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nutritional statu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aged ${\geq}$65 years residing in Gyeongnam Masan (n=124). Nutrition intakes, food intake frequency,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cluding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were investigated. Nutrition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남 창원시에 거주하는 여자 노인들의 영양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창원시에 위치하고 있는 두 곳의 경로당(팔용동, 구암동)과 마산종합사회복지관을 방문하는 여자 노인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식이 섭취 조사, 인체계측 및 혈압, 혈당을 측정하였다.
  • 창원시 옛 마산 지역은 중소 해안 도시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복지 시설이 미비한 실정이며, 또한 노인들의 영양 상태를 조사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식이 섭취 기준과 동일하게 65~74세, 75세 이상 두 그룹으로 나누어 창원시 마산 지역 여자 노인들의 영양 상태를 조사, 평가하고자 하며,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보건소를 중심으로 노인을 위한 급식과 영양 교육 프로그램, 복지서비스 시설 등을 개발하여 실시함으로써 노인의 영양 및 건강 상태를 증진시키고, 더 나아가 남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HJ, Kim GE, Cheong HS, Jung SJ, Kim SH (2005) The effects of relating factors on the nutrient intake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Gyeo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11: 21-27. 

  2. Hong SM, Choi SY (1996) A study on meal management and nutrient intake of the elderl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055-1061. 

  3. Jung HY, Yang IS, Lee HY, Chae IS (2003) Analyzing the current congregate meal service program for homebound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8: 919-926. 

  4. Kennedy E (2006) Evidence for nutritional benefits in prolonging wellness. Am J Clin Nutr 83(suppl): 410S-414S. 

  5. Kim HS, Jung GH, Jang DM, Kim SH, Lee BK (2005) Increased calcium intake through milk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of elderly women living in Asan. J Korean Diet Assoc 11: 242-250. 

  6. Kim KN, Hyun T, Lee JW (2000) Development of a simple screening test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the risk of under 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 5: 475-483. 

  7. Kim KN, Lee JW, Park YS, Hyun TS (1997)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Cheongju. Korean J Community Nutr 2: 556-567. 

  8. Kim MH, Lee JC, Bae YJ (2009) The evaluation study on eating behavior and dietary quality of elderly people residing in Samcheok according to age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14: 495-509. 

  9. Kim MY, Han HK, Choi SS, Lee SD (2005) A study on dietary pattern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habit index in Ganghwa-gu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0: 892-904. 

  10. Kim YH, Ha TY, Lee BH (2006) A comparative analysis of mental status,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senior citizens with or without leisure activities in urb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422-429. 

  11. Kim YK, Lee HO, Chang R, Choue R (2002) A study on the food habits, nutrient intake and the disease distribution in the elderly(aged over 65 years)(1). Korean J Community Nutr 7: 516-526. 

  12. Koo JO, Park YJ, Lee YH, Yoon HY, Son SM (1996)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Korean elderly from low 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nd health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1: 215-227. 

  1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Annual report on the statistics. p 5. 

  14. Kwak EH, Lee SL, Yoon JS, Lee HS, Kwon CS, Kwun IS (2003) Macronutrient, mineral and vitamin intakes in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of North Kyungpook Province in South Korea. Korean J Nutr 36: 1052-1060. 

  15. Lee HS, Kwun IS, Chong SK (2008) Nutrition risk analysis based on the food intake frequency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older residents (50 years and over) in Andong area(1).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98-1008. 

  16. Lee KH, Park JR, Seo JS (2007)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a private silver town of Busan city,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293-1299. 

  17. Lee KH, Park MY (2001) Nutrient intake of the rural elderly living in Ky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6: 773-788. 

  18. Park MY, Kim GR, Lee DJ, Kim JM, Park PS (2006) A survey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the aged people in rural area, Gyeongbuk Yecheon. Korea J Nutr 39: 58-67. 

  19. Park MY, Lee KH, Youn HS (2001) Nutrition status of the rural elderly living in Ky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6: 527-541. 

  2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Hanareum Publishing Co. p 3. 

  21. Yang EJ, Bang HM (2008) Nutrition status and health risk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area. Korean J Nutr 41: 65-76. 

  22. Yang KM (2005)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people in Gyeong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18-1027. 

  23. Yim ES, Lee KJ (2003) Effect of physical abi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J Korea Geronol Nurs Soc 5: 38-49. 

  24. Yim KS, Min YH, Lee TY, Kim YJ (1998) Strategies to improve nutrition for the elderly in Suwon: Analysis of food dietary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Korean J Community Nutr 3: 410-422. 

  25. Yoon HJ, Lee HK, Lee SK (2007) The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female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 50-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