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호우특성과 홍수피해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torm Characteristics and Flood Damage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3 no.2, 2011년, pp.219 - 229  

박두호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안재현 (서경대학교 토목공학과) ,  최용준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우특성과 홍수피해액과의 관계를 히스토그램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 및 16개의 광역자체단체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1994년에서 2009년까지 16개년도의 홍수피해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홍수로 인한 총 피해액은 대부분 발생횟수가 높은 중 소규모 호우사상에 의한 피해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16개 광역지자체별 홍수피해액을 비교한 결과 도(道)에 비해 광역시의 방재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지자체별로 총 피해액이 최대로 발생하는 강우 특성들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에서 집중해야 할 치수대책 수립 시 위의 결과들을 고려하여 대상 규모를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for relationship between storm characteristics and flood damage cost was carried out using histogram analysis. The spatial range of flood damage cost data was the whole country and 16 provinces in the Korea, and period range was 16 years, from 1994 to 2009. Acco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홍수 피해는 그 발생 특성 상 피해가 단기간에 발생하며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복구가 이루어지므로 이로 인한 간접피해액을 산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형의 직접 피해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언급된 연구 제한 사항들을 바탕으로 전국 및 광역지자체별 강우사상의 특성에 따른 홍수피해액 양상을 종합적으로 분석고자 하였다.
  • 앞 절에서 보았듯이 우리나라 홍수로 인한 총 피해액의 대부분은 비교적 규모가 작은 홍수에 의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평균 피해액보다는 총 피해액에 대한 분석을 통한 치수구조물의 경제적 설계가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분석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절에서는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별로 홍수로 인한 총피해액을 분석하였다.
  • 우리나라에서 강우특성에 따른 재산피해액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보관하는 곳은 국가안전관리정보시스템(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이 있다. 재난 발생 시 각 시군구에서는 피해액 자료를 종합하여 NDMS에 업로드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피해액 자료에 대한 공신력 확보를 위해 이 자료를 이용하였다. 대상기간은 1994~2009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연도의 자료는 조사 당시의 금액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준(2009년)의 물가에 맞춰 가치를 현재화하여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로 인한 총 피해액 중 가장 높은 경우는? 분석대상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 및 16개의 광역자체단체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1994년에서 2009년까지 16개년도의 홍수피해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홍수로 인한 총 피해액은 대부분 발생횟수가 높은 중 소규모 호우사상에 의한 피해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16개 광역지자체별 홍수피해액을 비교한 결과 도(道)에 비해 광역시의 방재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지자체별로 총 피해액이 최대로 발생하는 강우 특성들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홍수재해에서 나뉜 유형의 피해와 무형의 피해의 특징은? 홍수재해는 넓은 의미에서 유형(tangible)의 피해와 무형(intangible)의 피해로 나눌 수 있다. 유형의 피해는 홍수의 직접, 간접 피해로 농작물피해, 토지피해, 공공시설물 피해, 교통통신피해, 가구피해 등 피해물량에 대해 금전적으로 쉽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며, 간접유형피해는 자산피해, 공작물의 내구성약화 등 그 피해내용을 금전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나 홍수현상으로부터 직접 입은 피해가 아닌 홍수 후의 영향이 잔재되어 일어나는 간접적인 피해를 의미한다. 무형의 피해는 금전적으로 쉽게 그 피해내용을 나타낼 수 없는 홍수피해로, 직접무형피해와 간접무형피해로 나눌 수 있다. 직접무형피해에는 인명피해, 교통통신의 마비로 인한 인간의 사회활동 장애 및 상품과 그 유통 과정의 장애 등이 있으며, 간접무형피해로는 질병 발생, 지역사회개발의 지연 등 인간의 복지생활에 커다란 장애를 초래하는 것이다(심순보, 1972). 이러한 유형, 무형의 직․간접적인피해는 그 종류와 상관없이 막대한 사회문제를 일으켜 피해 절감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홍수 피해는 그 발생 특성 상 피해가 단기간에 발생하며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복구가 이루어지므로 이로 인한 간접피해액을 산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국내 16개 광역지자체별 홍수피해액을 비교한 결과 우수한 곳은? 분석결과, 홍수로 인한 총 피해액은 대부분 발생횟수가 높은 중 소규모 호우사상에 의한 피해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16개 광역지자체별 홍수피해액을 비교한 결과 도(道)에 비해 광역시의 방재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지자체별로 총 피해액이 최대로 발생하는 강우 특성들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에서 집중해야 할 치수대책 수립 시 위의 결과들을 고려하여 대상 규모를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건설교통부, 2006수자원장기종합계획, 2006. 

  2. 국토연구원, 홍수피해특성 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005. 

  3. 권현한, 2010년 분과위원회 연구과업 보고서 - 극치강수의 비정상성 빈도해석, 2011. 

  4. 박두호, 김선영, "Panel Data 분석을 통한 홍수피해와 복구비 관계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44권, 제1호, pp. 1-8, 2011. 

  5. 소방방재청, 2009재해연보, 2009. 

  6. 심순보, "頻度分析法에 의한 洪水被害算定에 관하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0권, 제4호, pp. 106-119, 1972. 

  7. 장옥재, 김영오, "지역회귀분석을 이용한 홍수 피해위험도 산정",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9권, 제4호, pp. 71-80, 2009. 

  8. Pielke, R.A., Downton, M.W., and Miller, J.Z.B., Flood Damage in the United States, 1926-2000; A Reanalysis of National Weather Service Estimates, Environmental and Societal Impacts Group,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