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샤르피 충격시험을 통한 구조용강재의 극한지 적용성 검토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Structural Steels to Cold Regions by the Charpy Impact Test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3 no.4 = no.113, 2011년, pp.483 - 491  

이진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신현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박기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양승현 (조선이공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구조용강재의 샤르피 충격시험(Charpy Impact Test)을 통해 저온에서의 충격 인성(Impact Toughness) 평가를 실시하여 사용 가능 온도를 파악함으로써 강재의 극한지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강재는 용접구조용강 중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강종인 SM490B와 TMCP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법에 의해 제조된 고강도 강재인 SM570-TMC이다. 또한, 본 시험결과와의 비교를 위해 남극 세종기지 건설시 사용실적이 있는 일반구조용강인 SS400에 대해서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강구조물은 용접에 의해 제작되므로, 강재의 극한지 적용성 검토를 위해 용접시험판을 제작하여 모재(Base Metal), 용접금속(Weld Metal) 및 열양향부(Heat Affected Zone)에 대해서 충격시험을 실시하였다. 단, SS400의 경우에는 용접구조용강재가 아니므로 모재에 대해서 충격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상 강재의 샤르피 충격시험을 통해서 저온에서의 충격흡수에너지 값을 구하고 이를 강재의 항복응력에 따른 충격흡수에너지의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강재의 사용온도를 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구조용강재의 극한지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abrication of steel structural members always involves welding process such as flux cored arc welding. Therefore, for the application of structural steels to cold regions, it is a prerequisite to clarify the service temperature of the welded joints in order to ensur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제2남극기지 후보지로 선정된 테라노바베이 등 남극의 경우 극한최저기온이 -50℃ 이하에 달하므로 건설되는 기지에 사용되는 국내 제작 강재에 대한 저온 특성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재의 샤르피 충격시험(Charpy Impact Test)을 통해 저온에서의 인성 평가를 실시하여 사용 가능 온도를 파악함으로써 강재의 극한지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그러나 제2남극기지 후보지로 선정된 테라노바베이 등 남극의 경우 극한최저기온이 -50℃ 이하에 달하므로 건설되는 기지에 사용되는 국내 제작 강재에 대한 저온 특성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샤르피 충격시험을 통해 국내에서 제작된 용접구조용강재인 SM490B와 SM570-TMC의 극한지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대부분의 강구조물은 용접에 의해 제작되므로 용접 시험판을 제작하여 모재, 열영향부 및 용접부에 대하여 저온에서의 충격 인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일평, 허용, 박영석, 윤태양(2008) 도로교 설계기준 개정 소개,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56권, 제10호, pp.59-66. 

  2. ASME (2004) Impact testing requirements, Boiler & pressure vessel code, Sec. VIII, Div. I. 

  3. Bayraktar, E., Hugele, D., Jansen, J.P., and Kaplan, D. (2004) Evaluation of pipeline laser girth weld properties by Charpy (V) toughness and impact tensile tests,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Vol. 147, pp.155-162. 

  4. Eurocode 3 (2005) Design of steel structures-Part 1-10: Material toughness and through-thickness properties, CEN. 

  5. Folch, L.C.A. and Burdekin, F.M. (1999) Application of coupled brittle-ductile model to study correlation between Charpy energy and fracture toughness values, Engineering Fracture Mechanics, Vol. 63, pp.57-80. 

  6. Jang, Y.C., Hong, J.K., Park, J.H., Kim, D.W., and Lee, Y. (2008) Effects of notch position of the Charpy impact specimen on the failure behavior in heat affected zone,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Vol. 201, pp.419-424. 

  7. KS B 0809 (2001) Test pieces for impact test for metallic materials, Korean Standards. 

  8. KS B 0810 (2003) Method of impact test for metallic materials, Korean Standards. 

  9. KS B 0821 (2007) Methods of tension and impact tests for deposited metal, Korean Standards. 

  10. Lee, H.K., Kim, K.S., and Kim, C.M. (2000) Fracture resistance of a steel weld joint under fatigue loading, Engineering Fracture Mechanics, Vol. 66, pp.403-419. 

  11. Porter, D., Laukkanen, A., Nevasmaa, P., Rahka, K., and Wallin, K. (2004) Performance of TMCP steel with respect to mechanical properties after cold forming and post-forming heat trea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Vol. 81, pp.867-877. 

  12. Rossoll, A., Berdin, C., Forget, P., Prioul, C., and Marini, B. (1999) Mechanical aspects of the Charpy impact test, Nuclear Engineering Design, Vol. 188, pp.217-229. 

  13. Shin, Y.T., Kang, S.W., and Lee, H.W. (2006) Fracture characteristics of TMCP and QT steel weldments with respect to crack length, Materials Science Engineering A, Vol. 434, pp.364-371. 

  14. Sreenivasan, P.R. (2006) Charpy energy-lateral expansion relations for a wide range of steel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Vol. 83, pp.498-504. 

  15. Tamehiro, H., Yamada, N., and Matsuda, H. (1985) Effect of the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on th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low alloy steel, ISIJ International, Vol. 25, pp.54-61. 

  16. Tsay, L.W., Chern, T.S., Gau, C.Y., and Yang, J.R. (1999) Microstructures and fatigue crack growth of EH36 TMCP steel weld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Fatigue, Vol. 21, pp.857-864. 

  17. Tvergaard, V. and Needleman, A. (2004) 3D analyses of the effect of weld orientation in Charpy specimens. Engineering Fracture Mechanics, Vol. 71, pp.2179-21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