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韓國産) 느릅나무속 3수종(樹種)의 종자저장성(種子貯藏性) 및 발아특성(發芽特性)
Germination Behaviors and Seed Longevities of Three Ulmus Specie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4 no.4, 2011년, pp.438 - 444  

송정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임효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장경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느릅나무속 3수종[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Rehder) Nakai), 비술나무(U. pumila L.), 참느릅나무(U. parvifolia Jacq.)]의 온도조건(4개)에 따른 발아특성(발아율, 평균발아소요일수, 발아속도) 및 건조기간에 따른 종자 활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온도조건의 영향을 살펴보면 3수종 모두 평균발아일수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발아율에서는 참느릅나무에서만 통계적으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느릅나무와 비술나무는 모든 온도조건에서 비교적 고른 발아율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비술나무는 저온(10~15$^{\circ}C$)에서도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다. 참느릅나무는 저온(10~20$^{\circ}C$)에서는 거의 발아가 되지 않으며 25$^{\circ}C$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발아가 되는 독특한 특성을 나타냈다. 비술나무와 참느릅나무 종자는 4~8% 수분함수율 조건에서 시설저장이 가능한 저장성 종자(Orthodox seed)로 판명되었으며, 느릅나무 종자는 장기저장이 어려운 난저장성 종자(Recalcitrant seed)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느릅나무속 3수종의 발아특성 및 저장성의 차이는 수종별 분포특성에 따른 상이한 환경 조건에 적응하기 위한 종 특유의 생존 전략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emperature effect on seed germination behaviors and seed viability changes by drying periods of three Ulmus species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U. pumila L., and U. parvifolia Jacq.) distributed in Korea.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적 측면에서 이용가치가 풍부한 느릅나무속의 현지외 유전자원 보존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느릅나무, 비술나무 및 참느릅나무에 대한 발아특성 및 종자저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느릅나무속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and Lee, 1989; Kim, 1996, 2007). 대부분의 느릅나무속은 계곡과 수변지역에 분포하며(Johnson et al., 1976; Peterken and Mountford, 1998) 종자결실의 시기(여름결실, 가을결실)에 따라 2가지 형태로 크게 분류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참느릅나무를 제외한 대부분은 여름결실의 형태에 속한다.
느릅나무속 수종의 높은 약용적 가치로 어떠한 현상이 발생했는가? , 1996) 등 약리 효과가 인정되면서 다양한 느릅나무속 수종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약용적 가치로 남벌과 약초꾼들의 무분별한 채취가 일어나서 자생지 파괴가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느릅나무속은 대부분 개화하여 결실에 이르는 기간이 짧고 단시일 내에 비산하기 때문에 종자수집이 어려우며, 특히 느릅나무를 비롯한 일부 수종은 수명이 매우 짧은 난저장성 단명종자(Recalcitrant seed)이므로 종자에 대한 연구 및 육종전략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Tak et al.
한반도에 자생하는 느릅나무속 7 분류군의 나무는 무엇인가? 느릅나무속(Ulmus L., Ulmaceae)은 약 30종이 북반구의 열대와 온대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한반도에서는 7분류군[비술나무(U. pumila L.), 당느릅나무(U. davidiana Planch. var. davidiana), 느릅나무(U. davidiana var. japonica(Rehder) Nakai), 중느릅나무(U. x mesocarpa M.Kim & S.Lee), 왕느릅나무(U. macrocarpa Hance), 난티나무(U. laciniata(Trautv.) Mayr), 참느릅나무(U. parvifolia Jacq.)]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and Lee, 1989; Kim, 1996, 2007). 대부분의 느릅나무속은 계곡과 수변지역에 분포하며(John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e, M., A. Honda, K. Hoshizaki and H. Miguchi. 2008. Advantage of early seedling emergence in Fagus crenata: importance of cotyledon stage for predator escape and pathogen avoidance. Ecol. Res. 23:681-688. 

  2. Barbour, J.R. and K.A. Brinkman. 2008. Ulmus. In Bonner, F.T. and R.P. Karrfalt (eds.). The Woody Plant Seed Manual. Agriculture Handbook No. 727. USDA Forest Service, DC. pp. 728-732. 

  3. Cho, S.K., S.G. Lee and C.J. Kim. 1996.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ies of water extract of root bark of Ulmus parvifolia. Korean J. Pharmacogn. 27(3):274-281 (in Korean). 

  4. Chung, Y.S. 1993.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storage method of Ulmus parvifolia Jacq. seeds. Kon-Kuk J. Nat. Sci. Technol. 4:23-30 (in Korean). 

  5. Cicek, E. and F. Tilki. 2007. Seed germination of three Ulmus species from Turkey as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light. J. Environ. Biol. 28(2):423-425. 

  6. Cochrane, J.A., A.D. Crawford and L.T. Monks. 2007. The significance of ex situ seed conservation to reintroduction of threatened plants. Australian J. Bot. 55(3):356-361. 

  7. Donohue, K. 2003. Setting the stage: phenotypic plasticity as habitat selection. Int. J. Plant Sci. 164:S79-S92. 

  8. Dulamsuren C., M. Hauck, S. Nyambayar, D. Osokhjargal and C. Leuschner. 2009. Establishment of Ulmus pumila seedlings on steppe slopes of the northern Mongolian mountain taiga. Acta Oecol. 35:563-572. 

  9. Fu, L., Y. Xin and A. Whittemore. 2003. Ulmaceae. In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Flora of China, Vol. 5.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pp. 1-19. 

  10. Im, R.J. 1999. Flora Medica Coreana, Vol. 3. Agriculture Publishing House, Pyeongyang, North Korea. p.192 (in Korean). 

  11. Johnson, W.C., R.L. Burgess and W.R. Keammerer. 1976. For vegetation and environment on the Missouri River North Dakota. Ecol. Monogr. 46:59-84. 

  12. Kim, D.H., S.H. Han and J.H. Song. 2011. Evaluation of the inorganic compound leakage and carbohydrates as indicator of physiological potential of Ulmus parvifolia seeds. New Forest. 41:3-11. 

  13. Kim, M.Y. 1996. A 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Ulmacea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Korean J. Plant Taxon. 26(3):163-181 (in Korean). 

  14. Kim, M.Y. 2007. Ulmaceae. In Park, C. W. (eds.).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237-240. 

  15. Kim, M.Y. and S.T. Lee. 1989. Taxonomical study of the Korean Ulmaceae. Korean J. Plant Taxon. 19(1):31-78 (in Korean). 

  16. Lee, C.H. and K.W. Nam. 2009.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in Heteropappus arenarius Kitam. Native to Korea as influenced by temperature. Korean J. Plant Res. 22(2):116-122 (in Korean). 

  17. Lee, S.E., Y.S. Kim, J.E. Kim, J.K. Bang and N. S. Seong.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 and Hemipteleae davidii P.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4):321-327 (in Korean). 

  18. Lee, T.B. 199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280-281 (in Korean). 

  19. Levy-Yamamori, R. and G. Taaffe. 2004. Garden plants of Japan. Timber Press, Portland, OR. pp. 250-251. 

  20. Nomiya, H. 2010. Differentiation of seed germination traits in relation to the natural habitats of three Ulmus species in Japan. J. For. Res. 15:123-130. 

  21. Peterken, G.F. and E.P. Mountford. 1998. Long-term change in an unmanaged population of wych elm subjected to Dutch elm disease. J. Ecol. 86:205-218. 

  22. Scott, S.J., R.A. Jones and W.A. Williams. 1984. Review of data analysis methods for seed germination. Crop Sci. 24:1160-1162. 

  23. Son, S.G., H.J. Kim, C.S. Kim, Y.J. Kang, C.S. Kim and K.O. Byun. 2009. The time for collecting of Cryptomeria japonica seeds. Korean J. Plant Res. 22(6):535-539. 

  24. Tak, W.S., C.H. Choi and T. S. Kim. 2006. Change in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ropertie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seed collection time. J. Korean For. Soc. 95(3):316-322 (in Korean). 

  25. van Slageren, M.W. 2003. The millenium seed bank: building partnerships in arid regions for the conservation of wild species. J. Arid. Environ. 54:195-201. 

  26. Walsh, D.G.F., S. Waldren and J.R. Martin. 2003. Monitoring seed viability of fifteen species after storage in the Irish threatened plant genebank. Biol. Environ. 103B(2):59-67. 

  27. Wesche, K., D. Walther, H. von Wehrden and I. Hensen. 2011. Trees in the desert: Reproduction and genetic structure of fragmented Ulmus pumila forests in Mongolian drylands. Flora 206(2):91-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