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년 7월 22일 부분일식 발생 시 기상요소의 변화 특성
Effects on Meteorological Variables During the Partial Solar Eclipse Event of 22 July 2009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0 no.8, 2011년, pp.1041 - 1048  

전병일 (신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n meteorological variables in Seoul, Busan and Jeju during the partial solar eclipse event of 22 July 2009 in Korea. Solar irradiance decreased 16 and 19 minutes after eclipse in Seoul and Busan, and 6 minutes before eclipse in Jeju. Minimum so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2009년 7월 22일의 부분 일식은 지구, 달, 태양이 일직선으로 있을 때, 달이 태양을 가리어 생기는 천문현상으로 진행경로는 Fig. 1과 같이 인도에서 시작해 중국, 일본으로 진행하였다. Table 1과 같이 개기일식대와 가장 가까운 제주에서 0931 LST에 일식이 시작되었고 동쪽인 부산이 가장 늦은 0936 LST에 시작되었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상자료는 서울, 부산, 제주에서 2009년 7월 22일에 AWS(Auto Weather Station) 에서 관측된 1분 평균의 일사량, 기온, 상대습도, 풍향, 풍속, 지중온도를 사용하였으며, 3시간 간격의 운량은 일기상통계표를 이용하였다(기상청, 2009). 서울, 부산, 제주는 우리나라 북쪽에서 남쪽으로 위치한 대도시로서 일식현상이 기상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지리적으로 적합한 위치에 있으며, 일식과 관련된 기상요소를 관측하고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 우리나라에서 부분일식이 발생했을 때 기상학적인 변화를 구체적으로 연구한 예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7월 22일 발생한 부분일식이 기상요소(일사량, 기온, 상대습도, 풍속, 지중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서울, 부산, 제주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7월 22일에 발생한 부분 일식이 기상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서울과 부산은 일식 개시 16분과 19분 후부터 일사량이 감소하였고, 제주는 일식이 시작되기 6분 전부터 일사량의 감소가 있었다. 서울과 부산에서 최저 일사량은 최대일식 후 각각 7분과 3분 후에 발생하였고 제주는 최대 일식 8분 전에 발생하였다. 서울과 부산은 최대일식이 끝나자 일사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일식의 종료와 함께 원래로 회복되었으나, 제주는 최대일식 후 일사량이 회복되는 양상이 두 도시에 비해 느렸다. 2. 부분일식으로 인한 기온하강은 서울, 부산, 제주가 각각 0.7℃, 4.0℃, 1.5℃이었고, 최대일식에서 최저기온이 발생하기 까지 걸린 시간은 서울, 부산, 제주가 각각 12분, 32분, 30분이었다. 상대습도의 변화는 서울, 부산, 제주가 각각 2.6%, 17.4%, 12.3%이었다. 3. 부분일식으로 인한 풍속의 변화는 서울, 부산, 제주가 각각 1.1 ㎧, 3.4 ㎧, 1.4 ㎧ 정도 감소하였다. 5 ㎝의 지중온도는 서울과 부산에서 0.2℃의 하강이 발생하였고, 10 ㎝의 지중온도는 일식기간 중 거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였으며, 20 ㎝의 경우는 일식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4. 이러한 세 도시에서의 부분일식에 의한 기상요소의 차이는 식분에 의한 것이라고 보다는 국지적인 구름에 의한 효과가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일식은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가? 일식은 천문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태양으로부터 입사하는 일사량의 급격한 변화, 지표대기층의 냉각, 대기난류의 감소 등의 변화를 일으킴으로서 기상학적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다(Anderson, 1999; Aplin과 Harrison, 2002; Founda 등, 2007; Hanna, 2000). 일식이 발생하면 지표면에서 태양복사량의 급격한 감쇄가 일어나고 이것은 대기에서 광화학적뿐만 아니라 역학적인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며 초기에 국지규모로 작용하다가 지구규모로 확장할 수 있다(Dani와 Devara, 2002).
일식은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일식은 천문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태양으로부터 입사하는 일사량의 급격한 변화, 지표대기층의 냉각, 대기난류의 감소 등의 변화를 일으킴으로서 기상학적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다(Anderson, 1999; Aplin과 Harrison, 2002; Founda 등, 2007; Hanna, 2000). 일식이 발생하면 지표면에서 태양복사량의 급격한 감쇄가 일어나고 이것은 대기에서 광화학적뿐만 아니라 역학적인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며 초기에 국지규모로 작용하다가 지구규모로 확장할 수 있다(Dani와 Devara, 2002). 고대 중국이나 바빌론 문헌에 의하면 일식은 BC2500년부터 관측되었으며, 농업이나 사람의 건강 그리고 성공과 관련해서 일식을 예측하고 기록하였으며 현대에도 과학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다(Gerasopoulos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기상청, 2009, 일기상통계표, www.kma.go.kr. 

  2. 한국천문연구원, 2009, 달, 태양을 삼키다, 보도자료, www.kasi.re.kr. 

  3. Amiridis, V., Melas D., Balis, D. S., Papayannis, A., Founda, D., Katragkou, E., Giannakaki, E., Mamouri, R. E., Gerasopoulos, E., Zerefos, C., 2007, Aerosol lidar observations and model calculations of the planetary boundary layer evolution over Greece, during the March 2006 total solar eclipse, Atmos. Chem. Phys., 7, 6181-6189. 

  4. Anderson, J., 1999, Meteorological changes during a solar eclipse, Weather, 54(7), 207-215. 

  5. Anderson, R. C., Keefer, D. R., Myers, O. E., 1972, Atmospheric pressure and temperature changes during the 7 March 1970 solar eclipse, J. Atmos. Sci., 29, 583-587. 

  6. Antonia, R. A., Chambers, A. J., Phong-Anant, D., Rajagopalan, S., Sreenivasan, K. R., 1979, Response of atmospheric surface layer turbulence to a partial solar eclipse, J. Geophys. Res., 4, 1689-1692. 

  7. Aplin, K. L., Harrison, R. G., 2002, Meteorological effects of the eclipse of 11 August 1999 in cloudy and clear conditions, Proc. R. Soc. Lond. A, 459, 353-372. 

  8. Dani, K. K., Devara, P .C. S., 2002, Aerosol optical depth and ozone variations during the total solar eclipse of 24 October 1995, Atmospheric Research, 65, 1-15. 

  9. Dolas, P. M., Ramchandran, R., Sen Gupta, K., Patil, S. M., Jadhav, P. N., 2002, Atmospheric surface-layer processes during the total solar eclipse of 11 August 1999, Bound.-Lay. Meteorol., 104, 445-461. 

  10. Eaton, F. D., Hines, J. R., Hatch, W. H., Cionco, R. M., Byers, J., Garvey, D., Miller, D. R., 1997, Solar eclipse effects observed in the planetary boundary layer over a desert, Bound.-Lay. Meteorol., 83, 331-346. 

  11. Fernandez, W., Castro, V., Hidalgo, H., 1993, Air temperature and wind changes in Costa Rica during the total solar eclipse of July 11, 1991, Earth, Moon and Planets, 63, 133-147. 

  12. Fernandez, W., Hidalgo, H., Coronel, G., Morales, E., 1996, Changes in meteorological variables 15 in Coronel Oviedo, Paraguay, during the total solar eclipse of 3 November 1994, Earth, Moon and Planets, 74, 49-59. 

  13. Foken, T., Wichura, B., Klemm, O., Gerchau, J., Winterhalter, M., Weidinger, T., 2001, Micrometeorological measurements during the total solar eclipse of August 11, 1999, Meteorol. Z., 10(3), 171-178. 

  14. Founda, D., Melas, D., Lykoudis, S., Lisaridis, I., Gerasopoulos, E., Kouvarakis, G., Petrakis, M., Zerefos, C., 2007, The effect of the total solar eclipse of 29 March 2006 on meteorological variables in Greece, Atmos. Chem. Phys., 7, 5543-5553. 

  15. Gerasopoulos, E., Zerefos, C. S., Tsagouri, I., Founda, D., Amiridis, V., Bais, A. F., Belehaki1, A., Christou, N., Economou, G., Kanakidou, M., Karamanos, A., Petrakis, M., Zanis, P., 2008, The total solar eclipse of March 2006: overview, Atmos. Chem. Phys., 8, 5205-5220. 

  16. Hanna, E., 2000, Meteorological effects of the solar eclipse of 11 August 1999, Weather, 55, 430-446. 

  17. Krishnan, P., Kunhikrishnan, P. K., Muraleedharan Nair, S., Ravindran, S., Ramachandran, R., Subrahamanyam, D. B., Venkata Ramana, M., 2004, Observations of the atmospheric surface layer parameters over a semi arid region during the solar eclipse of August 11th, 1999, Proc. Indian Acad. Sci. (Earth Planet. Sci.), 113, 353-363. 

  18. Narasimha, R., Prabhu, A., Narahari Rao, K., Prasad, C. R., 1982, Atmospheric Boundary Layer Experiment, Proc. INSA Bull, 48, 175-186. 

  19. Stoev, A., Stoeva, P., Valev, D., Kiskinova, N., Tasheva, T., 2005, Dynamics of the microclimatic parameters of the ground atmospheric layer during the total solar eclipse on August 11, 1999, Geophys. Res. Abstr., 7, 10209. 

  20. Szalowski, K., 2002, The effect of the solar eclipse on the air temperature near the ground, J. Atmos. Solar-Terr. Phys., 64, 1589-1600. 

  21. Tzanis, C., Varotsos, C., Viras, L., 2008, Impacts of the solar eclipse of 29 March 2006 on the surface ozone concentration, the solar ultraviolet radiation and the meteorological parameters at Athens, Greece, Atmos. Chem. Phys., 8, 425-430. 

  22. Zanis, P., Katragkou, E., Kanakidou, M., Psiloglou, B. E., Karathanasis, S., Vrekoussis, M., Gerasopoulos, E., Lysaridis, I, Markakis, K., Poupkou, A., Amiridis, V., Melas, D., Mihalopoulos, N., Zerefos, C., 2007, Effects on surface atmospheric photooxidants over Greece during the total solar eclipse event of 29 March 2006, Atmos. Chem. Phys., 7, 6061-60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