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경관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김제시 중촌마을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atural Circulation -based Green Village Landscape Design-: The Case of Joongchon Village in Gimje-si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18 no.4, 2011년, pp.961 - 981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손호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창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상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lected Joongchon Village in Gimje-si as a target, in order to apply green village design regarding regional circumstances and features within the local government, in making green village as an efficient scheme in aspect of locality for 'Low Carbon, Green Growth'. Subsequently, we con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녹색마을은 마을단위의 공간에서 주민들이 녹색생활을 자발적으로 실천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유도하는 기초생활권 중심의 공간적 실천적 단위로 정부가 주도하는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 강화형 ‘저탄소 녹색마을’사업뿐만 아니라 주민 스스로 참여하는 민간 주도의 녹색마을 또는 녹색커뮤니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저탄소 녹색마을도 생활하는데 필요한 모든 활동에서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자는 것이다. 이미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다양한 녹색기술을 통하여 흡수 또는 분해시켜 쾌적한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지역특성을 반영한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조성에 있어서 지자체 내의 여건과 특성을 고려한 녹색마을을 모델로 검토하고자 김제시 중촌마을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조사ㆍ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축분뇨자원화실, 신재생에너지단지 등을 중심으로 구상하였다.
  • 따라서 지역별 여건 및 특성에 따라 적합한 녹색마을 모델 분석을 통하여 향후 정부의 저탄소 녹색마을 사업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궁극적인 목표를 토대로 농촌진흥청에 농업ㆍ농촌의 미래모델을 제시하고자 추진하는 첨단녹색기술을 융ㆍ복합한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실증연구에 녹색마을 경관디자인 계획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구현은 친환경 축산단지, 가축분뇨자원화(분뇨처리/발전), 최첨단 유리온실, 작물ㆍ사료작물경종포장의 녹색사슬 구축으로 이루어진 연구사업이며, 본 연구에서는 녹색기술을 적용한 김제시 중촌마을을 대상으로 녹색마을 경관디자인을 위한 적용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궁극적인 목표를 토대로 농촌진흥청에 농업ㆍ농촌의 미래모델을 제시하고자 추진하는 첨단녹색기술을 융ㆍ복합한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실증연구에 녹색마을 경관디자인 계획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구현은 친환경 축산단지, 가축분뇨자원화(분뇨처리/발전), 최첨단 유리온실, 작물ㆍ사료작물경종포장의 녹색사슬 구축으로 이루어진 연구사업이며, 본 연구에서는 녹색기술을 적용한 김제시 중촌마을을 대상으로 녹색마을 경관디자인을 위한 적용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가축분뇨자원화실, 신재생에너지단지 등을 중심으로 구상하였다. 향후 중촌마을은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체험활동을 위한 농촌관광 체험마을로 체험 프로그램도 개발하여 활용하고자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개발과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2010년)’을 시행한 배경은? 환경위기의 시대를 맞아 ‘저탄소 녹색성장’이 새로운 국가 패러다임으로 제시되어 본격 대두 되고 경쟁 선진국들도 녹색산업을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채택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10위권의 국가(2007년 총 배출량 620백만톤, OECD 국가 중 7위)로서 온실가스를 최대한 감축하면서 국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접근과 전략으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2010년)’의 시행과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안보,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구조의 전환 등 녹색한국으로 재탄생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다(이종연 외, 2010). 2008년 정부합동으로 발표된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 실행계획’과 8.
이산화탄소의 배출은 무엇의 주요 원인인가? 녹색마을은 마을단위의 공간에서 주민들이 녹색생활을 자발적으로 실천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유도하는 기초생활권 중심의 공간적 실천적 단위로 정부가 주도하는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 강화형 ‘저탄소 녹색마을’사업뿐만 아니라 주민 스스로 참여하는 민간 주도의 녹색마을 또는 녹색커뮤니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저탄소 녹색마을도 생활하는데 필요한 모든 활동에서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자는 것이다. 이미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다양한 녹색기술을 통하여 흡수 또는 분해시켜 쾌적한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저탄소 녹색마을을 통해 궁극적으로 기대하는 점은? 이미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다양한 녹색기술을 통하여 흡수 또는 분해시켜 쾌적한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관광과 연계하여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과 소득향상 에도 기여하고 있다(강원발전연구원, 2009). 저탄소 녹색마을은 온실가스 감축과 동시에 지역발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역적 측면에서 기후변화 및 녹색성장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상준. (2009). 저탄소 사회 형성을 위한 지역의 실천전략(I). 경기개발연구원, 43-75. 

  2. 강원발전연구원. (2009). 저탄소녹색마을 조성방안 보고서. 

  3. 김상범, 김은자, 이승연, 이승주, 임창수, & 이상영. (2010). 지역 특성을 고려한 농촌마을계획에 관한 연구-양양군 서면 서림리 해담마을을 사례로.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 17(1), 1-23. 

  4. 김묘정, & 김상범. (2007). 전통주거공간요소를 활용한 농촌주택 리모델링 현장적용 사례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 14(2), 417-436. 

  5. 김은자, 고아라, 이정원, & 김상범. (2011). 저탄소 농촌마을 계획지표의 AHP 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 18(3), 551-567. 

  6. 구재희, 성호진, 임택용, 함동수, 민지홍, 정경숙, 하철근, & 박홍익. (2009). 에너지 순환형 녹색마을 추진 활성화를 위한 바이오매스 에너지시스템 적용연구. 유기성자원학회지, 유기물자원화, 17(4), 16-20. 

  7. 농림수산식품부. (2009). 농촌형 에너지자립 녹색마을 조성 시범사업 추진계획(안)보고서. 

  8. 농촌생활연구소. (2001). 환경친화적인 농촌마을 조성 전략 보고서. 

  9. 농촌진흥청. (2006). 농촌어메니티 활용유형별 마을계획지침 보고서. 

  10. 농촌진흥청. (2011). 자원순환형 녹색기술실증연구 워크숍 및 운영위 자료집. 

  11. 농촌진흥청. (2011). 자원순환형 녹색기술실증연구 과제계획서. 

  12. 변병설. (2009).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신도시 해외사례 및 조성전략. 대학국토도시 계획학회 학술발표자료, 3-32. 

  13. 산림청. (2009). 2010년 산림탄소순환마을 사업공모 보고서. 

  14. 손호기, & 김상범. (2010). 농촌체험 마을경관의 보전가치평가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 17(4), 897-918. 

  15. 이광영. (2002). 환경친화적 농촌마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지, 4(1), 99-117. 

  16. 이종연, 강석재, & 정계수. (2010).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현황 및 계획수립 방안, 유기성자원학회지. 유기물자원화, 18(3), 23-29. 

  17. 윤희정. (2011). 지역 농특산물을 활용한 농업공원 공간기본계획, 한국농촌지도학회,농촌지도와 개발, 18(2), 263-279. 

  18. 왕광익. (2009). 저탄소 녹색도시의 국내외 정책 및 계획사례, 한국도시설계학회 생태도시연구회 학술발표 자료, 1-65. 

  19. 행정안전부. (2009).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사업 기본계획(안) 보고서. 

  20. 환경부. (2007). 에코시티 모델 개발 및 사례 적용 연구보고서. 

  21. 환경부. (2009). 저탄소 녹색마을(도시형)조성 계획 보고서. 

  22. 환경관리공단. (2009). 저탄소 녹색마을 시범모델 개발 연구보고서. 

  23. 황은진. (2011). 지역 내 에너지자립 제고를 위한 녹색마을 모델 개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하원 석사학위논문. 

  24. 최수영. (2011). 녹색성장도시 모델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Evans, A. W., & Hartwich, O. (2006). Better Homes, Greener Cities. Policy Exchange. 

  26. Sterman, John D., & Linda Booth Sweeney. (2007). Understanding Public Complacency about Climate Change: Adult's Mental Models of Climate Change Violate Conservation of Matter, Climate Change, 80, 609-625. 

  27. Town and Country Planning Association(TCAP). (2009). Developing effective economic strategies for eco-towns: eco-towns energy worksheet, 7-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