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Sounding Rocket 개발현황 및 발전방향
Development Status and Study of the Sounding Rocket 원문보기

한국추진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15 no.3 = no.64, 2011년, pp.70 - 79  

김진용 ((주)한화 대전사업장 개발부) ,  노태호 ((주)한화 대전사업장 개발부) ,  이원복 ((주)한화 대전사업장 개발부) ,  서혁 ((주)한화 대전사업장 개발부) ,  이영우 (충남대학교 녹색에너지기술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관측 장치와 송신기를 탑재하여 발사되는 관측로켓의 국내외 개발 현황에 대해 서술하였다. 국외의 경우, 미국은 NASA에서 가장 활발히 진행되며 탑재량 38~680 kg을 고도 88~1500 km 까지 올릴 수 있고, 현재에도 매년 20-30기의 로켓을 발사하고 있다. 유럽은 ESA를 중심으로 연구 중이고 매년 4-5기의 로켓을 발사하고 있다. 국내 연구의 경우, 고체 추진기관 KSR-I,II와 액체 추진기관 KSR-III를 성공적으로 발사하였으나, 우주발사체 개발 기술은 타 산업에 비해 낙후 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발사체 개발 분야는 적극적인 지원 및 선진 기술 습득을 통하여 활성화 시켜야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형 관측로켓 개발에 대한 필요성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development status of sounding rockets containing scientific payload and telemetry at home and abroad. The case of outside, United States is launching sounding rockets in 20-30 flights per year by the NASA program which offers to carry payload weights of 38-680 kg and altitud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관측로켓은 미국의 NASA를 비롯하여 유럽의 ESA, 인도의 ISPO, 일본의 JAXA, 대만의 NSPO, 브라질의 AEB 등을 중심으로 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본문에서는 이러한 관측로켓의 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측로켓은 어디에 활용되는가? Sounding rocket(관측로켓)은 “to sound” 라는 어원으로 시작되었으며 관측 장치와 송신기를 탑재하여 발사되는 로켓으로 research rocket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보통 관측로켓은 자국의 대기층, 플라즈마 현상, 태양전파, 전리층 전자밀도, X선, 행성대기층, 천문, 천체학 등의 우주 환경 계측에 활용되고 더 나아가 미소중력장에서의 화학, 재료, 생명공학 등의 연구와 재진입 기술 확보 연구를 수행한다[1-3]. 이러한 연구들은 우주 분야 관련 기관의 활발한 참여 유발, 관광 산업, 대국민 홍보 효과 및 자국의 대기를 관측/보존할 의무를 실현할 수 있다.
payload와 rocket motor에 대해 설명하라. 1의 대략적인 개념도와 같이 크게 두 부분 payload와 rocket motor로 구성된다. Payload 부위는 기본적으로 오존 기둥 밀도측정을 위한 ozone detector, 이온층 전자밀도 및 전자 온도 측정을 위한 Langmuir electron, 중간권의 대기광 측정을 위한 airglow photometer 및 자세정보와 자기장 섭동량 측정을 위한 magnetometer 등의 과학적 실험장비와 탐지기를 탑재하는 experiment 모듈과 telemetry, attitude control system(ACS), boost guidance system(BGS) 등의 support 모듈, 그리고 payload를 회수할 수 있는 land/water-recovery system으로 분류된다[2, 4, 5]. Rocket motor의 경우, 보통 payload와 고도를 고려하여 1단~4단 까지 추진기관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1단과 2단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측로켓은 다른 발사체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우주관측이 가능하고 기상관측기구의 최대 고도(48 km)와 궤도위성의 최저 고도(160 km) 사이를 관측할 수 있다. 또한 이 분야를 연구하는 과학자와 학생들에게 경험 및 기술 습득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6-9].
관측로켓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관측로켓은 Fig. 1의 대략적인 개념도와 같이 크게 두 부분 payload와 rocket motor로 구성된다. Payload 부위는 기본적으로 오존 기둥 밀도측정을 위한 ozone detector, 이온층 전자밀도 및 전자 온도 측정을 위한 Langmuir electron, 중간권의 대기광 측정을 위한 airglow photometer 및 자세정보와 자기장 섭동량 측정을 위한 magnetometer 등의 과학적 실험장비와 탐지기를 탑재하는 experiment 모듈과 telemetry, attitude control system(ACS), boost guidance system(BGS) 등의 support 모듈, 그리고 payload를 회수할 수 있는 land/water-recovery system으로 분류된다[2, 4,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NASA, NASA Sounding Rocket Program Handbook, 2005 

  2. ESA, European Users Guide to Low Gravity Platforms, UIC-ESA-UM-001, 2005 

  3. Hwang, S. H. et al., "Overview of Scientific Payloads Onboard the KSR-III Rocket," Acta Astronautica, Vol. 60, 2007, pp.880-888 

  4. NASA Sounding Rocket Working Group, NASA Sounding Rocket Program, September, 2007 

  5. Shinichi Nakasuka, et al., "Sounding Rocket Flight Experiment for Demonstrating (Furoshiki Satellite) for Large Phased Array Antenna," Acta Astronautica, Vol. 59, 2006, pp.200-205 

  6. 문신행 외 21名, 중형과학로켓 연구개발 사업(IV), 과학기술처, 1997 

  7. http://rscience.gsfc.nasa.gov 

  8. http://www.esa.int 

  9. http://www.ssc.se 

  10. http://www.isro.org 

  11. Takumi Abe, Japanese Sounding Rocket program for the Thermospheric and Ionosheric Studies in Norway, JAXA, 2007 

  12. http://www.jaxa.jp 

  13. http://www.nspo.org.tw 

  14. http://www.aeb.gov.br 

  15. Cho, G. R. et al., "The Korean Sounding Rocket Program," Acta Astronautica, Vol. 62, 2008, pp.706-714 

  16. http://www.kari.re.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