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과에서 임상적으로 신경병성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주로 하악신경이 손상 받은 경우이며 그 원인으로는 발치, 인공치아매식, 악안면 수술, 치주치료 및 근관치료 등이 있다. 본 연구는 근관치료 후 발생한 하악신경 손상 환자의 신경병증의 원인과 증상에 따라 약물치료를 통해 개선된 정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근관치료 후 발생한 이상감각 또는 통증을 주 증상으로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 32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하였고, 약물치료를 시행한 경우 환자의 증상이 개선된 정도를 평가하였다. 초진시 감각저하 또는 감각부전의 증상을 호소한 총 32명의 환자 (남자 9명, 여자 23명, 평균나이 44세)를 분석하였다. 신경병증의 발생 원인은 근관치료 시 마취 (46.9%), 근관 내 적용한 약재에 의한 화학적 손상 (25%), 근관수술 (15.6%), 기타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 (12.5%) 순으로 많았다. 처방된 약물은 스테로이드, 항경련제, 항우울제, 진통제 등이었고, 환자의 증상이 개선될 때까지 약물 용량은 조절되었으며, 약물 복용 기간은 1주일에서 11개월까지 다양하였다. 증상이 나타난 부위에 따라 하치조신경 손상으로 인한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가 25명, 설신경 손상으로 인한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가 7명이었으며, 약물치료 후 증상이 개선된 경우가 21명 (66%), 증상 개선이 미미하거나 없는 경우가 11명 (34%)이었다. 그 증상은 감각저하와 감각부전으로 분류하였고, 감각저하는 67%, 감각부전은 65% 개선을 보였다. 근관치료와 연관된 하악신경 손상으로 인해 신경병증이 발생된 경우 약물치료를 통한 증상 개선을 도모해 볼 수 있다. 다만, 신경병증의 종류와 회복 수준은 신경 손상의 원인, 정도와 손상 발생 후 치료 시기, 처치 방법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각각의 변수에 따라 통증 강도나 회복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더 많은 개체 수에서 다양한 변수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ported causes of mandibular nerve injury in relation to neuropathic pain in dentistry include extraction, dental implant surgery,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periodontal treatment, and root-canal therapy.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harmacologic management of neuropathy after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관치료는 가장 일반적인 치과 술식 중 하나이지만, 근관치료시 신경손상의 정확한 원인, 증상과 치료 반응에 대해서는 임상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한 객관적인 보고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관치료 시행 후 발생한 하악신경 손상 환자에 대해 분석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외과적 술식에 비해 근관치료 후 신경손상에 의한 신경병증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고, 기존의 연구에서는 원인과 증상에 따른 예후 분석이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뢰된 환자 중 감각저하나 감각부전으로 진단받은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근관치료 후 하악신경 손상의 이해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의미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병증은 감각증상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신경병증은 감각증상에 따라 분류하면 양성감각증상 (positive sensory symptom)과 음성감각증상 (negative sensory symptom)으로 나눌 수 있다. 불쾌감 유발 여부와 상관 없이 양성 및 음성의 비정상적인 감각을 통칭하여 감각이상 (paresthesia)이라 하는데, 양성감각증상에는 통증 (pain), 감각과민 (hyperesthesia), 감각부전 (dysesthesia) 등이 있으며, 이 중 감각부전은 통증과 같이 불쾌감을 유발하는 비정상적인 감각을 지칭한다.
감각이상(paresthesia)이란? 신경병증은 감각증상에 따라 분류하면 양성감각증상 (positive sensory symptom)과 음성감각증상 (negative sensory symptom)으로 나눌 수 있다. 불쾌감 유발 여부와 상관 없이 양성 및 음성의 비정상적인 감각을 통칭하여 감각이상 (paresthesia)이라 하는데, 양성감각증상에는 통증 (pain), 감각과민 (hyperesthesia), 감각부전 (dysesthesia) 등이 있으며, 이 중 감각부전은 통증과 같이 불쾌감을 유발하는 비정상적인 감각을 지칭한다. 그리고 음성감각증상에는 감각저하 (hypoesthesia)나 감각소실 (anesthesia) 등이 있다1,2.
하악신경 손상에 의한 신경병증이 있는 경우로 진단되거나 의심된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은? 처방된 약물은 스테로이드, 항경련제 (anticonvulsant)나 항우울제 (antidepressants), 진통제 등이었고, 내원 시 증상 변화에 따라 투약 지속여부와 용량이 조절되었다. 스테로이드는 prednisolone (Solondo® , 유한양행)이 처방되었고, 항경련제는 gabapentin (Neurontin® , 한국화이자), clonazepam (Rivotril® , 한국로슈), topiramate (Topamax® , 한국얀센), carbamazepine (Tegretol CR® , 한국노바티스) 등이 처방되었으며, 항우울제는 삼환성 항우울제 ((amitriptyline(Etravil® , 동화약품), nortriptyline (Sensival® , 일성신약)), SNRI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항우울제 (venlafaxine hydrochloride (Effexor-XR® , 일동제약)와 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항우울제 (paroxetine(Seroxat® , 글락소스미스클라인)가 처방되었고, 진통제는 acetaminophen과 tramadol 복합제제 (Ultracet® , 한국얀센)가 처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ron, R., Peripheral neuropathic pain: from mechanisms to symptoms.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2000. 16(2 Suppl): p. S12-20. 

  2. Woolf, C.J. and R.J. Mannion, Neuropathic pain: aetiology, symptoms, mechanisms, and management. Lancet, 1999. 353(9168): p. 1959-64. 

  3. Hillerup, S., Iatrogenic injury to the inferior alveolar nerve: etiology, signs and symptoms, and observations on recovery.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008. 37(8): p. 704-9. 

  4. Sandstedt, P. and S. Sorensen, Neurosensory disturbances of the trigeminal nerve: a long-term follow-up of traumatic injuries.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1995. 53(5): p. 498-505. 

  5. Choi, Y., et al., Analysis of neurosensory dysfunction after dental implant surgery.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2009. 34(4): p. 379-385. 

  6. Lynch, M.E. and A.K. Elgeneidy, The role of sympathetic activity in neuropathic orofacial pain. Journal of orofacial pain, 1996. 10(4): p. 297-305. 

  7. Marbach, J.J., et al., Incidence of phantom tooth pain: an atypical facial neuralgia. Oral surgery, oral medicine, and oral pathology, 1982. 53(2): p. 190-3. 

  8. Campbell, R.L., K.W. Parks, and R.N. Dodds, Chronic facial pain associated with endodontic therapy. Oral surgery, oral medicine, and oral pathology, 1990. 69(3): p. 287-90. 

  9. Polycarpou, N., et al., Prevalence of persistent pain after endodontic treatment and factors affecting its occurrence in cases with complete radiographic healing. International endodontic journal, 2005. 38(3): p. 169-78. 

  10. Pogrel, M.A., Damage to the inferior alveolar nerve as the result of root canal therapy.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07. 138(1): p. 65-9. 

  11. Meyer, R.A. and S.L. Ruggiero,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peripheral trigeminal nerve injuries.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linics of North America, 2001. 13(2): p. 383-392. 

  12. Ryu, J. and J. Kwon, Dysesthesia after Tooth Extraction and Implant Surgery Reported by Dentists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2007. 32(3): p. 263-272. 

  13. Vickers, E.R. and M.J. Cousins, Neuropathic orofacial pain part 1--prevalence and pathophysiology. Australian endodontic journal : the journal of the Australian Society of Endodontology Inc, 2000. 26(1): p. 19-26. 

  14. Battrum, D.E. and J.L. Gutmann, Phantom tooth pain: a diagnosis of exclusion. International endodontic journal, 1996. 29(3): p. 190-4. 

  15. Lilly, J.P. and A.S. Law, Atypical odontalgia misdiagnosed as odontogenic pain: a case report and discussion of treatment. Journal of endodontics, 1997. 23(5): p. 337-9. 

  16. Matwychuk, M.J., Diagnostic challenges of neuropathic tooth pain. Journal, 2004. 70(8): p. 542-6. 

  17. Giuliani, M., et al., Inferior alveolar nerve paresthesia caused by endodontic pathosi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oral radiology, and endodontics, 2001. 92(6): p. 670-4. 

  18. Morse, D.R., Endodontic-related inferior alveolar nerve and mental foramen paresthesia. Compendium of continuing education in dentistry, 1997. 18(10): p. 963-8, 970-3, 976-8 passim; quiz 98. 

  19. Knowles, K.I., M.A. Jergenson, and J.H. Howard, Paresthesia associated with endodontic treatment of mandibular premolars. Journal of endodontics, 2003. 29(11): p. 768-70. 

  20. Conrad, S.M., Neurosensory disturbances as a result of chemical injury to the inferior alveolar nerv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linics of North America, 2001. 13(2): p. 255-263. 

  21. Nitzan, D.W., A. Stabholz, and B. Azaz, Concepts of accidental overfilling and overinstrumentation in the mandibular canal during root canal treatment. Journal of endodontics, 1983. 9(2): p. 81-5. 

  22. Fanibunda, K., J. Whitworth, and J. Steele, The management of thermomechanically compacted gutta percha extrusion in the inferior dental canal. British dental journal, 1998. 184(7): p. 330-2. 

  23. Krafft, T.C. and R. Hickel, Clinical investigation into the incidence of direct damage to the lingual nerve caused by local anaesthesia. Journal of cranio-maxillo -facial surgery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Cranio-Maxillo-Facial Surgery, 1994. 22(5): p. 294-6. 

  24. Pogrel, M.A., Trigeminal nerve chemical neurotrauma from injectable materials.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linics of North America, 2001. 13(2): p. 247-253. 

  25. Renton, T., et al., Trigeminal nerve injuries in relation to the local anaesthesia in mandibular injections. British dental journal, 2010. 209(9): p. E15. 

  26. Hosoya, N., et al., Effects of calcium hydroxide on physical and sealing properties of canal sealers. International endodontic journal, 2004. 37(3): p. 178-84. 

  27. Yatsuhashi, T., et al., Inferior alveolar nerve paresthesia relieved by microscopic endodontic treatment. The Bulletin of Tokyo Dental College, 2003. 44(4): p. 209-12. 

  28. Kawakami, T., C. Nakamura, and S. Eda, Effects of the penetration of a root canal filling material into the mandibular canal. 2. Changes in the alveolar nerve tissue. Endodontics & dental traumatology, 1991. 7(1): p. 42-7. 

  29. Neaverth, E.J., Disabling complications following inadvertent overextension of a root canal filling material. Journal of endodontics, 1989. 15(3): p. 135-9. 

  30. Orstavik, D., Paraesthesia following endodontic treatment: survey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a case. International endodontic journal, 1983. 16(4): p. 167-172. 

  31. Gatot, A. and F. Tovi, Prednisone treatment for injury and compression of inferior alveolar nerve: report of a case of anesthesia following endodontic overfilling. Oral surgery, oral medicine, and oral pathology, 1986. 62(6): p. 704-6. 

  32. Scarano, A., et al., Injury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after overfilling of the root canal with endodontic cement: a case report.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oral radiology, and endodontics, 2007. 104(1): p. e56-9. 

  33. Gregg, J.M., Neuropathic complications of mandibular implant surgery: review and case presentations. Annals of the Royal Australasian College of Dental Surgeons, 2000. 15: p. 176-80. 

  34. Park, J.H., S.H. Lee, and S.T. Kim, Pharmacologic management of trigeminal nerve injury pain after dental implant surger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sthodontics, 2010. 23(4): p. 342-6. 

  35. Lynch, M.E., Antidepressants as analgesics: a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psychiatry & neuroscience : JPN, 2001. 26(1): p. 30-6. 

  36. Oshima, K., et al., Clinical investigation of patients who develop neuropathic tooth pain after endodontic procedures. Journal of endodontics, 2009. 35(7): p. 958-61. 

  37. Lewis, M.A., et al., Management of neuropathic orofacial pain.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oral radiology, and endodontics, 2007. 103 Suppl: p. S32 e1-24. 

  38. Smith, M.T., et al., Sleep quality and presleep arousal in chronic pain.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00. 23(1): p. 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