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일반인구에서의 사회 불안 증상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Anxiety Symptoms in the Korean Nonclinical Population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7 no.1, 2011년, pp.22 - 28  

강여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하주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임세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오강섭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Social anxiety disorder (SAD) has been characterized by a marked sense of anxiety provoked by exposure to one or more social situations. It has been well-known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society strongly affect the expression of SAD symptom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AD는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 증상이 유발되기 때문에 사회 불안 증상은 각 사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이 연구는 LSAS-SR을 이용하여 한국인 사회 불안 증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 13점) 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결과에 부합된다. 이 연구 결과로 위의 세 가지 항목들이 한국 일반 인구에서도 불안을 자주 유발하는 사회적 상황일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 이 연구는 LSAS 총점 및 하위척도 점수와 함께 인구학적 특성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에 따른 LSAS 총점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이는 성별이 LSAS 점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Ginter 등19의 연구와 SAD 유병률에 성별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20에 상응한다.
  • 이 연구는 한국인 691명을 대상으로 LSAS-SR을 이용 하여 사회 불안 증상의 문화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참가자 들의 평균 연령은 만 30.
  • 이러한 제한 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사회 불안 증상의 정도와 이를 빈번하게 유발하는 특정 상황들을 조사함으로써 한국인 사회 불안 증상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는 데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또 자발적으로 참여한 비임상 인구를 대상으로 사회 불안 증상을 상황별, 항목별로 조사한 연구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불안장애란 무엇인가? 사회불안장애(social anxiety disorder, 이하 SAD)는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사회적 상황이나 수행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두려움을 갖고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 장애이다.1 이 질환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기능 상의 장해를 초래할 뿐 아니라 이차적으로 다른 정신 질환(예, 우울 장애, 물질 남용)의 공존2-5을 증가시키는 만성적인 질환이다.
사회불안장애가 야기하는 문제는? 사회불안장애(social anxiety disorder, 이하 SAD)는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사회적 상황이나 수행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두려움을 갖고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 장애이다.1 이 질환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기능 상의 장해를 초래할 뿐 아니라 이차적으로 다른 정신 질환(예, 우울 장애, 물질 남용)의 공존2-5을 증가시키는 만성적인 질환이다.6 이처럼 SAD의 임상적 중요성 때문에 과거로부터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이 질환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여러 연구들이 있 었고, 서양에서의 평생 유병률은 18%까지 보고된 바 있다.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란 무엇인가? 일반인구에서 SAD를 선별할 수 있다면 이 질환으로 인한 장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고, 선별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 도구가 있다면 이 과정을 더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9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이하 LSAS-SR)10는 SAD 환자들이 가장 불안해하는 상황들을 표집 하여 개발한 척도로, 구조화된 선별 검사 도구 중의 하나로 흔히 사용된다.11,12 본래 임상가 평정척도로 개발되었으나 자가 보고형에서도 타당도 및 신뢰도가 검증되어 LSAS-SR 또한 널리 쓰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chneier FR, Heckelman LR, Garfinkel R, Campeas R, Fallon BA, Gitow A, et al. Functional impairment in social phobia. J Clin Psychiatry 1994;55:322-331. 

  2. Lepine JP, Pelissolo A. Why take social anxiety disorder seriously? Depress Anxiety 2000;11:87-92. 

  3. Wittchen HU, Fuetsch M, Sonntag H, Muller N, Liebowitz M.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pure and comorbid social phobia. Findings from a controlled study. Eur Psychiatry 2000;15:46-58. 

  4. Schneier FR, Foose TE, Hasin DS, Heimberg RG, Liu SM, Grant BF, et al. Social anxiety disorder and alcohol use disorder co-morbidity in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Psychol Med 2010;40:977-988. 

  5. Tsuchiya M, Kawakami N, Ono Y, Nakane Y, Nakamura Y, Tachimori H, et al. Lifetime comorbidities between phobic disorders and major depression in Japan: results from the World Mental Health Japan 2002-2004 Survey. Depress Anxiety 2009;26:949-955. 

  6. Beard C, Moitra E, Weisberg RB, Keller MB. Characteristics and predictors of social phobia course in a longitudinal study of primary-care patients. Depress Anxiety 2010;27:839-845. 

  7. Kessler RC, Chiu WT, Demler O, Merikangas KR, Walters EE.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12-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 Gen Psychiatry 2005;62:617-627. 

  8. Ruscio AM, Brown TA, Chiu WT, Sareen J, Stein MB, Kessler RC. Social fears and social phobia in the USA: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Psychol Med 2008;38:15-28. 

  9. Stein MB, Stein DJ. Social anxiety disorder. Lancet 2008;371:1115-1125. 

  10. Heimberg RG, Horner KJ, Juster HR, Safren SA, Brown EJ, Schneier FR,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Psychol Med 1999;29:199-212. 

  11. Davidson JR, Potts NL, Richichi EA, Ford SM, Krishnan KR, Smith RD, et al. The Brief Social Phobia Scale. J Clin Psychiatry 1991;52 Suppl:48-51. 

  12. Connor KM, Davidson JR, Churchill LE, Sherwood A, Foa E, Weisler RH.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ocial Phobia Inventory (SPIN). New self-rating scale. Br J Psychiatry 2000;176:379-386. 

  13. Oakman J, Van Ameringen M, Mancini C, Farvolden P.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a self-report version of the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J Clin Psychol 2003;59:149-161. 

  14. Fresco DM, Coles ME, Heimberg RG, Liebowitz MR, Hami S, Stein MB, et al. The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a comparis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self-report and clinician-administered formats. Psychol Med 2001;31:1025-1035. 

  15. Yu ES, Ahn CI, Park KH. Factor structure and diagnostic efficiency of a Korean version of the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Korean J Clin Psychol 2007;26:251-270. 

  16. Mennin DS, Fresco DM, Heimberg RG, Schneier FR, Davies SO, Liebowitz MR. Screening for social anxiety disorder in the clinical setting: using the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J Anxiety Disord 2002;16:661-673. 

  17. Iancu I, Levin J, Hermesh H, Dannon P, Poreh A, Ben-Yehuda Y, et al. Social phobia symptoms: prevalence, sociodemographic correlates, and overlap with specific phobia symptoms. Compr Psychiatry 2006;47:399-405. 

  18. Oh KS, Chee IS, Lim SW. Comparison of anxiety-related traits between In press. 

  19. Ginter EJ, Lufi D, Trotzky AS, Richmond BO. Anxiety among children in Israel. Psychol Rep 1989;65:803-809. 

  20. Bekker MH, van Mens-Verhulst J. Anxiety disorders: sex differences in prevalence, degree, and background, but gender-neutral treatment. Gend Med 2007;4 Suppl B:S178-S193. 

  21. Schneier FR, Johnson J, Hornig CD, Liebowitz MR, Weissman MM. Social phobia. Comorbidity and morbidity in an epidemiologic sample. Arch Gen Psychiatry 1992;49:282-288. 

  22. Furmark T. Social phobia: overview of community surveys. Acta Psychiatr Scand 2002;105:84-93. 

  23. Davidson JR, Hughes DL, George LK, Blazer DG. The epidemiology of social phobia: findings from the Duke Epidemiological Catchment Area Study. Psychol Med 1993;23:709-718. 

  24. Cairney J, McCabe L, Veldhuizen S, Corna LM, Streiner D, Herrmann N. Epidemiology of social phobia in later life. Am J Geriatr Psychiatry 2007;15:224-233. 

  25. Furmark T, Tillfors M, Everz P, Marteinsdottir I, Gefvert O, Fredrikson M. Social phobia in the general population: prevalence and sociodemographic profile.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1999; 34:416-424. 

  26. Choi HM, Kim NH, Lim SW, Oh KS. Gender differneces in the symptomatic characteristics of social phobia patients in one university hospital anxiety and mood 2008;4:62-67. 

  27. Heinrichs N, Rapee RM, Alden LA, Bogels S, Hofmann SG, Oh KJ, et al. Cultural differences in perceived social norms and social anxiety. Behav Res Ther 2006;44:1187-1197. 

  28. Kitayama S, Markus HR, Matsumoto H, Norasakkunkit V. Individual and collective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self-enhance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self-criticism in Japan. J Pers Soc Psychol 1997;72:1245-1267. 

  29. Kirmayer LJ. The place of culture in psychiatric nosology: Taijin kyofusho and DSM-III-R. J Nerv Ment Dis 1991;179:19-28. 

  30. Choy Y, Schneier FR, Heimberg RG, Oh KS, Liebowitz MR. Features of the offensive subtype of Taijin-Kyofu-Sho in US and Korean patients with DSM-IV social anxiety disorder. Depress Anxiety 2008;25:230-240. 

  31. Olfson M, Guardino M, Struening E, Schneier FR, Hellman F, Klein DF. Barriers to the treatment of social anxiety. Am J Psychiatry 2000; 157:521-527. 

  32. Mojtabai R, Olfson M, Mechanic D. Perceived need and help-seeking in adults with mood, anxiety, or substance use disorders. Arch Gen Psychiatry 2002;59:77-84. 

  33. Sareen J, Stein MB, Campbell DW, Hassard T, Menec V.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need for mental health treatment, DSM diagnosis, and quality of life: a Canadian population-based survey. Can J Psychiatry 2005;50:87-94. 

  34. Cho MJ, Hahm BJ, Kim JK, Park KK, Chung EK, Suh TW, et al. Korean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KECA) Study for Psychiatric Disorderscc: Prevalence of Specific Psychiatric Disorde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4;43:470-4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