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차량 통행시간 산정을 위한 다중서비스 대기행렬이론 연구
Application of Multi-Server Queuing Theory to Estimate Vehicle Travel Times at Freeway Electronic Toll-Collection Systems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0 no.2, 2011년, pp.22 - 34  

성현진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최재성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상엽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통행 요금징수로 인해 교통지체가 발생할 때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차량들의 통과시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설치효과를 톨게이트를 빠져나가는 차량들의 통과시간 감소 편익이라고 생각했으며, 차량의 통과시간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서비스 대기행렬 이론을 적용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 톨게이트로 진입하는 차량들의 입차 간격이 Poisson 분포를 따르고,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서비스 시간이 지수 분포를 따를 때 다중서비스 대기행렬이론을 적용하여 차량들의 통과시간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과,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설치하더라도 통행 요금을 징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톨게이트 출구 쪽이 입구 쪽보다 통과시간 감소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는 것, 그리고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설치한다고 해서 항상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시간이 감소하는 것은 아니며, 자동요금징수시스템 차로에 너무 많은 차량들이 몰리는 경우 오히려 톨게이트 전체로 볼 때는 차량당 통과시간이 증가한다는 것을 밝혔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중서비스 대기행렬이론의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해 실제로 톨게이트 현장조사에서 통과 차량들의 평균 통과시간을 조사해서 모형 값과 비교했는데, 그 결과 모형 값과 실측 값은 약 1~3초 정도의 미소한 차이만을 보여서 다중서비스 대기행렬이론을 실무에 적용해도 좋다는 결론을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a research on how engineers can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the ETCS(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installed to minimize the vehicle delays on freeway tollgates during toll payments. This research considered this economic effect to occur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통행시간 분석을 위해 어떤 분석 이론을 적용하는 것이 좋을지 검토하였다. 먼저 미국의 Gross 외(2008)가 저술한 책에서는 차량의 도착률, 서비스 시간의 분포가 매우 다양한 조건 하에서 어떤 대기행렬이론을 적용하는 것이 좋은지 제시하였는데[5], 이 책자에서는 본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특성에 해당하는 대기행렬에 대한 적절한 분석 기법을 잘 제시하고 있다.
  • 다음으로 위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이지만 이번에는 입구 쪽이 아닌 출구 쪽에서 다중서비스 대기행렬이론을 적용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 경우 일반식으로 요금을 내는 차로에서 차량 1대를 서비스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표 2>에서 보는 바대로 13초로 비교적 길다.
  • 첫째, 기존 연구 결과 검토 과정을 통해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통과시간 산정에 사용되는 제반 분석 모형들을 검토하였다. 둘째, 기존 연구 결과를 통해서 선정한 다중서비스 대기행렬이론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이 이론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자동요금징수시스템에 연결시킬 수 있을 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끝으로, 다중서비스 대기행렬이론을 통해 분석한 평균 통과시간은 실제 고속도로에 설치한 자동요금징수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차량의 평균 통과시간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별도로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실증 자료를 수집하여 이론적 수치와 비교하였다.
  • 한편 이와 같이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대폭적으로 설치하였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정작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는 거의 없으며, 특히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설치하기 이전에 이 시스템의 경제적 타당성을 사전에 검토하고자 할 때 어떤 절차를 따라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이 없어 매우 아쉬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 설치에 따른 평균 통과시간의 변화를 경제적 효과로 분석하는 이론적 기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설치했을 때 나타나는 편익이 차량들이 톨게이트를 통과는데 걸리는 시간의 감소라고 판단하여 이론과 실제를 통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설치 효과를 차량 통과시간 감소 편익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는데, 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 설치로 인한 평균 통과시간의 변화를 경제적 편익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한편 공간적 범위로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고속도로 톨게이트를 대상으로 했으며, 시간적 범위는 주말을 배제한 평일 교통류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요금징수시스템 설치로 인한 평균 통과시간 변화를 경제적 편익으로 계량화하는 것이며, 평균 통과시간 분석은 자동요금징수시스템 설치 전후 차량들의 톨게이트 통과시간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기행렬이론을 사용하였는데, 대기행렬이론을 통해 얻은 값이 신뢰성을 확보하려면 1차로 교통강도가 1.
  • 전 절에서 이미 언급한대로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설치 편익은 차량 연료소비 감소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들이 정지했다 다시 출발하면서 발생하는 교통혼잡비용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런 관점을 갖고 연구한 결과들에 주목하였다.

가설 설정

  • - H0 : 분석결과와 조사결과의 차이가 없다.
  • - H1 : 분석결과와 조사결과의 차이가 있다.
  • -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서비스 시간은 티켓을 뽑는 시간과 요금을 계산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식에 비해 통과시간이 짧다.
  • 그러나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서비스 시간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량들이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평균 서비스 시간에는 차량들이 나타내는 통과속도를 고려한 차두 간격을 반영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이론적으로 볼 때 차두 간격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차량 추종 이론(Car Following Model)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차량 추종 이론을 반영하여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통과하는 차량들 간의 거리를 식 (10)과 같이 산출하였다.
  • 5miles/h에서 15miles/h로 증가한 것을 밝힌 바 있다[7]. 본 연구에서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설치하였을 때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들의 통과시간이 감소할 것으로 가정하고 있는데, 이 결과는 본 연구의 가정이 적절한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경우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 무엇인가? 전 절에서 이미 언급한대로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설치 편익은 차량 연료소비 감소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들이 정지했다 다시 출발하면서 발생하는 교통혼잡비용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런 관점을 갖고 연구한 결과들에 주목하였다.
톨게이트의 대기행렬은 어떤 요소로 정해지는가? 톨게이트의 대기행렬은 도착 교통량 특성, 서비스 시간 특성, 서비스 수준(승객이 평균적으로 기다리게 되는 정도를 나타나는 서비스 척도)의 3가지 요소를 통해 정해진다[7-9]. 대기행렬이론을 적용할 때, 고객들이 Poisson 분포로 도착하고 서비스 시간이 IID(Independently and Identically Distributed) 지수 분포를 따르며 c개의 서비스 시스템을 가질 경우 M/M/c 라고 나타낸다.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설치 효과를 차량 통과시간 감소 편익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서비스 시간은 티켓을 뽑는 시간과 요금을 계산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식에 비해 통과시간이 짧다. - 또한 톨게이트에서 차량 대기행렬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설치한 차로를 통과하는 차량들은 정차하지 않고 약 30km/h 속도로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통과시간이 감소한다. - 그러나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차로 수가 이를 이용하려는 차량수요에 비해 너무 적으면 대기행렬이 발생하여 오히려 차량들이 톨게이트를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평균 통과시간은 전체적으로 볼 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톨게이트를 Case 1․2로 나누어 대기행렬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자동요금징수시스템 이용률이 높다고 해서 항상 차량의 통과시간이 감소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통과시간은 일반식 입․출구를 통과하는 경우의 통과시간보다 짧으나 자동요금징수시스템에 교통량이 증가하여 시스템의 용량에 가까워지는 경우 오히려 톨게이트 전체로 볼 때는 통과시간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일반식 입구 8개 차로, 자동요금징수시스템 4개 차로인 톨게이트에서 약 4,000대/시 이상 교통량을 보이게 되면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을 설치해도 설치 이전보다 오히려 통과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이상건, 조용성, 오세창, "자동요금징수시스템 (ETCS)의 시범사업 효과분석(하이패스 시스템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4호, pp.59-68, 2001. 8. 

  2. 국회예산정책처, "하이패스 사업평가," 국회예산정책처, 2008. 11. 

  3. K.Waersted, "Urban Tolling in NORWAY-Practical Experiences, social and environmental impacts and plans for future systems," PIARC Seminar on Road Pricing with emphasis on Financing, Regulation and Equity, April 2005. 

  4. G. U. Padayhag, R. G. Sigua, "Evaluation of metro manila's electronic toll collection(ETC) system," Journal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vol.5, October 2003. 

  5. D. Gross, J. F. Shortle, J. M. Thompson and C. M. Harris, "Fundamentals of queueing theory," A John Wiley & Sons, INC., Publication, Fourth Edition, August 2008. 

  6. D. K. Smith, "Calculation of steady-state probabilities of M/M queues: further approaches,"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and Decision Sciences, March 2002. 

  7. M. C. Pietrzyk and E. A. Mierzejewski, "Electronic toll and traffic management(ETTM) system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CHRP Synthesis Report 194, January 1993. 

  8. 정희운, "경제성 분석을 이용한 Hi-Pass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2. 12. 

  9. 이호우, "대기행렬이론-확률과정론적 분석-," 시그마프레스, 제3판, 2006. 1. 

  10. 한국도로공사, "도로설계요령, 제3-3편: 영업소," 한국도로공사, 2009. 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