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Analysis of Time Use of Double Income Paid Worker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9 no.5, 2011년, pp.81 - 96  

이승미 (우석대학교 실버복지학과) ,  이현아 (여성가족부 장관정책보좌관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time use of dual income paid workers. The data was selected from the '2009 Korean Time Use Survey' by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re were 2799 respondents who were paid workers with dual income.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ime use between men and women.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생활시간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연구에 의하면, 개인의 생활시간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취업여부나 근무 형태 등 개인관련 요인 뿐 아니라 기혼남녀의 경우 미취학자녀의 유무, 가족생활주기 등 가족관련 요인 등 다양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성역할태도나 시간에 대한 개인의 정서 등도 생활시간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소득의 성격에 따라 생활시간배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심층적 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고 한 이유는? 또한 맞벌이 여성은 본인의 소득이 많을수록 비시장노동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총소득이 많을수록 여가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남녀 대상의 시간배분 결정요인 분석연구(유소이, 최윤지, 2002)에서는 가구자산을 대신해 줄 변수로 주택소유, 주거전용면적, 자동차소유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주거면적이 클수록 여성의 육아시간은 적어지고, 여성의 여가시간은 많아지는 반면 남성의 시간배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유형을 구분하여 분석한 선행연구(김진욱, 2008)에서도 맞벌이가구와 한부모가구 모두 150만원 미만의 집단보다 소득이 높은 집단의 가사노동시간이 더 적었다. 따라서 소득의 성격에 따라 생활시간배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심층적 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생활시간연구의 동향은 가정학분야에서 7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무엇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나? 우리나라 생활시간연구의 동향은 가정학분야에서 7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주부나 가족, 부부를 대상으로 생활시간사용이나 구조를 분석한 연구1)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는데(이기영, 김외숙, 서창원, 이승미, 1994; 이기영, 송혜림, 이승미, 민순선, 서지원, 1996; 이기영, 이승미, 1994; 이기영, 이연숙, 김외숙, 조희금, 1996; 이연숙 외, 2002; 이현아, 이기영 1994; 임정빈, 1981; 임정빈, 임혜경, 1992; 조희금, 1993, 1997; 한경미, 1991; 허경옥, 1997), 초기연구에 비해 90년대 연구들은 시간일지(time-diary) 조사방법을 활용하였으나 연구대상의 표본이 제한적이라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통계청에서 1999년부터 전국 대상의 생활시간조사를 실시함에 따라 생활시간연구는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통계청 시간자료를 활용하여 이론적 가설을 검증하거나(김수정, 김은지, 2007; 김진욱, 2005, 2008; 성지미, 2006; 손문금, 2005), 생활시간구조를 분석하는 연구(유소이, 최윤지, 2002), 연구대상을 특정화하거나 여가나 노동시간에 초점을 둔 시간연구(윤소영, 2002; 조영희, 2003; 차승은, 2008; 한영선, 윤소영, 2009; 한지수, 홍공숙, 2007)가 활성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수정, 김은지(2007).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한국사회학, 41(2), 147-174. 

  2. 김진욱(2005).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가설의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57(3), 51-72. 

  3. 김진욱(2008). 일하는 어머니들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 연구. 사회복지정책, 35, 197-220. 

  4. 보건복지부(2011). 새로마지플랜 2015-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관계부처합동. 

  5. 성지미(2006). 맞벌이 여성의 시간 분배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6(4), 1-30. 

  6. 세계일보(2010. 12. 21). 30-50대 근로자 10명 중 7명 '맞벌이'. 

  7. 손문금(2005). 맞벌이부부 여성의 이중부담과 시간의 특성: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송혜림(1988). 남편의 가사노동 협력에 대한 부인의 기대 및 남편의 협력실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유소이, 최윤지(2002). 성인남녀의 생활시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 유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육아시간 및 여가시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3), 53-68. 

  10. 윤소영(2002). 독신의 시간사용과 여가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혼 및 기혼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209-217. 

  11. 이기영, 김외숙, 서창원, 이승미(1994). 도시근로자가정 부부의 생활시간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1), 31-46. 

  12. 이기영, 송혜림, 이승미, 민순선, 서지원(1996). 도시 남성근로자의 생활시간구조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97-112. 

  13. 이기영, 이승미(1994).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도시근로자가정부부의 생활시간 구조. 대한가정학회지, 32(3), 11-26. 

  14. 이기영, 이연숙, 김외숙, 조희금(1996). 한일양국간 도시부부의 생활시간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4), 145-162. 

  15. 이승미(1994).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충북가정학회지, 3(1), 23-31. 

  16. 이연숙, 이기영, 김외숙, 조희금, 주인숙, Zick, C. D.(2002). 한미 양국간 가족의 시간사용 비교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139-156. 

  17. 이현아, 이기영(1994). 남편의 생활시간구조와 가족생활시간에 관한 부부의 지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1), 145-160. 

  18. 임정빈(1981). 도시주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9(2), 73-85. 

  19. 임정빈, 임혜경(1992). 1980년과 1990년 도시주부의 생활시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0(4), 261-278. 

  20. 조영희(2004). 한부모가족의 부, 모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39-151. 

  21. 조희금(1993). 생산직 기혼여성의 생활시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1(3), 1-13. 

  22. 조희금(1997). 사무직 기혼여성부부의 생활시간구조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5(1), 1-14. 

  23. 차승은(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24. 채로, 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25. 통계청(2009). 2009년 사회조사. 서울: 통계청. 

  26. 통계청(2010), 2009년 생활시간조사. 서울: 통계청. 

  27. 한경미(1991). 취업주부의 시간사용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171-190. 

  28. 한영선, 윤소영(2009). 미취학자녀를 둔 도시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2), 81-95. 

  29. 한지수, 홍공숙(2007). 노부모와 동거하는 기혼여성자녀의 시장노동 참여 및 참여시간 결정요인: 기혼여성자녀와 노부모와의 시간자원 이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6), 61-75. 

  30. 허경옥(1994).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시간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90-105. 

  31. 허경옥(1997). 부인과 남편의 시간배분구조 분석: 가정생산모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5(1), 319-338. 

  32. Becker, G.(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Economic Journal 75, 493-517. 

  33. Gershuny, J., Godwin, M., & Jones, S.(1994). The Domestic Labor Revolution : A Process of Lagged Adaptation in M. Anderson et al., The Social and Political Economy of the Household. Oxford University Press. 161-197. 

  34. Gronau, R.(1977). Leisure, Home Production, and Work: The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Revisited.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5(6), 1099-1123. 

  35. Mincer, J.(1962).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A Study of Labor Supply. in Aspects of Labor Economics. Princeton: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