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정질 탄소박막의 트라이볼로지 특성에 미치는 플라즈마 밀도의 영향
Effect of Plasma Density on the Tribological Properties of Amorphous Carbon Thin Films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20 no.5, 2011년, pp.333 - 338  

박용섭 (서남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이종덕 (서남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홍병유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자석 코일 마그네트론 소스를 가지는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보호 코팅 소재로 사용되어지는 비정질 탄소박막을 제작하였다. 내부 전자석 코일의 전류를 고정하고 외부 전자석 코일의 전류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탄소 박막을 제작하였고, 제작되어진 박막들의 경도, 마찰계수, 접착력, 표면 거칠기 등의 트라이볼로지 특성들을 측정하였고, 라만과 HRTEM을 이용하여 구조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이들 상호간에 관계를 규명하였다. 결과로서, 제작되어진 탄소박막의 경도, 마찰계수, 접착 특성은 외부 전자석 코일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박막내에 결합력이 강한 $sp^2$ 결합과 클러스터의 형성과 관련된다. 전자석 코일 전류의 증가는 전자와 이온 밀도의 증가시키고, 기판에서 이온의 충돌의 증가와 기판온도 향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현상의 박막내에 증가되어진 $sp^2$ 결합과 클러스터들의 형성은 탄소박막의 트라이볼로지 특성 향상에 기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we have fabricated the amorphous carbon (a-C:H) thin film by using unbalanced magnetron sputtering method with the magnetron source of inside/outside electromagnetic coils as the protective coating materials. We have investigated the tribological properties of amorphous carbon films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A의 간격으로 변화시켜 수소가 포함된 비정질 탄소박막을 증착하였고 스퍼터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100 V의 음의 직류바이어스를 기판 쪽에 인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전자석 코일 전류의 변화에 따라 증착되어진 탄소박막들의 구조적 특성과 트라이볼로지 특성을 평가하였고, 이들 상호간에 관계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탄소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효율의 플라즈마 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자석 마그네트론 소스를 사용하였으며, 자기장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외부 전자석 코일의 전류값을 변화시켰다. 제작되어진 비정질 탄소박막의 구조적, 트라이볼로지 특성들을 평가하였고, 이들 상호간에 관계를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이아몬드상 탄소란? 다이아몬드상 탄소(Diamond-like carbon; DLC)는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높은 경도, 내마모성, 낮은 마찰계수, 물리화학적 안정성 및 적외선 영역에서의 높은 투과율과 낮은 반사도 등 많은 장점을 가진 소재이다 [1]. 특히 DLC는 공정방법과 공정변수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하게 특성들이 변화하기 때문에 그 응용분야가 넓다.
초기 DLC는 어디에 사용되었는가? 특히 DLC는 공정방법과 공정변수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하게 특성들이 변화하기 때문에 그 응용분야가 넓다. 초기 DLC의 높은 경도와 낮은 마찰계수 등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들을 바탕으로 주로 자동차 엔진과 공구 등의 내마모와 윤활 코팅막으로 물질의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2], 최근 하드디스크와 마그네틱 미디어, 그리고 MEMS (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소자의 기어부 [3]와 MMAs (Moving Mechanical Assemblies) [4] 등의 윤활 코팅을 통한 미세 기계의 내구성과 성능 향상을 위한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아졌다. DLC의 합성을 위한 방법으로는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5,6]과 레이저 ablation법 [7] 등 다양한 공정 방법들이 대표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다이아몬드상 탄소는 최근 어떤 소재로서 활용되고 있는가? 특히 DLC는 공정방법과 공정변수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하게 특성들이 변화하기 때문에 그 응용분야가 넓다. 초기 DLC의 높은 경도와 낮은 마찰계수 등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들을 바탕으로 주로 자동차 엔진과 공구 등의 내마모와 윤활 코팅막으로 물질의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2], 최근 하드디스크와 마그네틱 미디어, 그리고 MEMS (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소자의 기어부 [3]와 MMAs (Moving Mechanical Assemblies) [4] 등의 윤활 코팅을 통한 미세 기계의 내구성과 성능 향상을 위한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아졌다. DLC의 합성을 위한 방법으로는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5,6]과 레이저 ablation법 [7] 등 다양한 공정 방법들이 대표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 Grill, Diam. Relat. Mater. 8, 428 (1999). 

  2. M. Schlatter, Diam. Relat. Mater. 11, 1781 (2002). 

  3. J. K. Luo, Y. Q. Fu, H. R. Le, J. A. Williams, S. M. Spearing, and W. I. Milne, J. Micromech. Microeng. 17, S147 (2007). 

  4. A. R. Krauss, O. Auciello, D. M. Gruen, A. Jayatissa, A. Sumant, J. Tucek, D. C. Mancini, N. Moldovan, A. Erdemir, D. Ersoy, M. N. Gardos, H. G. Busmann, E. M. Meyer, and M. Q. Ding, Diam. Relat. Mater. 10, 1952 (2001). 

  5. J. C. Damasceno, S. S. Camargo Jr, F. L. Freire Jr, and R. Carius, Surf. Coat. Technol. 133-134, 247 (2000). 

  6. J. T. Ryu, Y. G. Baek, M. Katayama, H. J. Lee, and Kenjiro Oura, J. Korean Vaccum Soc. 12, 35 (2003). 

  7. N. Yasumaru, K. Miyazaki, and J. Kiuchi, Appl. Phys. A 76, 983 (2003). 

  8. Y. S. Park, H. J. Cho, and B. Y. Hong, J. Korean Vaccum Soc. 16, 122 (2007). 

  9. A. A. Solov'ev, N. S. Sochugov, K. V. Oskomov, and S. V. Rabotkin, Plasma Physics Reports 35, 399 (2009). 

  10. D. Sheeja, B. K. Tay, S. P. Lau, and X. Shi, Wear 249, 433 (2001). 

  11. X. L. Peng, Z. H. Barber, and T. W. Clyne, Surf. Coat. Technol. 138, 23 (2001). 

  12. V. Kulikovsky, P. Bohac, F. France, A. Deineka, V. Vorlicek, and L. Jastrabik, Diam. Relat. Mater. 10, 1076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