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 지위적 접근을 통한 5학년의 광합성 개념 분석
An Approach of Ecological Niche to Analysis of Recognition of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for Conception of Photosynthesi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4, 2011년, pp.513 - 527  

정재훈 (달성초등학교) ,  김영신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습자의 개념 형성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개념 생태 관련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학습자의 인지 구조를 생태계로 비유한다면, 인지 구조 속에 존재하는 개념은 생태계의 종으로 비유할 수 있다. 따라서 생태계 내 종이 생태 지위를 가지듯이, 학습자의 개념 생태 내 개념도 생태 지위를 가질 수 있다. 이 연구는 개념의 다양성, 개념의 관련성과 빈도율 변화, 개념 간 경쟁관계로 구성된 생태 지위적 접근을 통하여, 광합성 학습 전 후에 5학년들이 인식하는 광합성 개념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광합성 장소, 광합성 생성물질, 광합성 필요물질, 광합성 환경요인 네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별로 알고 있는 개념과 그 개념의 관련성 정도를 점수(1~30 점)로 기입하도록 제작되었다. 5개 도시 소재 11개 초등학교의 5학년 11학급 총 3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광합성에 '빛'과 '물'을 공통적으로 많이 인식하면서 다양한 개념들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학습 후에도 학생들은 '뿌리', '바람' 등과 같은 오개념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었으며, 광합성 영역별로 오개념과 과학 개념이 공존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을 통하여 '빛'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광합성 영역에 따른 적절한 개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들의 지속적이면서 효율적인 교수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개념들은 개념 생태내에서 위상을 갖고 복잡하게 얽혀져 있는 것으로 보아 생태 지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been studies about conceptual ecology making a profound study of conceptual changes in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Because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have been compared to ecology, it is natural to think that conception in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have a niche as species in e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전, 광주, 대구, 울산, 화성 5개 도시에 있는 11개 초등학교의 5학년 11학급, 남 162명, 여 148명 총 310명으로 이루어 졌다. 각 학교에서 학력 수준이 중간정도인 학급으로 설문 대상을 선정하였으며, 한 지역으로 한하지 않고 여러 지역으로 한 까닭은 지역마다의 학력 편차를 반영하여 가능한 다양한 지역 소재 학생들의 일반적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 따라서 개념 생태 내 개념 간 관계도 관련 있는 지식 및 용어들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인식하기에 좀 더 관련성 높고 이해 타당한 개념을 우선 순위에 둠으로써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의 생태 지위적 접근은 특정 개념에 대해 관련성 측면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개념 간 관계의 분석 접근으로 보고자 한다.
  • 과학 교육과정에서 광합성은 5학년에서 처음으로 제시되고 있기 때문에 생태 지위적 접근을 통하여 5학년들이 지니는 광합성 개념 간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광합성 개념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파악의 출발점이라 본다. 따라서 생태 지위적 접근을 통하여 5학년 학생들의 광합성 개념에 대한 학습 전∙후에 그들이 지니는 광합성 개념 간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5학년들의 광합성 개념 간 관계를 이해하고, 교육과정 개발자 및 교사들이 향후 광합성 교육과정 개발 및 지도 전략에 대한 기초 자료로 이용되기를 바란다.
  • 이 연구는 인지 구조 속 개념들을 생태계 속 종들로 보아 생태 지위적 접근을 통하여 5학년들이 인식하는 광합성 개념 간 관계를 규명하고, 학습 전∙후에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생태 지위적 접근을 통하여 학습자의 개념 생태에서 개념의 다양성, 개념의 관련성 및 빈도율 변화, 개념간 경쟁관계로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광합성이 처음으로 제시되는 5학년을 대상으로 광합성 학습 전과학습 후에 인식하는 광합성 개념 간 관계 변화를 생태지위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광합성 개념의 생태 지위적 접근은 개념의 다양성, 개념의 관련성 및 빈도율 변화 그리고 개념 간 경쟁관계 측면을 통해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 지위는 어떤 연구들로 주를 이루고 있는가? 생태 지위는 생태학에서 주로 먹이와 같은 자원, 분포, 번식 등의 생물 종들 간의 경쟁을 위주로 연구들(Slagsvold & Wiebe, 2007; Warren et al.,2008)이 주를 이루고 있다.
다차원 척도 분석법은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가? 다차원 척도 분석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는 마케팅 분야에서 소비자의 상표 간 유사성 판단 또는 상표에 대한 선호판단 등에 근거하여 경쟁 분석의 중요한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다(김영찬, 김주영, 2000; 김우종, 강기훈, 2009; 한준, 박찬웅, 2001). 사용자 및 소비자의 심리 또는 인지적 선호를 이차원적 공간상에 투영한 것을 인지도(Positioning Map)라고 하며, 인지도 속 개체가 붙어 있을수록 유사하게 인식되어 경쟁 관계가 높아질 수 있다고 해석된다(박기용 등, 2006; 한준, 박찬웅, 2001; Milne & Mason, 1989).
학습자의 개념 생태에 관한 연구에서 간과한 두가지는 무엇인가? 그러나 학습자의 개념 생태에 관한 연구에서 간과한 두 가지가 있다. 첫째, 개념 생태는 학습자의 개념 변화를 이루고 있는 구성 요소들의 환경을 생태계로 비유하였는데, 정작 개념 생태에 존재하고 있는 학습자의 개념과 개념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고 있다. 둘째, Toulmin(1972)이 개념 생태를 과학교육에 처음 언급하였듯이, 개념은 학습자의 생태적 환경 하에서 생태 지위를 차지함으로써 발달한다고 하였는데, 대부분의 개념 생태에 관한 연구에서는 개념의 생태 지위를 언급하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경희, 이선경(2001). 개념변화 맥락을 구성하는 개념생태 상호작용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745-756. 

  2. 김미영, 이길재(2007). 생식과 유전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생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4), 678-691. 

  3. 김영찬, 김주영(2000). 다차원척도법의 활용방안 및 발전방향: 방법론적 관점에서. 소비자학연구, 11(4), 199-227. 

  4. 김희정, 조연순(2001). 초등학생의 광합성 개념학습에서 TWA 비유 수업 모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444-458. 

  5. 김우종, 강기훈(2009). 붓스트랩을 이용한 다차원 척도법의 효율성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2), 301-309. 

  6. 박기용, 안성식, 정기용(2006).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외식기업 경쟁요인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9(4), 93-115. 

  7. 박지은, 이선경(2007). 중학생의 힘의 개념변화 사례 연구: 개념생태적 접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592-608. 

  8. 박현주(1996).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에 대한 개념 생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2), 215-222. 

  9. 이호준, 변두원, 김창호(1998). 오대산 삼림식생의 종간친화력 및 서열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1(3), 291-300. 

  10. 정영란, 강경리(1998). 광합성의 기본개념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 및 오개념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6(1), 1-7. 

  11. 정화숙, 박현숙, 임영진, 김자림(2005).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등 과학 교과서의 광합성 영역에 대한 용어와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2), 196-208. 

  12. 한준, 박찬웅 (2001). 개인과 이중성에 기초한 사회적 공간의 생태지위 분석. 조사연구, 2(1), 109-127. 

  13. Canal, P. (1999). Photosynthesis and inverse respiration in plants: An inevitable misconce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4), 363-371. 

  14. Caramazza, A., & Shelton, J. R. (1998). Domain-specific knowledge systems in the brain: The animate-inanimate distinction.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0(1), 1-34. 

  15. Cepni, S., Tas, E., & Kose, S. (2006).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material on students' cognitive levels, miscon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science. Computers & Education, 46(2), 192-205. 

  16. Deniz, H., Donnelly, L. A., & Yilmaz, I. (2008). Exploring the factors related to acceptance of evolutionary theory among Turkish preservice biology teachers: Toward a more informative conceptual ecology for biological evolu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4), 420-443. 

  17. Demastes, S. S., Good, R., & Peebles, P. (1995). Students' conceptual ecologies and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in evolution. Science Education, 79(6), 637-666. 

  18. Disessa, A. A. (2002). Why "conceptual ecology" is a good idea. In M. Limon & L. Mason(Eds), Reconsidering conceptual change: Issues in theory and practice(PP.29-61). Netherlands: Kluwer. 

  19. Driver, R. (1981). Pupils' alternative frameworks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 93-101. 

  20. Duit, R., & Treagust, D. F. (2003). Conceptual change: a powerful framework 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71-688. 

  21. Griffard, P. B., & Wandersee, J. H. (2001). The tow-tier instrument on photosynthesis: What does it diagno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0), 1039-1052. 

  22. Hardesty, D. L. (1972). The human ecological niche. American Anthropologist, 74(3), 458-466. 

  23. Hewson, P. W., & Hewson, A. G. A. (1984). The role of conceptual conflict in conceptual change and the design of science instruction. Instructional Science, 13, 1-13. 

  24. Kemp, R., Schot, J., & Hoogma, R. (1998). Regime shifts to sustainability through processes of niche formation: The approach of strategic niche management.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10(2), 175- 195. 

  25. Krall, R. M., Lott, K. H., & Wymer, C. L. (2009). Inservic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conceptions of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 41-55. 

  26. Love, T. F. (1977). Ecological niche theory in sociocultural anthropology: A conceptual framework and an application. American Ethnologist, 4(1), 27-41 

  27. Magnani, L. (2007). Creating chances through cognitive niche construction: The role of affordances. Lecture Not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4693, 917-925. 

  28. Masson, M. E. J. (1995). A distributed memory model of semantic prim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1(1), 3-23. 

  29. Milne, G. R., & Mason, C. H. (1989). An ecological niche theory approach to the measurement of brand competition. Maketing Letters, 1(3), 267-281. 

  30. Neufeld, P., & Foy, M. (2006). Historical reflections on the ascendancy of ADHD in North America, c. 1980 - c. 2005.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4(4), 449-470. 

  31. Nyland, B. (2009). Language experiences of preverbal children in Australian children centres.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17(1), 111-124. 

  32. Palmer, D. H. (1999). Exploring the link between students' scientific and nonscientific conceptions. Science Education, 83(6), 639-653. 

  33. Park, H. J. (2007). Components of conceptual ecologi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2), 217-237. 

  34. Pata, K. (2009). Modeling spaces for selfdirected learning at university course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2(3), 23-43. 

  35. Pinker, S. (2003). Language as an adaptation to the cognitive niche. In M. H. Christiansen, & S. Kirby (Eds), Language Evolution (pp 16-37). Oxford University Press. 

  36. Raven, R. P. J. M., Heiskanen, E., Lovio, R., Hodson, M., & Brohmann, B. (2008). The contribution of local experiments and negotiation processes to field-level learning in emerging (niche) technologies. Bulletin of Science, Technology & Society, 28(6), 464-477. 

  37. Reis, O. (2008). Families as niches during communism in east germany: Consequences for parent-child relationships during times of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2(5), 412-421. 

  38. Riemeier, T., & Gropengie er, H. (2008). On the roots of difficulties in learning about cell division: Process-based analysis of students' conceptual development in teaching experi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7), 923-939. 

  39. Shannon, C. E. (2001).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ACM SIGMOBI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Review, 5(1), 3-55. 

  40. Slagsvold, T., & Wiebe, K. L. (2007). Learning the ecological niche. Proceeding of The Royal Society B, 274, 19-23. 

  41. Southerland, S. A., Johnston. A., & Sowell, S. (2006). Describing teachers' Conceptual ecologies for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90(5), 874-906. 

  42. Sternberg, R. J. (2003). Cognitive psychology, 3/e. (김민식, 손영숙, 안서원 역, 2005). Thomson Learning, Inc. 

  43. Strike, K. A., & Posner, G. J. (1985). A conceptual change view of learning and understand. In L. H. T. West, & A. L. Pines (Eds), Cognitive structure and conceptual change. London: Academy Press. 

  44. Taber, K. S. (2001). Shifting sands: A case study of conceptual development as competition between alternative concep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7), 731-753. 

  45. Toulmin, S. (1972). Human understanding: The collective use and evolution of concepts. Oxford, UK: Clarendon Press. 

  46. Tyson, L. M., Venville, G. J., Harrison, A. G. (1997).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for interpreting conceptual change events in th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1(4), 387-404. 

  47. Vosniadou, S., & Ioannides, C. (1998). From conceptual development to science education: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0), 1213- 1230. 

  48. Warren, D. L., Glor, R. E., & Turelli, M. (2008). Environmental niche equivalency versus conservatism: Quantitative approaches to niche evolution. Evolution, 62(11), 2868- 2883. 

  49. Yenilmez, A., & Tekkaya, C. (2006).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in plant through conceptual change approach.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5(1), 81-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