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 여수 돌산지역에서 재배되는 천년초의 부위별 식품성분 분석
Food Components of Different Parts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Harvested from Yeosu, Jeonnam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9, 2011년, pp.1271 - 1278  

정복미 (전남대학교(여수) 영양식품학) ,  한경아 (전남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 ,  신태선 (전남대학교(여수) 영양식품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년초의 부위별 영양성분을 알아보고자 전남 여수시 돌산읍의 라파엘 농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천년초의 열매, 줄기, 꽃을 동결건조한 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 단백함량은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 지방 함량은 열매, 조 회분은 줄기, 조 섬유는 열매와 줄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 중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망간은 줄기, 철분과 아연은 열매와 꽃, 구리는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성 아미노산의 경우 열매는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줄기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순으로 높았고, 꽃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순으로 높았으며,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꽃, 줄기, 열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의 주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와 palmitoleic acid, 다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주된 성분은 sucrose, fructose, glucose였으며, 당 함량은 열매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꽃, 줄기 순으로 나타났다. 천년초의 주된 유기산으로는 malic acid와 citric acid로 나타났으며, 유기산 총 함량은 열매, 꽃, 줄기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의 함량은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타민 C의 함량은 열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지금까지 천년초의 가공제품은 주로 열매를 이용하였으나 줄기와 꽃에도 영양성분이 풍부하므로 앞으로는 줄기와 꽃을 이용하여 가공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od components of the fruit, cladodes, and flowers of freezedried Cheonnyuncho harvested from Yeosu, Jeonnam in Korea. The major components of freeze-dried Cheonnyuncho in proximate composition were carbohydrates and crude ash. Ca, K, and Mg were the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천년초의 성분분석에 관한 연구 또한 열매와 줄기를 이용한 일반성분과 무기질 함량에 대한 연구(2,12)만 일부 이루어졌으며, 천년초의 부위별 영양 성분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발표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동결 건조한 천년초를 열매, 줄기, 꽃으로 나누어 영양 성분을 분석하여 앞으로 천년초를 이용한 가공제품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토종 선인장인 천년초가, 제주도 백년초와 다른 점은? 천년초(Opuntia humifusa)는 선인장과 식물로 부채선인장아과(Opuntioideae) 부채선인장(Opuntia 속)으로 부르며, 줄기의 형태가 손바닥과 비슷하여 손바닥선인장으로도 불린다. 제주도의 백년초와 달리 한국 토종 선인장으로 영하20oC의 혹한과 척박한 땅에서도 생존이 가능해 수년에서 수십년의 경작이 가능한 다년생 식물이다(2). 또한 병충해에 죽지 않아 농약 등 제초제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자연 상태 그대로 재배한다.
천년초란 무엇인가? 선인장은 건조한 기후에 적응력이 뛰어난 식물로 오랫동안 탄수화물과 비타민의 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식수난과 식량난을 겪고 있는 사막 여러 국가에서는 기초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어 재배가 권장되고 있다(1). 천년초(Opuntia humifusa)는 선인장과 식물로 부채선인장아과(Opuntioideae) 부채선인장(Opuntia 속)으로 부르며, 줄기의 형태가 손바닥과 비슷하여 손바닥선인장으로도 불린다. 제주도의 백년초와 달리 한국 토종 선인장으로 영하20oC의 혹한과 척박한 땅에서도 생존이 가능해 수년에서 수십년의 경작이 가능한 다년생 식물이다(2).
동의보감에 기록된 천년초(한국 토종 선인장)의 효능은? 또한 병충해에 죽지 않아 농약 등 제초제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자연 상태 그대로 재배한다. 동의보감(3)에 의하면 ‘한국 토종 선인장은 소염 진통 및 폐결핵, 화상 등에 사용하였으며,기(氣)의 흐름과 혈액 순환을 좋게 하고 열을 식히고 독을 풀어주며, 심장과 위의 통증 치료, 이질, 치질, 기침, 해열진정제, 기관지 천식, 가슴이 두근거리고 수면 부족일 때 열매와 줄기 100 g의 즙을 내서 복용하면 아주 좋다’고 되어 있다. 손바닥선인장에 대한 연구는 주로 백년초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근래에 천년초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4-6)와 천년초를 이용한 가공제품에 관한 연구(7-11)가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armen S. 2000. Processing technologies: an alternative for cactus pear (Opuntia spp.) fruits and cladodes. J Arid Environments 46: 209-225. 

  2. Kim MJ.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J eungpyun by different addition ratios of prickly pear powder during storage. M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17-18. 

  3. Heo J. 1991. Donguibogam. Gukillmoonhsa Co., Seoul, Korea. p 56. 

  4. Lee KS, Kim MG, Lee KY.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s of cactus Chounnyouncho (Opuntia humifusa)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Korean J Soc Food Sci 33: 1268-1272. 

  5. Park MK, Lee YJ, Kang ES. 2005. Physiological activity/ nutrition: Hepatoprotective effect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extract in rats treated carbon tetrachloride. Korea J Food Sci Technol 37: 822-826. 

  6. Lee KS, Oh CS, Lee KY. 2005. Antioxidative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74-478. 

  7. Cho EJ, Kim MJ, Choi WS. 2007. Quality properties of jeung-pyun with added with prickly pear (Cheonnyuncho)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903-910. 

  8. Kim KT, Choi AR, Lee KS, Joung YM, Lee KY.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domestic Korean wheat flour containing cactus Chounnyuncho (Opuntia humifus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61-468. 

  9. Kim MH, Hong GJ. 2009. Quality properties of jeolpyun supplemented with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15-420. 

  10. Cho Y, Choi MY.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dded pomegranate powder and Opuntia humifus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34-142. 

  11. Jang SY. 2009.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rice cake with Cheonnyuncho fruit powder.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Korea. p 47-48. 

  12. Yoon MS. 2010. Effect of irradiation and enzyme treatment on viscosity of cactus cladodes and its some biological activities (Opuntia humifusa).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Jeonju, Korea. p 14-15. 

  1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1. 

  14. Kim HY, Kim E, Kim DH, OH MJ, Shin TS. 2009.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diets with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Kor J Fish Aquat Sci 42: 215-223. 

  15. Jung BM, Kang EA, Shin TS. 2009. Food components by kinds of Bigum spinach growing in Jeonnam Shin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97-1405 

  16. Kim MR, Kim JH, Wi DS, Na JH, Sok DE. 1999. Volatile sulfur compounds, proximate components, minerals, vitamin C conte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juices of kale and broccoli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201-1207. 

  17. Lee YC, Hwang KH, Han DH, Kim SD. 1997.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47-853. 

  18. Cho IK, Jin SW, Kim YD. 2009.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parts of Opuntia ficus indica from Shina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6: 742-746. 

  19. Jo GS, Jo JS. 2003.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leaves and flowers. I. Chemical composition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257-261. 

  20. Kuti JO, Galloway CM. 1994. Sugar composition and invertase activity in prickly pear fruit. J Food Sci 59: 387-3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