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음식에 사용된 매운 맛
Spicy Taste of Korean Traditional Food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4, 2011년, pp.374 - 382  

조우균 (가천의과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rigi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spicy taste dates back to the first telling of the Dangun myth-a story of a tiger and bear who tried to reincarnate themselves in human form by eating garlic and wormwood. For a long time, Koreans have eaten spicy vegetables such as green onion, garlic, ging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의 기본 맛은 단맛, 신맛, 짠맛, 쓴맛 이외에 매운 맛, 떫은 맛, 감칠맛, 고소한 맛 등 다양한 맛이 있다. 동양철학과 전통의학(한방)에서는 오행학설에 따라 식물의 특성을 귀속시키고 식품 재료의 성질에 따라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하고자 하였다. 전통음식에서도 음양오행사상의 상생(相生), 상극(相剋)에 해당하는 상호협동(相互協同)과 길항작용(拮抗作用)을 유기적 관계에서 반영하여 왔다.
  • “신(辛)”은 넓은 의미에서의 매운 맛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모든 자극성을 지닌 야채, 매운 맛을 지닌 음식이나 조미료를 가리킨다(Zhao 2008). 본 글은 한국음식에서 사용되어진 매운 맛의 작용, 생리기능성과 매운 맛 성분을 살펴보고, 한국음식에 사용된 매운 맛의 특징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이영은. 2005. 전통식품의 기능성 재발견: 전통 채소류의 기능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한국조리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 53-78 

  2. 정경란, 장대자, 양혜정, 권대영. 2008. 고추는 과연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부터 들어왔는가? 한국식품연구원 한맛한얼, 1(3):4-11 

  3. 정경란, 장대자, 양혜정, 권대영. 2008. 임진왜란 때 들어왔다는 왜개자는 과연 한국 고추인가? 한국식품연구원 한맛한얼, 1(4):5-16 

  4. 정경란, 장대자, 양혜정, 권대영. 2009. 고추의 어원은 '왜개자', '남만초', '번초' 그리고 '고초'도 아닌 우리말 '고쵸'이다. 한국식품연구원 한맛한얼, 2(2):4-27 

  5. 정경란, 장대자, 양혜정, 권대영. 2009.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고추가 임진왜란 훨씬 이전에 '고쵸'로 이미 있었다. 한국식품연구원 한맛한얼, 2(1):6-31 

  6. 本草綱目; 卷26, 菜部 ?菜類 葫條(台北 文友書店發行 1959년) 

  7. 徐有?. 1827. 林園經濟志(林園十六志). Lee HG, Cho SH, Chung NW, Cha KH edited. 2007. Imwonsipyookjijeongjoji. Kyomoonsa. Gyenggi-do Paju-si. p 240 

  8. 需雲雜方(1481-1552) Korean History On-line; http://www.ugyo.net/resolver.jsp?catbok&lvl14&lvl2B014&lvl346 

  9. 柳重臨. 1766(英祖 42). 增補山林經濟. Sook-Ja Yoon edited. 2007. Geegumoonwhasa. Gyenggi-do. p 89, 361 

  10. 李奎報. 1251. 東國李相國集. National Culture Propelled Society. Collec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publication.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Korean Classics Overall DB 

  11. 洪萬選(1643-1715). 1715. 山林經濟. 民族文化推進會. 1985. 民族文化文庫刊行會. Vol. 1 p 127, 129, 131, Vol. 2 pp 220-221, Vol. 3 pp 110-112 

  12. 訓蒙字會. 1527. 原本影印. 韓國古典叢書(復元版) I. 語學類. 1973. 大提閣. Seoul. p 28 

  13. Association of Hankukeuimaht. 2004. Hankukeuinamul. Bookpolio. Seoul. p 10, pp 39-41, p 95, p 100, pp 111-113 

  14. Bae HJ, Chun HJ. 1997. A Study on Garlic Utilization Practice of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consumed quantity of garlic and its content in each meal. Korea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Spring symposium presentation. p 256 

  15. Bae HJ, Chun HJ. 1997. A Study on Garlic Utilization Practice of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consumed quantity of garlic and its content in each meal. Korea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Spring symposium presentation. p 256 

  16. Baek DH. 2009. Umsikdimibang an annotated edition. Geulnurim. Seoul. pp 148-153, 276 

  17. Bingheogak Lee. 1809. Gyuhapchongseo. Translated by Yangwhan Jeong. 1999. Bojinjae. Gyenggi-do Paju-si. p 3 

  18. Chang CH. 1972. The Cultivation History of Korean Vegetables. Dissertations of Seoul Agricultural College. pp 117-146 

  19. Chang JH, Cho JS, Lee CJ. Seo BC. Jeon HJ, Hwang IG, Kim JP, Jung DH, Lee HG, Lee CH. Lim HS. Ahn MS. 2001. Corpus of Korean Food. Vol. 4 (Process and Storage of Fermented Food)-A Sitological History of Kimchi. Foundation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edited. Hanllym publishing. Seoul. pp 171-214 

  20. Cho HJ. 1998. The traditional Method for Preparing Korean Vegetable Dishes-Especially about Namul . Sengchae . Ssam. Korean J. Soc. Food Sci. (Nov.), 14(4):339-347 

  21. Cho JS. 1997. Corpus of Korean Food. Vol.4 Fermented . preserved . processed food Part 4-1. History of Kimchi and sitological consideration . Foundation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edited. Hanllym publishing. Seoul. pp 171-214 

  22. Cho JS. 2002. History of chili pepper and sitological value and culture in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2):156-161 

  23. Cho WK. 2011. Prototype of the Korean hot taste. 51th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Spring symposium presentation. pp 41-50 

  24. Han KS. 1997. Corpus of Korean Food. Vol. 2 Staple Food . Seasoning . Garnish . Side dish. Part 4. Namul, Saeng- Chae. Foundation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edited. Hanllym publishing. Seoul. pp 245-250 

  25. Hong MS(洪萬選). 1715. 山林經濟. A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culture. 1985. National culture library publication society. Vol. 1. p 127, 129, 131. Vol. 2. pp 220-221. Vol. 3. pp 110-112 

  26. http://100.naver.com/네이버백과사전_마늘; 오신채 

  27. http://www.google.co.kr /산초나무 

  28. http://ko.wikipedia.org/wiki 

  29. Kang IH. 1987. Hankukeuimaht. Daehangyogwaseojoosikhoesa. Seoul. p 5, p 10, pp 153-159 

  30. Kang IH. 1991. History of Korean Dietary Life. 2nd Ed. Samyoungsa. Seoul. pp 4-373 

  31. Kang IH. 1992. Korean health food. Daehangyogwaseojoosikhoesa. Seoul. pp 9-11 

  32. Kang SA. 2011.05.11. Seoul University of Venture & Information. http://ffs.suv.ac.kr/sub03_022_02.html 

  33. Kim JD. 2009. Argument of chili pepp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history, 8(1):106-125 

  34. Kim JD. 2011. Prototype of the Korean hot taste. 51th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Spring symposium presentation. pp 19-37 

  35. Kim KN. 2009. Dietary life and physiology of taste.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on. Summer symposium presentation. pp 17-37 

  36. Kim TH. 2001. Corpus of Korean Food. Vol. 2 Staple Food . Seasoning . Garnish . Side dish. Part 2. Seasoning. Foundation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edited. Hanllym publishing. Seoul. pp 107-141 

  37. Lee MS, Chung MS, Lee SW. 1988. A Historical Review on Korean Vegetables. Korean J. Food Culture, 3(4):359-367 

  38. Noh WS. 2002. Herbs and spices in Food industry. Journal of East Asian Society Dietary Life, 12(5):424-430 

  39. Sohn KH. 1990. Aspects of flavor enhancer in Food Science. Korean J. Dietary Culture, 5(3):391-397 

  40. Sohn KH. 1991. Kinds and Usage of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6(4):503-520 

  41. Suh HD. 2002. Cultivation history and present production of garlic.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5):416-423 

  42. Zhao R. 2008. Discus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nge of Chinese Piquancy Addiction. Korean J. Food Culture, 23(2): 293-3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