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흰쥐의 다낭성 난소 발달과 수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ngdamsagan-tang on the Progression of the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ies and on the Conception in Rats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4 no.3, 2011년, pp.48 - 72  

이인재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이동녕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서일복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김형준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ngdamsagantang on the polycystic ovary(PCO) induced by estradiol valerate(EV) in rats. Methods: After administrating Yongdamsagan-tang to PCO induced rats, we measured the weight of body, ovaries, adrenal glands, and uterus of rat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무엇인가? 다낭성 난소 증후군(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은 다양한 크기의 낭성 난포를 포함하는 비후된 난소를 특징으로 하며 동시에 무월경, 희발월경, 불임증, 다모증, 인슐린 저항성, 비만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증후군이다1-4).
한의학 문헌에서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어떻게 서술되어있는가? 한의학 문헌에서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 관한 직접적인 기록은 없지만 이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기준으로 經閉, 月經不調, 無子, 肥胖, 不姙, 多毛등의 범주로 볼 수 있으며, 변증분류상 實證인 痰濕阻滯, 肝鬱化火, 氣滯血瘀와 虛證인 氣血兩虛, 腎虛, 脾腎陽虛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7-12).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유병률은 얼마인가? 전체 가임기 여성의 5-10 %를 차지하는 매우 흔한 질환으로 2차성 무월경 환자의 30 %는 이 증상에 해당되며 최근 들어 서구적인 식생활과 생활환경 등의 변화로 인해 전체적인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5). 원인으로는 GnRH(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분비체계 이상, 부신의 androgen 생산 이상, 난소자체의 androgen 합성 이상, 인슐린 저항성 등 여러 가지 가설이 제기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한 병인이 밝혀져 있지 않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Roger P. Smith. Netter's Obstetrics & Gynecology, Women's Health. 2005:371-2. 

  2. 김탁.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최신지견. 대한산부인과학회. 연수강좌. 2002;31:38-44. 

  3. The Rotterdam ESHRE/ASRM-sponsored PCOS consensus workshop group: Revised 2003 consensus on diagnostic criteria and long-term health risks related to polycystic ovary syndrome. Fertility and Sterility. 2004;81:19-25. 

  4. 노정현.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분비학회. 연수강좌. 2007:58-66. 

  5. 최영길. 내분비학. 서울:의학출판사. 1994:563-71. 

  6. Abbott DH. Dumesic DA, Franks S. Developmental origin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 a hypothesis. J Endocrinol. 2002;1741:1-5. 

  7. 陳貴廷, 楊思澍. 實用中西醫結合診斷 治療學. 北京:中國醫學科技出版社. 1991:1004-9. 

  8. 張鳳嬋, 薛耀. 中醫藥治療多囊卵巢綜合症方法初探. 新中醫. 1991;1:14-6. 

  9. 施令義. 中西醫結合硏究學術論文編. 婦産科專緝. 1983;10:32. 

  10. 吳桂芳, 李祥云. 中醫藥治療多囊卵巢 綜合症硏究槪況. 河南中醫. 1994;14(2):123-5. 

  11. 金維新. 不孕症的診斷與中醫治療. 北京:北京科學出版社. 1992:172-7. 

  12. 周羽珍. 蔡小蓀治療婦科痼疾驗方拾萃. 江蘇中醫. 1996;17(1):9-10. 

  13. 양승정 등. 蒼附導痰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백서의 다낭 난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2):1-11. 

  14. 유영기 등. 腎氣丸合蒼附導痰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도된 흰쥐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1):84-98. 

  15. 남은정 등. 定經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도된 흰쥐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1):99-113. 

  16. 이연경 등. 歸脾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도된 흰쥐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영향. 2008. 

  17. Encyclopaedia Britannica, 제15판. 

  18. Brawer JR, Munoz M, Farookhi R. Development of the polycystic ovarian condition(PCO) in the estradiol valerate-treated rat. Biol Reprod. 1986;35:647-55. 

  19. 민응기. 다낭성 난소 증후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8;51(8):805-19. 

  20. Stein IF, Levental ML. Amenorrhea associated with bilateral polycystic ovaries. Am J Obstet Gynecol. 1935;29:181-91. 

  21. Barbieri RL, Smith S, Ryan KJ. The role of hyperinsulinemia in the pathogenesis of ovarian hyperandrogenism. Fertil Steril. 1988;50:197-212. 

  22. Frank S. Polycystic ovary syndrome: a changing perspective. Clin Endocrinol 1989;31:87-120. 

  23. Vink JM, et al. Heritability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in a Dutch tein-family study. J Clin Endocrinol Metab. 2006;91:2100-4. 

  24. 許俊. 東醫寶鑑. 서울:東醫寶鑑出版社. 2005:823-4. 

  25. 신웅호. 착상과 내분비계.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80;23(1):11-8. 

  26. Nestler JE, et al. Insulin stimulates testosterone biosynthesis by human theca cells from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by activating its own receptor and using inositolglycan mediators as the signal transduction system. J Clin Endocrinol Metab. 1998;83:2001-5. 

  27. Barbieri RL, Smith S, Ryan KJ. The role of hyperinsulinemia in the pathogenesis of ovarian hyperandrogenism. Fertil Steril. 1988;50:197-212. 

  28. Kalme T, et al. Comparative studies on the regul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ain-1(IGFBP-1)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SHBG) production by insulin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s in human hepatoma cell. J Steroid Biochem Mol Biol. 2003;86:197-200. 

  29. Waldstreicher J, et al. Hyperfunction of the hypothalamic-pituitary axis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ian disease: indirect evidence for partial gonadotroph desensitization. J Clin Endocrinol Metab. 1988;66:165-72. 

  30. Stener-Victorin E, et al.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nerve growth factor and ovarian morphology in rats with experimentally induced polycystic ovaries. Biol Reprod. 2000;63(5):1497-503. 

  31. 김인주. 다낭성 난소 증후군과 여성 건강. 대한내분비학회지. 2001;10(3):187-203. 

  32. Barbieri RL, Ryan KJ. Hyperandrogenism, insulin resistance, and acanthosis nigricans syndrome: A common endocrinopathy with distinct pathophysiologic features. Am J Obstet Gynecol. 1983;147(1):90-101. 

  33. 이영호, 정순오, 곽현모. Medroxy Progesterone Acetate(MPA)가 생쥐의 교미 및 배란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77;20(8):553-64. 

  34. Young, W.C. and Orbison, W.D. Changes in selected features of behavior in pairs of opposely sexed chimpanzees during the sexual cycle and after ovariectomy, J. Comp. Psychol. 1994;37:107. 

  35. 윤소영, 강명자.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의 한방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2):437-51. 

  36. 김동일, 윤종원, 이태균.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7;10(1):73-91. 

  37. Azziz R, et al. Positions statement: criteria for defining polycystic ovary syndrome as a predominantly hyperandrogenic syndrome: an Androgen Excess Society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06;91:4237-45. 

  38. 강길전. 여성생식의학. 서울:대관출판사. 1998:219-26. 

  39. Carmina E, et al. Does ethnicity influence the prevalence of adrenal hyperandrogenism and insulin resistanc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Am J Obstet Gynecol. 1992;167:1807-12. 

  40. Goldzieher JW, Fariss B. The polycystic ovary. VII. Intractable uterine bleeding and endometrial hyperplasia possibly related to an extraovarian source of oestrogen. Acta Endocrinol (Copenh). 1967;54:452-66. 

  41. Balen AH, et al. Ultrasound assessment of the polycystic ovary: international consensus definitions. Hum Reprod Update. 2003;9:505-14. 

  42. 성연아.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내과적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2006;70(4):356-60. 

  43. Armanini D, et al. In-vivo metabolites of spironolactone and potassium canrenoate: determination of potential anti-androgenic activity by a mouse kidney cytosol receptor assay. Clin Endocrinol(Oxf). 1985;23:341-7. 

  44. Kousta E, White DM, Franks S. Modern use of climiphene citrate in induction of ovulation. Hum Reprod Update. 1997;3(4):359-65. 

  45. Hamilton-Fairley D, et al. Low-dose gonadotropin therapy for induction of ovulation in 100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Hum Reprod. 1991;6:1095-9. 

  46. Biljan MM, Hemmings R, Brassard N. The outcome of 150 babies following the treatment with letrozole or letrozole and gonadotropins. Fertil Steril. 2005;84:95. 

  47. 李東垣외. 東垣十種醫書. 서울:大星文化社. 1983:219-20. 

  48. 羅元?. 實用中醫婦科學.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4:271-75. 

  49. Lara HE, et al. Activation of ovarian sympathetic nerves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Endocrinology. 1993;133(6):2690-5. 

  50. Nevi-Montalcini R. The nerve growth factor 35 years later. Science. 1987;237:1154-62. 

  51. Lara HE, McDonald JK, Ojeda SR. Involvement of nerve growth factor in female sexual development. Endocrinology. 1990;126(1):364-75. 

  52. Dissen GA, et al. A role for trkA nerve growth factor receptors in mammalian ovulation. Endocrinology. 1996;137(1):198-209. 

  53. Dissen GA, et al. Costa ME, Martinez-Serrano A, Ojeda SR. Intraovarian excess of nerve growth factor increase androgen secretion and disrupts estrous cyclicity in the rat. Endocrinology. 2000;141(3):1073-81. 

  54. Dyer CA, Erickson GF. Norepinephrine amplifies human chorionic gonadotropin-stimulated androgen biosynthesis by ovarian theca-interstitial cells. Endocrinology. 1985;116(4):1645-52. 

  55. Barria A, et al. Ovarian steroidal response to gonadotropins and beta-adrenergic stimulation is enhanced in polycystic ovarian syndrome:role of the sympathetic innervation. Endocrinology. 1993;133(6):2696-703. 

  56. Hisano S, et al. Reciprocal synaptic relations between CRF-immunoreactive and TRH-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 of the rat hypothalamus. Brain Res. 1993;620:343-6. 

  57. Lenz HJ, et al. Central nervous system effects of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on gastrointestinal transit in the rat. Gastroenterology. 1988;94:598-602. 

  58. Stener-Victorin E, et al. Steroid-induced polycystic ovaries in rats: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concentrations of endothelin-1 and nerve growth factor (NGF), and expression of NGF mRNA in the ovaries, the adrenal glands, and the central nervous system. Reprod Biol Endocrinol. 2003;1:33. 

  59. Goldzieher JW. Green JA. The polycystic ovary. clin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J Clin Endoc Metab. 1963;22:325. 

  60. 이성수, 권종국. 수정란 착상에 영향을 미치는 자궁내인자에 관한 연구. 대한수의학회지. 1992;32(4):53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