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화에 대한 태도가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유배우노인과 무배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Aging on Successful Aging: The Differences between Single and Couple Aged Family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9 no.4, 2011년, pp.77 - 91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  곽인숙 (우석대학교 실버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88 seniors living in the Jeonbuk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s and a path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커지는 이유는? 최근 세계적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전 생애에서 노년기가 차지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노화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성공적 노화로 집약되는 노화모델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와 서구의 성공적 노화 모델이 소개되고 인구 고령화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면서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의 삶이 집중적으로 조명되고 있다.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의 수준이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반영한 개인적 요인 및 사회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간접적으로는 이들이 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로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력과 인과관계를 파악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노화에 대한 태도는 성별, 연령, 종교유무, 가계총소득, 주관적 경제상태,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 성공적인 노화의 수준은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유무, 종교유무, 가계총소득, 주관적 경제 상태,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중 가장 주목할만한 변수는 주관적 경제상태로서, 가계총소득에 따른 집단 간 노화 태도 및 성공적 노화수준이 일관된 경향을 보이지 않는 것에 비해 주관적 경제상태에 따른 노화 태도 및 성공적 노화수준은 집단별로 일관성 있게 큰 차이를 보였다. 즉, 주관적으로 자신의 경제상태를 양호하게 인지한 집단이 노화에 대해서도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성공적 노화의 수준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화에 대한 태도에는 유배우 노인의 경우 가족지원, 사회활동, 성별, 이웃의 지원, 가계총소득, 교육수준, 건강상태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무배우 노인의 경우 사회활동,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 종교유무, 이웃의 지원, 성별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두 집단에서 두드러진 차이점으로는 유배우 노인의 경우 경제적 변수, 즉 가계총소득 및 주관적 경제상태와 사회적 요인 중 형제 및 친척 지원이 노화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에 비해 무배우 노인의 노화태도에는 주관적 경제상태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무배우 노인들이 노화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는 중요한 몇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보다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형성되고 설명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사회적 요인 중 가족 지원과 형제 및 친척 지원은 노화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이웃 지원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점이 흥미롭다. 노인들은 어느 정도 불가피하게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의 신체적, 정서적, 정서적 도움과 지지를 필요로 하는데, 유배우 노인들이 가족의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노화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과 달리 무배우 노인들의 노화 태도에는 가족지원, 형제 및 친척의 지원이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무배우 노인에게 가족 지원은 곧 자녀의 지원을 의미하므로 배우자가 아닌 자녀의 지원에 의존한다는 것은 노인들이 원하는 바람직한 노년상이 아니며 결과적으로 자신의 노년기와 노화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배우자 유무에 따라 유배우집단의 성공적 노화에는 주관적 경제상태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는 가족지원, 성별, 교육수준, 연령, 건강상태, 노화에 대한 태도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배우집단의 성공적 노화에는 가족지원, 노화에 대한 태도, 주관적 경제상태, 이웃의 지원, 종교유무, 형제나 친척의 지원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유배우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는 주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 등 개인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 반면 무배우 노인의 경우 사회적 요인 중 사적 지원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차이점이 있다. 반면 두 집단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주관적 경제상태와 가족지원, 그리고 노화에 대한 태도이다. 은퇴 후 노년기에는 근로소득이 상실되므로 가계소득이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두 집단 모두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경제상태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각 집단에서 중요한 변수로 확인됨으로써 노년기 경제구조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조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가족의 지원은 배우자유무에 관계없이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유배우 집단의 성공적 노화에는 영향력이 없었던 형제나 친척, 이웃의 지원이 무배우 집단에서는 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배우자가 없는 노인들에게 친지와 이웃은 배우자를 대신하는 관계망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노인의 개인적 요인 및 사회적 요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노화에 대한 태도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을 확인한 결과 유배우집단의 성공적 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주관적 경제상태는 노화에 대한 태도를 경유하는 간접 효과 없이 강한 직접 효과만을 미치며, 이웃 지원과 사회활동 등 사회적 요인은 성공적 노화에 대해 간접적 영향만을 미쳤다. 한편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인 효과와 함께 노화태도를 경유한 간접 효과를 보인 변수들은 성별, 교육수준, 소득, 건강상태, 가족 지원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보임과 동시에 노화에 대한 태도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친다고 하겠다. 다섯째, 무배우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는 주관적 경제상태가 유배우 노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효과만을 보이며,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계총소득, 건강상태, 사회활동은 노화태도를 통한 간접효과만을 가진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무배우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직접 효과를 주는 변수들의 수가 적은 반면 노화 태도를 통한 간접 효과를 보이는 변수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종교 유무와 가족지원, 형제 및 친척 지원, 이웃 지원 등 모든 사적 지원 변수는 성공적 노화에 직접 효과와 노화 태도를 매개로 한 간접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에게는 유배우 노인에 비해 가족을 제외한 형제 지원 및 이웃 지원 등의 사적 지원 요인이 중요하며, 종교도 이들의 노화과정에서 의미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Baltes와 Baltes(1990)가 제시한 성공적 노화의 지표 7가지는? Baltes와 Baltes(1990)는 성공적 노화의 지표로 수명, 생물학적 건강, 정신건강, 인지적 효능, 사회적 능력 및 생산성, 개인적 통제, 생활만족의 7가지를 제시하였다. Crosnoe와 Elder(2002)는 가족참여, 직업에서의 성공, 시민역할 참여, 생활만족도, 활력 등을 통해 성공적 노화를 파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곽만석(2005)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중돈, 조주연(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2), 62-76. 

  3. 김미령(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4. 김미혜, 신경림(2005).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2), 35-52. 

  5. 김미혜, 신경림, 최혜경, 강미선(2004).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 24(2), 79-95. 

  6. 김미혜, 신경림, 최혜경, 강미선(2005).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6(1), 91-104. 

  7. 김상학(2004).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사회연구, 1, 169-206. 

  8. 김애련(2001).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윤정, 정선아(2001).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 : 노인에 대한 인식과 행동간의 관계 규명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173-183. 

  10. 김재중(2007).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정순(1989).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정희 (1996). 한국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사회인구요인, 한국노년학, 16(2), 120-136. 

  13. 김태련 (1988). 노인의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1), 30-47. 

  14. 김희주, 주경희(2008).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1, 125-158. 

  15. 박경란, 이영숙(2002).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노년학, 22(3), 53-66. 

  16. 박경희(2005).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진성(2010). 성공적인 노화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중장년기 여가경험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배문조(2009)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9(3), 1107-1123. 

  19. 백지은, 최혜경(2005).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16. 

  20. 성혜영(2005). 성공적 노화모델 연구: Rowe 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성혜영, 유정현(2002).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의 접근. 한국노년학, 22(2), 75-93. 

  22. 신학진, 전상남(2009).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요인과 주관적 건강의 영향. 노인복지연구, 46, 29-52. 

  23. 윤현숙, 유희정(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24. 이미경(2002).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영적 안녕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신숙(2004). 자기진술에 의한 유.무배우 여자노인의 생활 실태. 한국가정과학회, 7(2), 73-81. 

  26. 정경희, 한경혜, 김정석, 임정기(2006). 노인문화의 현황과 정책적 함의-'성공적 노화'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정병은, 이기홍(2010). 성공적 노화에 대한 세대별 인식 조사 연구 :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11(2), 45-69. 

  28. 정순돌(2007).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27(4), 829-845. 

  29. 정여진, 안정선(2010).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535-550. 

  30. 조해경(2002).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연구-성인학습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최인영(2007). 한국 중년세대의 가치관과 성공적인 노화 인식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혜경(1985). 노인의 생활만족도 기초 향상을 위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하정연(2003)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관련 범위 연구: 중산층 노인의 SOC도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하정연, 오윤자(2003).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선택.적정화.보상책략 관련변인 연구- 중산층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31-144. 

  35. 한경혜(2000). 신 노년층 문화와 성공적 노화. 한국가족학회 2000년 춘계학술대회 -21세기 새로운 가족문화, 5-10. 

  36. 홍성희, 곽인숙(2010). 세대간 노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2), 177-199. 

  37. 홍현방(2002a).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의 종교성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 22(3), 245-259. 

  38. 홍현방(2002b). 성공적인 노화 개념 정의를 위한 문헌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홍현방(2005). 생산활동수준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9, 203-235. 

  40. Baltes, P. B., Baltes, M. M.(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Successful aging :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Chou, K. L., & Chi, I.(2002).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4(1), 1-14. 

  42. Crosnoe, R., & Edler, Jr. G. H.(2002).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later years: A life course approach to ag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5(4), 309-328. 

  43. Fishbien, M.(1967). Reading an attitude theory and measurement, New York : Wiley and Sons. Inc. 

  44. Ford, A. B., Haug, M. R., Stange, K. C., Gaines, A. D., Noelker, L. S., & Jones, P. K.(2000). Sustained personal autonomy: A measure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Aging & Health, 12(4), 470-490. 

  45. Katz, S.(2000). Busy bodies : Activity, aging, and the management of everyday life. Journal of Aging Studies, 14(2), 135-152. 

  46. Krause, N.(1993). Neighborhood deterioration and social isolation in later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36, 9-38. 

  47. Mannel, R. C., & Dupuis, S.(1996). Encyclopedia of Gerontology, San Diego: Academic Press. 

  48. Mitchell, B. A.(2002). Successful aging : Integrating contemporary ideas, research finding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amily Relations, 51(3), 283-284. 

  49. Pelmutter, M., & Hall, E.(1992). Adult development and aging. New York : Wiley and Sons. Inc. 

  50. Roberto, K. A.(1996). Friendships between older women : interaction and reactions. Journal of Women & Aging, 8(3), 55-73. 

  51. Rowe, J. W., & Kahn, R. L.(1998). Successful aging. Gerontologist, 37, 433-441. 

  52. Ryff, C. D.(1989).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2, 34-55. 

  53. Schulz, R., & Heckhausen, J.(1996). A life span model of successful aging. American Psychologist, 51(7), 702-714. 

  54. Torress, S.(1999). A culturally-relevant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successful aging, Aging & Society, 19(2), 33-51. 

  55. Vaillant, G. E., & Mukamal, K.(2001). Successful aging.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6), 839-847. 

  56. Wong, T. P.(1989). Personal Meaning and Successful Aging. Canadian Psychology, 30(3), 516-52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