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2 no.2, 2011년, pp.15 - 25
서현욱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정선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김명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김종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correl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Four constitution and Hwa-byung. Methods :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Hwa-byung Epidemiologic study data. we selected 130 self-labelled Hwa-byung patients data and 83 of them were diagnosed as Hwa-byung by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사상의학적 접근에서 이제마는 인간을 어떻게 분류하는가? | 사상의학에서 이제마는 인간을 4개의 체질로 분류하고 사상인(四象人)의 선천적인 臟腑大小가 결정되는 것을 性情의 작용으로 설명하였으며, 그에 따른 육체적 현상도 喜怒哀樂의 昇降원리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여, 치료에 있어서 이를 중요시하였다9,10). | |
태음인의 喜性이란? | 두 번째 가능성은 태음인의 喜性이 작동할 가능성이다. 태음인의 喜性이란 상황을 받아들이는 성향을 의미한다. 즉 태음인은 익숙치않은 상황에 처음 접하게 될 때는 불안이 높아지지만 같은 상황이 반복, 장기화되면 이를 고정된 상황으로 받아들이고 적응을 하는 경향이 있다. | |
화병이란? | 화병은 鬱火病의 준말로써 그 질병 개념이 한의학 이론에서 유래되었으며, 분노와 같은 감정과 연관 되어 이러한 감정을 풀지 못하는 시기가 있다가 한의학에서 언급하는 火의 양상으로 신체적/정신적 증상이 나타나는 정신장애의 일종이다1). DSM-IV에서는 화병이 한국의 민속증후군으로 분노의 억제로 인하여 발생하며, “분노증후군”으로 번역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2). |
전국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과서편찬위원회. 증보판 한의신경정신과학. 경기:집문당. 2011:150-5, 223.
미국정신의학회. 정신 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4판. 서울:하나의학사. 1995:1083.
김종우, 권정혜, 이민수, 박동건. 화병면담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건강. 2004;9(2):321-31.
권정혜, 김종우, 박동건, 이민수, 민성길, 권호인, 화병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8;27(1):237-52.
민성길, 서신영, 조윤경, 허지은, 송기준. 화병척도와 연구용 화병진단기준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009;48(2):77-85.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개정증보 사상의학. 서울:집문당. 2005:101.
채한, 박수잔, 이수진, 고광찬. 사상 유형학의 성격심리학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005;25(2):151-64.
박효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Jung의 심리학적 유형과 사상체질 및 성격특성의 분석과 이의 비교연구. 심성연구. 2000;15(2):87-177.
민성길, 김동기, 박진균, 전세일. 사상체질론의 정신의학적 타당성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2001;40(3):396-406.
송지영, 박병관, 고병희, 이정호, 장환일, 전성일. 신체형장애의 신체증상에 대한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체질의학 이론의 적용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3;32(6):863-85.
장은수. 체형 안면 소증 및 성정 특성 기반 사상체질 진단 프로그램 개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전겸구, 권기덕, 김상기. 한국판 CES-D 개정 연구: I. 사회과학연구. 1999;6(1):429-51.
김정택, 신동균. STAI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1978;21(11):69-75.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CD. 한국판 STAXI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97;2(1):60-78.
김명근. 사상체질에 따른 정신병리 특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민성길, 박청산, 한정옥. 홧병에 있어서의 방어기제와 대응전략. 신경정신의학. 1993;32(4):506-1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