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평균하상 개념과 낙동강의 하상 변동 경향성 분석
New Concept of Average River Bed and General Trend of River Bed Change in the Nakdong Riv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6, 2011년, pp.486 - 494  

류권규 (동의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역이나 하천의 변화에 따른 하상의 상승이나 하강은 하천 관리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다. 하천의 하상 변동을 분석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최심 하상고나 평균하상고의 변화이다. 이 때 평균하상고는 계획 홍수위에 대한 하상의 평균이다. 본 연구는 하상 변동 분석에서 기존의 최심 하상고나 평균하상고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제반 문제를 지적하고, 연평균 홍수위에 대해 하상을 평균하는 새로운 평균하상고 개념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검토하기 위해 낙동강의 1983년, 1993년, 2005년의 3개년의 하상 자료를 이용하여 하상 변동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에서는 1983~1993년 사이에는 대규모 하상 저하는 없었으나, 1993~2005년 사이에는 상당한 규모의 하상 저하가 발생하였다. 1993~2005년 사이에 중류부인 120~200 km 구간에서는 평균적으로 2~3 m, 최대 5 m 정도의 하상 저하가 발생하였고, 그 상류부인 200~240 km 구간에서는 1~2 m 정도의 비교적 작은 규모의 하상 저하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내성천 합류점보다 상류 구간 (240 km 이상의 구간)에서는 하상 상승과 하강은 거의 대부분 국부적인 현상에 머물고 있으며, 대규모 하상 변동이 없다. 이러한 낙동강 하상 저하의 주 원인은 대규모 골재 채취임을 밝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ver bed change due to various factors in watershed and/or river environment would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river management. To judge whether the river bed was aggrading or degrading, normally we use the change in thalweg or average bed, calculated using the design flood of the rive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유량이 너무 작은 경우, 수심이 지나치게 낮은 곳에서는 상류와 사류가 혼재하게 되어, HEC-RAS에 의한 배수위 계산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평균 홍수위(1년 빈도 홍수위)를 이용하는 것이 개념상 간단하고 무엇보다 계산이 편리하다는 점에서 이를 채택하기로 한다.
  • 본 연구는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낙동강의 하상 변동 상황을 분석한 것이다. 하천 정비 계획을 수립하거나 하천 구조물을 계획하는 하천 실무에서 하상 변동은 최심 하상의 변화나 계획 홍수위에 대한 평균하상으로 나타내는 것이 보통적이다.

가설 설정

  • 첫째, 확실한 정량적 기준에 입각해야 한다. 즉,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일본의 저수로 평균하상은 객관적인 정량화가 곤란하다는 점에서 검토 대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정비기본계획은 몇년마다 수립되는가? 현재 하천정비기본계획은 10년마다 수립되고 있어, 주요 하천의 경우는 대부분 두 차례 이상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또한, 기본 계획의 수립시에는 하천 측량을 수행하므로 이 측량 자료를 토대로 하상의 변화를 검토할 수 있다.
하상 변동은 어떻게 분석하는가? 현재의 하상 변동은 최심선(thalweg)의 변화와 평균하상의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 그런데, 보고서에는 대부분 최심 하상만을 보이고 있으며, 평균하상의 변화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 하천의 하상이 점차 높아진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최근의 4대강 정비 사업 등을 포함한 하천 계획을 논의할 때, 나오는 주장 중의 하나가 우리나라의 하천의 하상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1960~1970년대에 걸친 다목적 댐의 건설에 따라 홍수의 규모가 줄어들고, 하구둑의 건설에 따라 홍수의 씻겨내림 효과(flushing)가 감소하여 산지에서 산출되어 하천에 유입된 토사가 하도내에 그대로 퇴적되었다는 것이다. 이 주장은 4대강 사업의 기본적인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건설교통부, 낙동강 하천정비보고서, 1983a. 

  2. 건설교통부, 낙동강(황강)하천정비기본계획, 1983b. 

  3. 건설교통부, 낙동강 하천정비보고서, 1993. 

  4. 건설교통부, 황강, 사천강 하천정비기본계획, 1992. 

  5. 건설교통부, 황강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 2007. 

  6. 국토해양부, 낙동강 수계 하천기본계획[변경] [낙동강: 국가하천기점-금호강 합류점] 보고서, 2009a. 

  7. 국토해양부, 낙동강 수계 하천기본계획[변경] [낙동강: 금호강 합류점-하구] , 밀양강, 양산천, 보고서, 2009b. 

  8. 한국수자원학회, 하천설계기준해설, 2005. 

  9. 建設省, 河川砂防施設基準(案)同解說調査編, 山海堂, 2007.(일본어) 

  10. ?土技術硏究センタ一, 河道計劃檢討の手引き, 山海堂, 2002.(일본어) 

  11. ?土技術硏究センタ一, 護岸の力?設計法, 山海堂, 2005.(일본어) 

  12. US Army Corps of Engineers, HEC-RAS, River Analysis System, User's Manual, Version 4.0, 2008. 

  13. http://www.wamis.go.kr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