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nd Objectives : Papillary thyroid carcinoma(PTC) frequently metastasize to the regional neck, however, 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is less comm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lin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of PTC with lateral LN metastasis, and determin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측경부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갑상선 유두상암 환자들의 임상적, 병리학적 양상 및 다양한 표지자들에 대한 면역조직화화적 발현 특성을 비교하여 측경부 림프절 전이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향후 예후 인자로서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A : Bax reactivity was seen within the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lateral neck metastasis. White arrows delineate the brown yellow nests of the tumor cells invading the stroma(×4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갑상선 유두상암 및 다른 여러 장기에서 종양의 발암 기전과 관련되는 다양한 인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발현과 종양의 침윤 및 전이 등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갑상선 유두상암 및 다른 여러 장기에서 종양의 발암 기전과 관련되는 다양한 인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발현과 종양의 침윤 및 전이 등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6) Moore 등17)은 Bcl-2가 갑상선 정상 조직과 갑상선암 모두에서 발현될 수 있으나 악성도가 높고 전이된 암일수록 발현율이 높다고 언급한 반면 Ito 등18)은 Bcl-2가 갑상선 정상조직에서도 발현은 될 수 있으나 갑상선 유두상암에서 발현 비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는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갑상선 유두상암에서 측경부 림프절 전이 유무에 따라서 Bcl-2 양성 발현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측경부 림프절 전이와 연관된 인자에는 무엇이 있는가? 갑상선 유두상암은 모든 갑상선 분화암 중 가장 흔하며, 경부 림프절 전이는 약 30~80%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1-4) 현재 갑상선 유두상암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발병 나이, 성별, 종양의 크기, 혈관과 림프절의 침범, 원격전이 유무 등이 고려되고 있으며,3) 특히 경부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갑상선 유두상암 환자에서 국소구역(locoregional) 재발이 더 흔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고, 측경부 림프절 전이와 연관된 인자들은 전경부(anterior compartment) 림프절 전이, 종양의 크기, 다발성 종양, 피막 외침범 등이 보고되고 있다.5-8) 또한, 최근 이러한 임상적인 인자들 외에 분자 생물학적 표지자에 대해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측경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갑상선 유두상암에서 이러한 표지자들이 갖는 의미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은 상태이다.
갑상선 유두상암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는 무엇이 있는가? 갑상선 유두상암은 모든 갑상선 분화암 중 가장 흔하며, 경부 림프절 전이는 약 30~80%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1-4) 현재 갑상선 유두상암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발병 나이, 성별, 종양의 크기, 혈관과 림프절의 침범, 원격전이 유무 등이 고려되고 있으며,3) 특히 경부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갑상선 유두상암 환자에서 국소구역(locoregional) 재발이 더 흔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고, 측경부 림프절 전이와 연관된 인자들은 전경부(anterior compartment) 림프절 전이, 종양의 크기, 다발성 종양, 피막 외침범 등이 보고되고 있다.5-8) 또한, 최근 이러한 임상적인 인자들 외에 분자 생물학적 표지자에 대해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측경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갑상선 유두상암에서 이러한 표지자들이 갖는 의미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은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ebebew E, Clark O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Complete" Rational approach. World J Surg. 2000;24(8):942-951. 

  2. Caron NR, Clark OH. Papillary thyroid cancer: Surgical management of lymph node metastases. Curr Treat Options Oncol. 2005;6(4):311-322. 

  3. Sivanandan R, Soo KC. Pattern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from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Br J Surg. 2001;88(9):1241-1244. 

  4. Kupferman ME, Patterson M, Mandel SJ, LiVolsi V, Weber RS. Patterns of lateral neck metastasis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4; 130(7):857-860. 

  5. Mann B, Buhr HJ. Lymph node dissection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who benefits? Langenbecks Arch Surg. 1998;383(5):355-358. 

  6. Lim YS, Lee JC, Lee YS, Lee BJ, Wang SG, Son SM, et al. Lateral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from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redictive factors of nodal metastasis. Surgery 2011 Apr 19[Epub ahead of print]. 

  7. Gulben K, Berberoglu U, Celen O, Mersin HH. Incidental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e thyroid factors affecting lymph node metastasis. Langenbecks Arch Surg. 2008;393(1):25-29. 

  8. Kaptan G, Ugur B, Orhan C, Husnu HM. Incidental papillary microcarinoma of the thyroid factors affecting lymph node metastasis. Langenbecks Arch Surg. 2007;393(1):25-29. 

  9. Lee SJ, Jin SM, Lee SH, Yeo JO, Lee SU, Son JH, et al. Expression of Bcl-2, Bax and p27 in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ncer with or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0;53:153-158. 

  10. Shaha AR, Shah JP, Loree TR. Patterns of nodal and distant metastasis based on histologic varieties indifferentiated carcinoma of the thyroid. Am J Surg. 1996;172:692-694. 

  11. Park CS, Min JS. Lateral neck mass as the initial manifestation of thyroid carcinoma. Head Neck. 1989;11:410-413. 

  12. Lee JK, Lee DG, Lee JC, Lee BJ, Wang SG.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ultifocal papillary thyroid carcinoma.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2007;50(7):627-631. 

  13. Block MA, Hendrick JW. Thyroid carcinoma in children: Aselective operative approach. South Med J. 1971;64:791-797. 

  14. McHenry CR, Rosen IB, Walfish PG. Prospective management of nodal metastases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m J Surg. 1991;162:353-356. 

  15. Tae K, Jeon SH, Lee HC, Kim KR, Lee HS. Pattern and treatme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Korean J Otolaryngol Head Neck. 2005;48:1506-1511. 

  16. Bukholm IK, Nesland JM, Karesen R, Jacobsen U, Borresen AL. Relationship between abnormal p53 protein and failure to express p21 protein in human breast carcinomas. J pathol. 1997;181:140-145. 

  17. Moore D, Ohene-Fianko D, Garcia B, Chakrabarti S. Apoptosis in thyroid neoplasm: Relationship with p53 and Bcl-2 expression. Histopathology. 1988;32:35-42. 

  18. Ito Y, Toshida H, Nakano K, Takamura T, Miya A, Kobayashi K, et al. Bag-1 expression in thyroid neoplasm: Its correction with bcl-2 expression and carcinoma dedifferentiation. Anticancer Res. 2003;23:569-576. 

  19. Manetto V, Lorenzini R, Cordon-Cardo C, Krajewski S, Rosai J, Reed JC, et al. Bcl-2 and Bax expression in thyroid tumors. Virchows Archiv. 1997;430:125-130. 

  20. Hermann S, Sturm I, Mrozek A, Klosterhalfen B, Hauptmann S, Dorken B, et al. Bax expression in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tumours: Dysregulation of wild-type p53 is associated with a high Bax and p21 expression in thyroid carcinoma.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2001;92:805-811. 

  21. Karlidag T, Cobanoglu B, Keles E, Alpay HC, Ozercan I, Kayqusuz I, et al. Expression of Bax, p53 and p27/kip in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or without cervical nodal metastasis. Am J Otolaryngol. 2007;28:31-36. 

  22. Upreti M, Lyle CS, Skaug B, Chambers T. Vinblastine-induced apoptosis is mediated by discrete alterations in subcellular location, oligomeric structure, and activation status of specific Bcl-2 family member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6; 281:15941-15950 

  23. Wang S, Wuu J, Savas L. The role of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cyclin D1, cyclin E, and p27 in thyroid carcinogenesis. Hum Pathol. 1998;29(11):1304-1309. 

  24. Sherr CJ. Cancer cell cycles. Science. 1996;274:1672-1677. 

  25. Pickett CA, Agoff SN, Widman TJ. Altered expression of cyclins and cell cycle inhibitors in papillary thyroid cancer: Prognostic implications. Thyroid. 2005;15(5):461-473. 

  26. Khoo ML, Beasley NJ, Ezzat S. Overexpression of cyclin D1 and underexpression of p27 predict lymph node metastases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J Clin Endocrinol Metab. 2002;87(4):1814-1818. 

  27. Brzezi?ski J, Migodzi?ski A, Gosek A, Tazbir J, Deolejus M. et al. Cyclin E expression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relation to staging. Int J Cancer. 2004;109(1):102-105. 

  28. Lohela M, Helotera H, Haiko P, Dumont DJ, Alitalo K. Transgenic induct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C is strongly angiogenic in mouse embryos but leads to persistent lymphatic hyperplasia in adult tissues. Am J Pathol. 2008;173:1891-1901. 

  29. Kilicarslan AB, Ogus M, Arici C, Pestereli HE, Cakir M, Karpuzoglu G. Clinical importanc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PMIS. 2003; 111(3):439-443. 

  30. Jebreel A, England J, Bedford K, Murphy J, Karsai L, Atkin 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VEGF receptors expression and microvascular density in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disease. Int J Exp Pathol. 2007;88(4):271-277. 

  31. Dhar DK, Kubota H, Kotoh T. Tumor vascularity predicts recurrence in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Am J Surg. 1998; 176:442-447. 

  32. He Y, Karpanen T, Alitalo K. Role of lymphangiogenic factors in tumor metastasis. Biochim Biophys Acta. 2004;1654:3-12. 

  33. Mandriota SJ, Jussila L, Jeltsch M.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C mediated lymphangiogenesis promotes tumor metastasis. EMBO J. 2001;20:672-682. 

  34. Beasley NJ, Prevo R, Banerji S. Intratumoral lymphangiogenesis and lymph node metastasis in head and neck cancer. Cancer Res. 2002;62:1315-13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