이 조화될 수 있는 가방과 머플러, 명함지갑, 브로치를 아이템으로 정하였다. 가방과 머플러는 세트 개념으로 제작하여 소비자 입장에서 패션 연출에 통일감을 주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전통적인 규방공예가 현대적인 문화상품으로 개발 될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기법으로의 접근을 통해 문화상품의 다양화 및 차별화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그러나 일부 문화상품의 디자인 현황은 너무 전통적이고 화려하고, 수공예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한국의 문화상품이 너무 토속적인 이미지로 인해 세계시장이 함께 공감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을 수 있다(산업디자인진흥원, 1999). 이에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문화 예술적 독창성을 인정하고 전통 이미지를 담고 있으면서도 현대적인 디지털 기술과 소재를 활용하여 현대적인 감각에 맞는 문화상품 아이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DTP는 다양한 디자인 개발도 용이하며 손으로 그릴 수 없는 사진의 이미지나 난해한 고품질 디자인의 프린팅이 가능하고 디자인의 축소와 확대, 색상의 조절도 용이하여 고부가가치 제품생산에 효과적이다. 특히 소량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DTP 시스템을 활용하여 문화상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비기법은 어떻게 나뉘는가? 단순한 바느질 차원을 벗어난 누비기법은 점차 다양해지고 세련된 미적 조형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누비는 기법에 따라 오목누비, 중누비, 잔(세목)누비, 줄누비, 납작누비, 상침누비 등으로 나누어지고 솜의 두께와 품목에 따라 적절히 구사된다. 누비는 민속적인 측면에서 보면 연속된 누비 실이 길게 뻗어 나갔다 하여 장수를 뜻하고, 빗줄기에도 비유되어 밭고랑을 나타내는 누비와 더불어 풍요로움을 상징한다.
누비는 무엇인가? 누비는 솜을 두어 양쪽 천을 누비는 작업공정으로 천 사이에 둔 솜이 흩어지기 않게 일정간격을 두고 실로 줄이 지게 꿰매어 붙이는 방법으로 두툼한 천을 겹쳐서 누비는 경우도 흔하다. 누비의 목적은 천의 보온을 위한 것이지만 장식성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누비의 목적은 무엇인가? 누비는 솜을 두어 양쪽 천을 누비는 작업공정으로 천 사이에 둔 솜이 흩어지기 않게 일정간격을 두고 실로 줄이 지게 꿰매어 붙이는 방법으로 두툼한 천을 겹쳐서 누비는 경우도 흔하다. 누비의 목적은 천의 보온을 위한 것이지만 장식성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바느질 기법에는 홈질(누빌 때), 감치기(누빈 다음 겉과 겉을 연결할 때), 숨뜨기(안감을 붙일 때), 뒷땀질(시작 할 때와 마무리 지을 때), 상침(어떤 선을 고정시킬 때나 박음 선을 모양으로 사용할 때)이 있다(김보경,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권수연, 장현주. (2009). 조선시대 자수 규방공예품의 유형과 특성. 복식, 59(4), 1-13. 

  2. 김경기, 임철민, 정성환, 장영순. (2007). 전통문화 상품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전통문화 상품 쇼핑몰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20(4), 143-154. 

  3. 김보경. (2003). 규방공예의 전통 침선기법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정미. (2006). 조각보의 조형성을 응용한 현대복식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4), 507-518. 

  5. 김지영, 김문진.(2000). 규방공예. 컬처라인, pp. 17-18. 

  6. 김희숙. (2007). 안동지역 전통문화와 연계한 전통문화상품의 디자인 개발: 소비자 의식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6), 645-650. 

  7. 남재경. (2004).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스카프, 넥타이 상품을 중심으로-. 조형예술학연구, 6, 249-266. 

  8. 박혜신, 이건희. (2006). DTP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 연구-패턴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2(4), 38-47. 

  9. 배순미, 김정희. (2004). 한국 전통매듭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 조선 후기의 한국 전통매듭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4(2). 35-46. 

  10. 산업디자인진흥원. (1999). 전통소재에 의한 한국문화상품의 특성화 연구. 

  11. 신희경.(2005). 우리나라 공예문화상품의 특성 문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1(4), 97-108. 

  12. 엄경희. (2004). 한국 전통자수문양을 활용한 문화상품디자인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0(2), 107-113. 

  13. 이미석. (2009). 전통 색동이미지를 응용한 문화상품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59(2), 101-110. 

  14. 이연순, 권현정, 이정은. (2008). 한국 전통 당초문양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4), 479-488. 

  15. 이종분, 이수철. (2002). 한국의 전통적 곡선미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섬유소재를 이용한 인테리어 및 패션소품을 중심으로. 서울디자인포럼학회지, 6(1), 457-465. 

  16. 최경숙, 이해주. (2003). 한국의 문화상품 개발과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제53차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pp. 111-112. 

  17. 최선미, 양숙향. (2007). 조각보 이미지를 이용한 여성생활한복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2), 145-150. 

  18. 최승연, 이미숙, 신윤숙. (2006). 전통문화상품에 나타난 문양분석-서울지역과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1), 101-113. 

  19. 최윤혜, 은영자. (2004). 전통조각보의 색채, 면구성을 응용한 패턴의 감성이미지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3), 266-274. 

  20. 허동화. (1997).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규방문화. 현암사, pp. 269-304. 

  21. 허동화. (2001). 이렇게 고운색 The World of Colorful Delight. 한국자수박물관출판부, pp. 40-86. 

  22. 21세기 문화산업 어떻게 할 것인가. (1998. 3). 문화예술, pp. 16-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