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표수문해석모형을 활용한 국내 가뭄해석 적용성 평가
Drought Analysis and Assessment by Using Land Surface Model on South Korea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8, 2011년, pp.667 - 681  

손경환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배덕효 (세종대학교 물자원연구소 토목환경공학과) ,  정준석 (기상청 기후예측과 기후예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전지구 수문해석도구인 지표수문해석모형을 활용하여 국내 가뭄해석에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에 댐 상류 유역의 관측유입량 자료를 대상으로 모형의 모의능력을평가하고 남한 전역에 대한 수문성분(유출, 토양수분)을 생산하였다. 격자별 일 단위 유출 및 토양수분자료를 해당기간별 누가 시계열(3, 6, 12개월)로 변환하여 가뭄지수를 생산하였고, 빈도해석에 따른 누가확률값 산정 및 표준화를 통해 SRI 및 SSI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수의 평가를 위해 국내 과거 가뭄기록사례를 조사하고 기존 가뭄지수인 SPI 및 PDSI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평가는 시계열별, 지역별 분석 및 유역별 물수지 분석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주로 가뭄기간동안의 가뭄심도와 가뭄 발생 및 해갈의 재현여부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SRI 및 SSI 모두 시 공간적으로 과거 기록된 피해기간 및 지역 상황을 잘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뭄기간 동안의 정량적인 수문정보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역단위 가뭄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a Land Surface Model (LSM) for drought analysis in Korea. For evalua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e model was calibrated on several upper dam site watersheds and the hydrological components (runoff and soil moisture) were sim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VIC 모델을 활용한 가뭄해석을 수행하고자 총 586개의 격자별 모의된 유출 및 토양수분정보를 가뭄지수로 변환하고자 한다. 일 단위 정보를 월단위로 환산한 후 연도별 (1976~2009년) 매월 누적기간별 평균값으로 전환하였으며, 적정분포형 선정을 위한 적합도 검정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VIC 모델이 국내 가뭄해석 적용성을 평가하기위해 남한 전역에 대한 VIC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모형 구축에 필요한 입력자료인 지형정보와 기상정보를 수집하였다. 우선 지형정보는 국토해양부에서 제공하는 100m 간격의 DEM (Digital Elevation Model)과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100m 간격의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였으며, 농업과학기술원으로부터 정밀토양도 (1 : 25000)와 토양속성자료를 제공받아 토양특성인자를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를 대상으로 지표수문해석모형을 구축하고 가뭄해석을 위한 가뭄정보를 산출하여 가뭄해석 및 활용가능 여부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권역 또는 국가별 수문해석에 용이한 VIC 모델을 활용하여 국내에 대한 유출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산정된 수문성분을 가뭄지수로 전환하여 국내 가뭄 해석 및 활용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산정된 유출 및 토양수분정보를 이용하여 유역별 가뭄해석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유역은 각 수계별로 충주, 안동, 대청 및 섬진강 댐을 대표로 선정하였으며, 대상기간은 과거 단기 및 장기간 가뭄으로 기록된 2001년 및 2008년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적 기반의 지표수문해석모형을 활용한 국내 가뭄에 대한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함이며, 이를 위한 연구수행절차 및 방법은 Fig. 1에 제시된바와 같다. 우선 수문정보 생산을 위해 남한 전역에 대한 기상 및 지형 정보를 구축하고 지표수문해석모형에 적용하여 격자별 수문성분을 생산한 후 관측유량과의 비교를 통한 모형의 모의 능력을 평가한다.
  • 기존 가뭄지수와의 비교 및 분석에서는 SPI와 비교할 경우 값에 약간의 차이가 있겠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한 거동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수의 거동 및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는 장기유출모형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별 분석을 통해 명확한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마지막 PDSI와의 비교에서는 단기 가뭄에 대한 반영은 미흡하였으며, 대체로 SRI (12) 및 SSI (12)와 거동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상의 결과는 남한 전역에 대한 평균값으로써 극심하였던 가뭄기간에서의 평가는 적절하나, 지역별 심도의 특성 및 구체적인 범위에 대해서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지역별 분석에서 금회 산정된 결과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출된 가뭄지수에 대한 평가방법 세 가지는 무엇인가? 산출된 가뭄지수에 대한 평가방법은 크게 시계열 분석, 지역별 분석 및 수문성분 분석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시계열 분석에서는 기존 가뭄지수 및 과거 피해사례를 기반으로 가뭄의 시작과 해갈에 대한 연도별 및 월별 거동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며, 지역별 분석에서는 Barnes 객관분석 기법 (Barnes, 1964)을 토대로 공간적으로 분포시켜 과거 가뭄피해지역과의 일치 여부 및 기존 지수와의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하고자 한다.
지표수문해석모형이란 무엇인가? 즉, 가뭄을 본질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대기와 지표 사이에 발생하는 수문성분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여 가뭄해석에 필요한 정보를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석범위도 단순히 지역 또는 유역단위가 아닌 국가 또는 인접국가와의 연계가 가능할 정도로 광범위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Mesoscale 기반의 지표수문해석모형 (Land Surface Model, LSM)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며, 여기서 지표수문해석모형이란 전지구를 대상으로 수문해석이 가능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을 뜻한다. 현재 국외에서는 지표수문해석모형을 기반으로 가뭄해석에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Fan et al.
VIC 모델의 토양층의 경우 깊이에 따라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차단층에서는 동일 피복종류별 면적비를 고려하여 각 피복특성이 반영된 차단 및 증발 (Ec)을 모의하며, 보통 식생지대 (N) 및 나대지 (B)로 구분된다. 토양층의 경우 깊이에 따라 최상부토층(Top thin layer), 상부토층 (Upper layer), 하부토층(Lower layer)으로 구분된다. 이 중 최상부토층은 침투(i)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이며, 토양수분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건설교통부(1995).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2). 2001년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3. 권현중, 박혁진, 홍대의, 김성준(2006). "SWSI 가뭄지수를 보완한 준분포형 수문학적 가뭄평가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8호, pp. 645-658. 

  4. 기상청(2007). 산업기상지수 산출기술 개발 

  5. 류재희, 이동률, 안재현, 윤용남(2002).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4호, pp. 397-410. 

  6. 손경환(2010),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전구수문모형의 적용성 평가.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pp. 16-21. 

  7. 손경환, 이종대, 배덕효(2010). "전지구 수문해석 모형의 국내 적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12호, pp. 1063-1074. 

  8. 윤용남, 박무종(1997). "L-moment법을 이용한 월강우량 자료의 지역가뭄빈도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1호, pp. 55-62. 

  9. 이주헌, 정상만, 김성준, 이명호(2006). "가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I. 정량적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가뭄지수의 적용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9호, pp. 787-800. 

  10. 한국수자원공사(2005). 2005년 가뭄관리모니터링 체계수립 보고서. 

  11. Abramowitz, M., and Stegun, I.A. (1964). Handbook of Mathematical function, U.S. Dept. of Commerce,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Applied Mathematics Series, No. 55. 

  12. Ames, D.P. (2006). "Estimating 7Q10 Confidence Limits from Data: A Bootstrap Approach." Journal of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2, No. 3, pp. 204-208. 

  13. Andreadis, K.M., Clark, E.A., Wood, A.W., Hamlet, A.F., and Lettenmaier, D.P. (2005). "Twentieth-Century Drought in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Journal of Hydrometeorlogy, Vol. 6, Issue 6, pp. 985-1001. 

  14. Barnes, S. (1964). "A technique for maximizing details in numerical map analysi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3, No. 4, pp. 395-409. 

  15. Fan, Y., and Van den Dool, H. (2004). "The CPC global monthly soil moisture data set at 1/2 degree resolution for 1948-pres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9:D10102, doi:1029/2003JD004345 

  16. Herbst, P.H., Bredenkamp, D.B., and Barker, H.M.G. (1966). "A technique for the evaluation of drought from rainfall data." Journal of Hydrology, Vol. 4, pp. 264-272. 

  17. Hogue, T.S., Sorooshian, S., Gupta, V.K., Holz, A., and Braatz, D. (2000). "A Multistip Automatic Calibration Scheme for River Forecasting Model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 pp. 524-542. 

  18. Hosking, J.R.M., and Wallis, J.R. (1993). "Some Statistics Useful in Regional Frequency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1, No. 6. 

  19. Jaranilla-Sanchez, P.A., Wang, L., and Koike, T. (2011). "Modeling the hydrologic responses of the Panpanga River basin, Philippines: A quantitative approach for identifying drought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7, W03514, doi:10.1029/2010WR 009702. 

  20. Kroll, C.N., and Vogel, R.M. (2002). "Probability Distribution of Low Streamflow Serie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7, No. 2, pp. 132-146. 

  21. Liang, X., Lettenmaier, D.P., Wood, E.F., and Burges, S.J. (1994). "A simple hydrologically based model of land surface water and energy fluxes for general circulation model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99, No. 7, pp. 14415-14428. 

  22. Liang, X., Jianzhong, G., and Ruby Leung, L. (2004).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spatial resolutions on daily water flux simula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298, Issues. 1-4, pp. 287-310. 

  23.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7-22 January, Anaheim, California. 

  24.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Preprints."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5-20 January, Dallas, TX, pp.223-236. 

  25. Onoz, B., and Bayazit, M. (1999). "GEV-PWM Model for Distribution of Minimum flow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4, No. 3, pp. 289-293. 

  26.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No. 45, U.S. Weather Bureau. 

  27. Sheffield, J., and Wood, E.F. (2008). "Global Trends and Variability in Soil Moisture and Drought Characteristics, 1950-2000, from Observation-Driven Simulations of the Terrestrial Hydrologic Cycle." Journal of Climate, Vol. 21, No. 3, pp. 432-458. 

  28. Shukla, S., and Wood, A.W. (2008). "Use of a standardized runoff index for characterizing hydrologic dough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doi:10.1029/2007GL032487. 

  29. Trenberth, K.E., Overpeck, J.T., and Solomon S. (2004), "Exploring drought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85, No. 3, pp. 27-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