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birth and transformation of civil engineering education as well as of modern civil engineers, called 'State noblesse', in the state engineer groups of France. For this, we will look into the background of founding the civil engineer corps and the civil engineering school,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civil engineering school into the applied school of Ecole Polytechnique, the activities of civil engineers in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and finally the organization and identity of the civil engineer group.
#moderne engineer
#Ecole des Ponts et Chaus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 논문에서는 프랑스의 국가엔지니어집단 가운데서도 ‘국가귀족(noblesse d’Etat)’(Bourdieu, 1989)으로 불렸던 근대 토목 엔지니어의 탄생과 변모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18세기 토목단 및 왕립토목학교의 창설 배경, 프랑스혁명기에 토목학교가 에콜 폴리테크닉의 응용학교로 전환하는 과정, 19세기 산업화 과정에서의 토목엔지니어들의 활약상을 중심으로 어떻게 엔지니어집단의 정체성이 확립되고 조직화되어갔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근대 공학의 탄생과 변화과정 | 근대 공학의 탄생과 변화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제되어야 하는 것은? |
근대 엔지니어 및 공학교육에 대한 고찰
그 점에서 고대 이래 전통적인 장인기술에서 근대 공학으로의 변화과정을 밝히는 것은 ‘공학’과 ‘근대성’ 문제를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근대 공학의 탄생과 변화과정을 설명 하기 위해서는 근대 엔지니어 및 공학교육에 대한 고찰이 전제되어야 한다. 17-18세기 과학혁명과 계몽주의를 통해 사회진보 개념과 맞물리면서 형성된 근대 공학은 우연의 산물이라기보다는 중세 이래의 과학기술 및 수공업의 발달과 길드 전통이 남긴 혁신적 시도를 계승한 결과로 볼 수 있다. |
프랑스에서 엔지니어의 개념과 용어 | 프랑스에서 엔지니어의 개념과 용어는 시대에 따라 어떻게 달리 이해되어왔는가? |
16세기에 프랑스에서 처음 만들어진 ‘엔지니어(ingénieur)’라는 용어는 과학자와 달리 좀 더 실용적인 기술을 개발하는 전문가들을 지칭했다. 이어 18세기 중반 계몽사상가 디드로는 『백과사전 또는 과학 ․ 기술 ․ 공예이론사전』에서 엔지니어를 높은 경쟁을 뚫고 합격한 국립전문학교에서 교육받아 수학이론 ․ 역학 ․ 수리학에 정통하고, 광산 ․ 토목 ․ 전매 ․ 화약제조․ 수로측량 등의 분야를 관장하던 국가엔지니어집단에서 활동 하던 자들로 규정했다(Diderot, 1751). 이때부터 프랑스에서 엔지니어는 기존의 ‘장인(artisan)’ 또는 ‘기예가(artiste)’와 구별되는 새로운 인간형으로 간주되었으며, 앙시앵 레짐의 신분사회에서 계급사회로의 변화가 ‘근대 엔지니어(ingénieur moderne)’의 출현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이후 근대 엔지니어는 산업기술의 발전과정에서 진보의 가치를 구현하는 ‘촉진자’로서의 역할과 이미지에 충실한 채로 남았다.
프랑스에서 엔지니어의 개념과 용어는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달리 이해되어왔다. 16세기에 프랑스에서 처음 만들어진 ‘엔지니어(ingénieur)’라는 용어는 과학자와 달리 좀 더 실용적인 기술을 개발하는 전문가들을 지칭했다. 이어 18세기 중반 계몽사상가 디드로는 『백과사전 또는 과학 ․ 기술 ․ 공예이론사전』에서 엔지니어를 높은 경쟁을 뚫고 합격한 국립전문학교에서 교육받아 수학이론 ․ 역학 ․ 수리학에 정통하고, 광산 ․ 토목 ․ 전매 ․ 화약제조․ 수로측량 등의 분야를 관장하던 국가엔지니어집단에서 활동 하던 자들로 규정했다(Diderot, 1751). 이때부터 프랑스에서 엔지니어는 기존의 ‘장인(artisan)’ 또는 ‘기예가(artiste)’와 구별되는 새로운 인간형으로 간주되었으며, 앙시앵 레짐의 신분사회에서 계급사회로의 변화가 ‘근대 엔지니어(ingénieur moderne)’의 출현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이후 근대 엔지니어는 산업기술의 발전과정에서 진보의 가치를 구현하는 ‘촉진자’로서의 역할과 이미지에 충실한 채로 남았다. |
엔지니어 | 오늘날 엔지니어에 대한 일반적 정의는 어떠한가? |
공학의 일에 전문적이거나 훈련받은 사람으로서 공학부문의 학위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 ․ 수학 ․ 과학 지식을 이용해 실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또 근대 엔지니어의 기원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엔지니어의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엔지니어’의 용어와 개념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오늘날 엔지니어에 대한 일반적 정의는 공학의 일에 전문적이거나 훈련받은 사람으로서 공학부문의 학위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 ․ 수학 ․ 과학 지식을 이용해 실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흔히 엔지니어들은 변호사와 달리 어느 나라에서건 동일한 작업을 수행한다는 점, 엔지니어들이 응용하는 과학지식은 어디서나 보편성을 가진다는 점, 엔지니어들은 어디서건 전문가들로 사회적으로 안정된 중산층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