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댐하류하천정비사업의 댐 운영개선 효과 경제성 분석 (I) -용수공급 및 발전생산 회복편익
Economic Analysis of Dam Operation Improvement by Dam Downstream River Improvement Works ( I )-Recovered Benefits of Water Supply and Hydropower Generation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9, 2011년, pp.753 - 763  

이광만 (K-water연구원) ,  이을래 (K-water연구원)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초록

댐의 계획과 설계단계에서 설정된 유효저수용량은 여러 가지 이유로 운영단계에서 잘 지켜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어떤 댐은 운영과정에서 내 외적인 주변여건의 변화로 본연의 운영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의 목표 달성을 위한 기능회복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하며, 관련 대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댐 하류하천의 부적절한 관리는 댐의 홍수조절기능과 하천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국 댐의 다목적 기능을 정상화 시키고, 댐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댐하류하천정비가 댐사업자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댐하류하천정비의 미흡으로 홍수조절을 위해 제약되었던 댐의 유효저수용량의 회복에 의한 이수편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임하, 대청 및 용담댐 등 3개댐에서 용수공급량은 19.9백만$m^3$/년 그리고 발전량은 20.8GWh/년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이수효과 정보는 댐직하류하천정비사업의 전체 경제성 평가 및 비용배분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located water storage of dam at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 does not seem to be maintained well at the operation stage because of unexpected critical reasons. A dam is likely to be subject to negative effects caused by changes of dam operation conditions and it is hardly avoidable. Therefore, 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통상적으로 홍수시 댐운영은 댐수위를 홍수기 말에 상시만수위 부근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홍수 조절을 하는 것이 가장 최적의 운영조건이다. 따라서 과거의 홍수조절 현황을 파악하고, 이러한 운영의 개선이 필요한지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들을 수행한 후 하천정비사업 전 후의 수위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비용편익의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 거시적으로는 유역 통합관리, 하천관리체계 합리화, 수자원시설물 기능개선 향상 및 기대편익 증진을 추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댐사업자가 시행하는 댐하류하천정비를 통해 발생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론은 낙동강수계 임하댐과 금강수계 대청 및 용담댐의 하천정비사업과의 연계에 따른 이수편익에 적용되었다.
  • 본 연구는 이와 관련 하천정비사업에 의한 댐에서의 효과를 추정하고 경제적 분석을 실시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하류의 하천조건을 고려한 댐의 홍수조절 정도에 따른 유효저수용량의 설정과 관련 접근방법을 개발하여 이수편익을 추정하고, 치수와 이수편익을 근거로 하천정비사업과 댐 운영편익에 대한 경제성 평가를 활용하였다.
  • 이에 댐으로 인해 변화된 하천을 정비하고 기초 생태계를 복원하며 홍수피해를 저감시켜 사회적 안정성을 높이려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댐의 정상적 기능을 확보하여 용수공급과 발전편익의 회복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3개댐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목적댐이 저수용량의 배분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 하는 것은? 다목적댐은 계획단계나 건설완료 후에 저수용량을 여러 목적별로 사용범위를 배분하고 이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하여 댐 운영규정이나 방법을 정하고 있다. 이후 댐 운영초기에 설정된 운영규정이나 방법은 원래 목적을 지속적으로 충족시키거나 보다 효과적인 편익추구를 위하여 재조정하는 사례가 있다.
댐이 건설된 이후 운영편익에서 목표달성하기 어려운 이유는? 댐이 건설된 이후 운영편익은 수문이나 운영조건이 변하지 않는다 하여도 여러 가지 이유로 원래의 목적이나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댐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라기보다는 계획 당시 예상하지 못했던 외부환경의 변화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 조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는 원래의 목표를 초과하는 편익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수문량의 증가나 댐의 구조자체의 변경, 운영방법의 개선 등에의한다.
저수용량의 재배분을 하는 경우는? 경우에 따라서는 새로운 목적의 추가도 가능하며 이럴 경우 기존용량을 목적별로 재배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McMahon and Farmer, 2004). 그러나 저수용량의 재배분은 편익의 확실한 증가를 신뢰할 수 있을 때, 운영환경이 변했을 때, 그리고 목적별 우선순위의 조정이 필요할 때 등이나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잘 시행하지 않는다(Wurbs and Carriere, 1988). 실제 댐의 유효저수용량이나 운영방법은 댐이 건설되기 전에 결정되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강민구, 이광만, 차형선(2007), "다목적댐군의 실제연계 운영효과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2호, pp 100-112. 

  2. 국토해양부/한국수자원공사(2008). 용담댐직하류하천정비사업 실시설계보고서. 

  3.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7).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 기본계획 보고서. 

  4. 김승권, 이용대, 박명기(2005). "낙동강 수계 실시간 댐군 최적연계운영의 시너지 효과." 2005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5. 윤태훈(1997). 응용수문학. 

  6. 이재응, 권용익(2004). "다목적댐 용량 재할당에 대한 연구(II)-이수용량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4호, pp.283-292. 

  7. 한국수자원공사(2007). 댐운영 실무편람. 

  8. Ford, D.T. (1990). "Reservoir Storage Reallocation Analysis with PC."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16, No. 3, pp. 402- 416. 

  9. Halcrow, P.H. (2000). A Review of the Role of Dams and Flood Management, World Commission on Dams. 

  10. Labadie, J.W. (1988). Dynamic Programming with the Microcomputer Program CSUDP Civil Engineering Department, CSU, Fort Collins, Co. 

  11. McMahon, G.F., and Michael C. Farmer (2004). "Reallocation of Federal Multipurpose Reservoirs: Principles, Policy, and Practice."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0, No. 3, pp. 187-197. 

  12. Valdes, J.B., and Marco, J.B. (1995). "MANAGING RESERVOIRS FOR FLOOD CONTROL." U.S.- Italy Research Workshop on the Hydrometeorology, Impacts, and Management of Extreme Floods Perugia (Italy). 

  13. Van Duivendijk, J. (1999). Assessment of Flood Management Options, Prepared for Thematic Review IV.4, World Commission on Dams. 

  14. Votruba, L., and Breza, V. (1989). Water Management in Reservoirs. Developments in Water Science, Vol. 33, Elsevier, Amsterdam, The Netherlands. 

  15. Wurbs, R.A., and Patrick, E. Carriere (1988). Evaluation of Storage Reallocation and related Strategies for Optimizing Reservoir System Operations,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Texas M&A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