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충생자낭균류의 미기록종에 관하여(2011)
Note on Some Species of the Laboulbeniales Newly Collected from Korea(2011)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39 no.2, 2011년, pp.136 - 140  

이용보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  임채규 (고구려대학 한약자원개발과) ,  나영희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초록

충생자낭균류의 5종이 우리나라의 균류상에 보고되어진다. 그들은 Acupalpus hilaris 숙주곤충에서 Laboulbenia acupalpi, Anoplogenius cyanescens 숙주곤충에서 L. pseudomasei, Scaphidium femorale 숙주곤충에서 Rickia peyerimhoffii, Sternolophus rufipes 숙주곤충에서 Zodiomyces odae, Berosus fairmairei 숙주곤충에서 Z. vorticellarius가 채집되었다. 이들 종들 중에서 L. pseudomasei와 Z. odae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종들이고, L. acupalpi와 Z. vorticellarius는 과거에 보고된 숙주곤충과 다른 종들에서 채집되었다. R. peyerimhoffii는 과거에 제주도에서 채집되어 보고되었으나 내륙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어 보고 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ve species of the Laboulbeniales are reported to the Korean mycoflora. They are Laboulbenia acupalpi Spegazzini on Acupalpus hilaris Tschitscherine, L. pseudomasei Thaxter on Anoplogenius cyanescens(Hope), Rickia peyerimhoffii Maire on Scaphidium femorale Lewis, Zodiomyces odae Majewski et Sugiy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는 이 등(1981, 1982a, 1982b, 2003)과 Lee 등(1983, 1986, 1990, 1991, 1992a, 1992b, 1992c, 1993, 1995, 1996, 1998a, 1998b, 1999, 2002, 2003, 2004, 2005, 2007, 2011)에 의하여 현재까지 총 18속 75종(6신종 포함)이 45속 75종의 숙주곤충으로부터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동정된 5종의 충생자낭균류와 그들의 숙주곤충들의 특징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충생자낭균류란 무엇인가? 충생자낭균류는 절족동물(2종 중에서 특히 곤충류)의 표피에 기생하는 활물기생균류이다. 이 균류는 1840년 프랑스의 곤충학자 August Rouget에 의해 처음으로 알려졌고, 1896년 미국의 균학자 Roland Thaxter에 의해 그 분류체계가 확립된 후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약 133속 2,000여 종류 이상이 보고되고 있다.
충생자낭균류는 우리나라에서 몇 가지 종이 균류 상 보고되었는가? 충생자낭균류의 5종이 우리나라의 균류상에 보고되어진다. 그들은 Acupalpus hilaris 숙주곤충에서 Laboulbenia acupalpi, Anoplogenius cyanescens 숙주곤충에서 L.
충생자낭균류는 언제 누구에 의해 처음 알려졌는가? 충생자낭균류는 절족동물(2종 중에서 특히 곤충류)의 표피에 기생하는 활물기생균류이다. 이 균류는 1840년 프랑스의 곤충학자 August Rouget에 의해 처음으로 알려졌고, 1896년 미국의 균학자 Roland Thaxter에 의해 그 분류체계가 확립된 후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약 133속 2,000여 종류 이상이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등(1981, 1982a, 1982b, 2003)과 Lee 등(1983, 1986, 1990, 1991, 1992a, 1992b, 1992c, 1993, 1995, 1996, 1998a, 1998b, 1999, 2002, 2003, 2004, 2005, 2007, 2011)에 의하여 현재까지 총 18속 75종(6신종 포함)이 45속 75종의 숙주곤충으로부터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이용보, 이지열. 1981. 한국산 충생균류에 대한 연구(I). 한국균학회지 9(4):177-192. 

  2. 이용보, 이종일, 이지열. 1982a. 한국산 충생균류에 대한 연구(I). 한국균학회지 10(1):1-6. 

  3. 이용보, 이지열. 1982b. 원색도감 발간을 위한 한국산 자낭균류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균학회지 10(3):101-110. 

  4. 이용보, 나영희, 봉필동, 임채규. 2003. 한국의 집게벌레목에 기생하는 충생자낭균류의 분류에 관하여. 한국균학회지 31(3):129-133. 

  5. Balazukc, J. 1974. Labouloeniales de France (suite). Bulletin mensuel de la Societe Linnenne de Lyon 43: 12-21. 

  6. Hulden, L. 1983. Laboulbeniales (Ascomycetes) of Finland and adjacent part of the U.S.S.R. Karstenia 23:31-136. 

  7. Kesel, D. 1998. Identificatie en Gastheerspectrum van het genus Laboulbenia in Belgie (Ascomycetes, Laboulbeniales). Sterbeeckia 18:13-31. 

  8. Lee, Y. B., Kang, S. Y., Kim, K. S., Kim, S. J. and Mun, Y. S. 1983. Studies on the Laboulbeniomycetes (Ascomycetes) in Korea(IV). Inst. Nat. Sci. Chosun Univ. 6:23-49. 

  9. Lee, Y. B. 1986. Taxonomy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Laboulbenisales in Asia. Kor. J. Plant Tax. 16(2):89-185. 

  10. Lee. Y. B. and Kim, S. J. 1990. Study on the Laboulbeniales Parasited on Aqratic Coleoptera in Korea. Kor. J. Mycol. 18(1):1-6. 

  11. Lee, Y. B. and Park, H. S. 1991. Three species of the Laboulbeniales (Ascomycotina) collected in Korea. Kor, J. Mycol. 19(1):18-21. 

  12. Lee, Y. B and Choi, D. S. 1992a. Stucies on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the Laboulbeniales collected Korea(species from Cheonnam Province). Kor. J. Mycol. 20:183-194. 

  13. Lee, Y. B. and Choi, D. S. 1992b. On species and genera of the Laboulbeniales collected in South Korea I. In: Proc. of Asian Mycol. Symp., pp. 67-84. Seoul, Korea. 

  14. Lee, Y. B. and Choi, D. S. 1992c. On species and genera of the Laboulbeniales collected in South Korea II. In: Proc. of Asian Mycol. Symp., pp. 85-100. Seoul, Korea. 

  15. Lee, Y. B. and Choi, D. S. 1993. Notes on the Laboulbeniales (Ascomycotina) Collected on aquatic Doleoptera of Korea. Trans. Mycol. Soc. Japan 34(2):267-274. 

  16. Lee, Y. B., Lim, C, K. and Na, Y. H. 1995. Notes on the Laboulbeniales in Korea. Species from the Cheju lsland. Kor. J. Mycol. 23(1):80-85. 

  17. Lee, Y. B., Gwak, C. S., Lim, C, K. and Na, Y. H. 1996. Notes on the Laboulbeniales in Korea. Species from Kwangneung, Kyeonggido. Kor. J. Mycol. 24(3):180-185. 

  18. Lee Y. B. and Na Y. H. 1998a, Note on Some New Species Including unrecorded species of the Laboulbeiales (Ascomycotina) collected in Korea. Kor. J. Mycol. 26(1):106-118. 

  19. Lee, Y. B. and Lim, C, K. 1998b. Notes on Species of the Laboulbeniales (Ascomycotina) collected in Korea. Kor. J. Mycol. 26(3):302-305. 

  20. Lee, Y. B. and Na, Y. H. 1999. Notes on three of the Laboulbeniales (Ascomycotina) newly collected from Korea. Kor. J. Mycol. 27(3):208-210. 

  21. Lee, Y. B., Kim, K. T. and Lim, C, K. 2002. Interesting Species of the Laboulbeniales from Upo Swamp. Kor. J. Mycol. 30(3):128-132. 

  22. Lee, Y. B., Kim, K. T. and Lim, C, K. 2003. Interesting Species on the new hosts of the Laboulbeniales in Korea. Inst. Bas. Sci. Chosun Univ. 26:177-190. 

  23. Lee, Y. B., Na, Y. H. and Back, S, B. 2004. Notes on Three Species of Laboulbenia Newly Collected in Korea. Kor. J. Mycol. 32(4):129-133. 

  24. Lee, Y. B., Na, Y. H. and Lim, C, K. 2005. Notes on Three Species of the Laboulbeniales Nwely Collected in Korea. Kor. J. Mycol. 33(1):61-64. 

  25. Lee, Y. B., Na, Y. H., Jang, I. H., Lim, C. K. and Yang, Y. K. 2007. Note on Three Species of the Genus Euphoriomyces (Laboulbeniales) from Korea. Kor. J. Mycol. 35(1):1-5. 

  26. Lee, Y. B. and Na, Y. H. 2011. A New Species of the Genus Euphoriomyces (Laboulbeniales Ascomycotina) Collected in Korea. Kor. J. Mycol. 39(1):59-60. 

  27. Maire, R. 1916. Sur une nouvelle Laboulbeniale parasite des Scaphidiidae. Bulletin Scientifique de la France et de la Belgique 49:290-296. 

  28. Majewski, T. 1981. Rare and new Laboulbeniales from Poland. VI. Acta Mycologica 16:141-153. 

  29. Majewski, T. 1994. The Laboulbeniales of Poland. Polish Bot. Stud. 7:3-466. 

  30. Majewski, T. and Sugiyama, K. 1989. Some Laboulbeniales (Ascomycotina) collected in Japan. IV. Additional species on coleopterous insects from Iriomote Island. Trans. Mycol. Soc. Japan 30:77-88. 

  31. Rossi, W. 1975. Ssu alcune Laboulbeniali(Ascomycetes) nuove per l' Italia. Giornale Botanico Italiano 109:71-85 

  32. Rossi, W. and Weir, A. 1997. Laboulbenia Pterostichi and its allies. Mycol. Res. 101(2):129-134 

  33. Santamaria, S. 1986. Contribucion al conocimiento de los Laboulbeniales (Ascomycotina) ibericos, I : genero Laboulbenia. Anales Jardin. Botanico de Madrid 42(2):271-282. 

  34. Santamaria, S. 2004. Two new genera of Laboulbeniales allied to Zodiomyces. Mycologia 96(4):761-772. 

  35. Siemaszko, J. and Siemaszko, W. 1932. Owadorosty polskie i palearktyczne (Laboulbeniales polonici et palaearctici 2). Polskie Pismo Entomol. 10:149-188. 

  36. Spegazzini, C. 1915. Laboulbeniali ritrovati nelle collezioni di alcuni Musei italiani. An Mus. Nac. Hist. Nat. Buenos Aires 26:451-511. 

  37. Spegazzini, C. 1917. Revision de las Laboulbeniales argentinas. An. Mus. Nac. Hist. Nat. Buenos Aires 29:445-688. 

  38. Sugiyma, K. 1978. The Laboulbeniomycetes of eastern Asia(3). On nine species including two new species. J. Japan Bot. 53(9):281-288. 

  39. Tavares, I. I. 1985. Laboulbeniales (Fungi, Ascomycetes). Mycologia Memoir 9:1-627. 

  40. Thaxter, R. 1891. Supplementary note on North American Laboulbeniaceae. Proc. Amer. Acad. Arts Sci. 25:261-270. 

  41. Thaxter, R. 1899. Preliminary diagnoses of new species of Loboulbeniaceae. Proc. Amer. Acad. Arts Sci. 35:151-209. 

  42. Thaxter, R. 1908. Contribution towards a monograph of the Laboulbeniaceae. Part II. Mem. Amer. Acad. Arts Sci. 13(6):217-469 

  43. Thaxter, R. 1931. Contribution towards a monograph of the Laboulbeniaceae . Mem. Amer. Acad. Arts Sci. 16:1-4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