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료전지 응용을 위한 다공성막에 친수성 고분자의 함침을 통한 고내구성 이온교환막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mpregnation to Porous Membranes with PVA/PSSA-MA for Fuel Cell Application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5 no.4, 2011년, pp.296 - 301  

이보성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나노생명화학공학과) ,  정선경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나노생명화학공학과) ,  임지원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나노생명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내구성을 가진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것으로 연료전지에 적용하기 위하여 poly(vinyl alcohol)을 주사슬부로 하여 poly(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 (PSSA-MA)를 다공성 polyethylene(PE) 막에 함침시켜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을 함수율, 접촉각, FTIR, 이온교환용량, 이온전도도 메탄올 투과도 열 중량분석, 탄성계수 등의 측정을 통해 친수성 고분자가 함침된 막의 특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접촉각 측정과 FTIR 분석을 통해 PE 막에 함침된 막에서의 친수성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PSSA-MA의 함량이 10 wt% 함침된 막의 경우, 이온교환 용량은 Nafion 115의 0.91보다 향상된 1.2 meq./g dry membrane을 얻었다. 또한 탄성계수의 경우 PE 막에 비하여 3~3.6 배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함수율과 메탄올 투과 실험을 통해 PSSA-MA의 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높은 치수안정성과 낮은 메탄올 투과결과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impregnation of poly (vinyl alcohol) (PVA) crosslinked with poly(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 (PSSA-MA) to porous polyethylene membrane for the fuel cell application. The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by the measurements of the water content,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311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공도가 50% 이상인 polyethylene(PE) 다공성막 위에 poly (vinyl alcohol) (PVA)가 주사슬부를 이루면서 poly (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 (PSSA-MA)와 블렌딩하여 PSSA-MA의 함량을 높여 제막을 용이하게 하며 치수안정성과 막의 기계적 특성 향상을 통해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높은 친수성을 가진 고분자들을 제막 시 제한적이었던 PSSA-MA의 함량비를 다공성 고분자막 위에 함침시킴으로써 막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제막을 용이하게 하며 설폰기와 카르복실기의 반응성을 더욱 높이고자 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PE막은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소수성의 특성을 니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친수성 고분자의 함침을 통해 막 표면의 물에 대한 젖음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은 NRL C.
  • 이온교환용량과 이온전도도 실험을 통하여 막의 수소 양이온 교환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SSA-MA의 함랑이 증가함에 따라 설폰기의 증가와 실험온도의 증가로 인해 이온전도도는 향상되어지지만 동일 함량과 상온의 실험조건에서 이온교환능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함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교도와 ionic group(-SO3H, -COOH)의 영향을 들 수 있다. 가교도의 영항이 이온그룹의 영향보다 적다면 함수율은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Figure 2에서와 같은 결과는 이온그룹의 영향보다 가교도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L. Carrette, K. A. Friedrich, and U. Stimming, Fuel cellsfundamentals and application, Fuel Cell, Germany, Vol 1, p 5 (2001). 

  2. C. Lamy, J.-M. Leger, and S. Srinivasan, in Modern Aspects of Electrochemistry, J. O'M. Bockris and B. E. Conway, Editors, Plenum Press, New York ,Vol 34, p 53 (2000). 

  3. J. Wang, S. Wasmus, and R. F. Savinell, J. Electrochem. Soc., 142, 4218 (1995). 

  4. X. Ren, P. Zelency, S. Thomas, J. Davey, and S. Gottesfeld, J. Power Sources, 86, 111 (2000). 

  5. M. P. Hogarth and G. A. Hard, Platinum Met. Rev., 40, 150 (1996). 

  6. K. Lee and J.-D. Nam, J. Power Sources, 157, 201 (2006). 

  7. S. Panero, P. Fiorenza, M. A. Navarra, J. R. Owska, and B. Scrosati, J. Electrochem. Soc., 152, 2400 (2005). 

  8. K. Furukawa, K. Okajima, and M. Sudoh, J. Power Sources, 139, 9 (2005). 

  9. J. H. Choi, Y. M. Kim, J. S. Lee, K. Y. Cho, H. Y. Jung, J. K. Park, I. S. Park, and Y. E. Sung, Solid State Ionics, 176, 3031 (2005). 

  10. N. W. Deluca and Y. A. Elabd,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44, 2201 (2006). 

  11. K. Scott, W. M. Taama, and P. Argyropoulos, J. Membr. Sci., 171, 119 (2000). 

  12. H. B. Park, C. H. Lee, J. Y. Sohn, Y. M. Lee, B. D. Freeman, and H. J. Kim, J. Membr. Sci., 285, 432 (2006). 

  13. D. S. Kim, M. D. Guiver, T. I. Yun, S. Y. Nam, M. Y. Seo, S. J. Kim, H. S. Hwang, and J. W. Rhim, J. Membr. Sci., 281, 156 (2006). 

  14. S. W. Cheon, J. H. Jun, and J. W. Rhim, Membrane Journal, 13, 191 (2003). 

  15. W. S. Winston Ho and K. K. Sirkar, Membrane Handbook,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p 236 (1992). 

  16. R. E. Kesting, Synthetic Polymeric Membranes, John Wiley & Sons, New York, p 348 (1985). 

  17. D. S. Kim, H. B. Park, J. W. Rhim, and Y. M. Lee, J. Membr. Sci,. 240, 37 (2004). 

  18. D. S. Kim, H. B. Park, J. W. Rhim, and Y. M. Lee, Solid State Ionics, 176, 11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