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아형성 과정 중 치배 주위의 물리적 작용이나 대사 환경의 변화로 치아 발생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치열기에 가해진 외상은 계승 영구치의 발생에 장애를 초래시킬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물리적 요인으로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계승 영구치의 법랑질 변색 및 저형성증이 가장 흔히 발생하고 드물게 매복, 이소 맹출, 치근 형성 정지 및 치근 만곡 등이 나타난다. 본 증례에서는 만 6세 5개월의 여자 어린이 환자가 안면부 외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상악 좌우 유중절치의 정출성 탈구, 상악 우측 유측절치의 함입성 탈구, 상악 좌측 유측절치의 구개측 측방 탈구로 진단되었고, 상악 치은부의 열상과 상악 전치부의 치조골 골절이 관찰되었다. 내원 당일 치과 응급실에서 동요도가 심한 상악 좌우 유중절치의 발치 후 치은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24개월 정기 검진 중 방사선 사진 상에서 상악 좌,우측 측절치의 백악 법랑 경계(Cemento enamel junction, CEJ) 근방에 치근 만곡이 관찰되었고 상악 중절치 치근의 치관부 1/3부위에서 치근 형성이 정지되고 있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치조골 골절이 어린이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외상의 유형은 아니나 본 증례에서와 같이 치근 발육이상 등 여러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외상을 입은 환아에서 치조골 골절 여부에 대한 면밀한 검사 및 주기적인 검진은 예후 예측 및 향후 치료에 있어서 중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ooth formation, tooth development can be affected by physical action or metabolic changes around dental follicle. Especially trauma to primary dentition is the most representative physical factor that can cause development disorders of succedaneous tooth. Enamel hypoplasia and crown discol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악 우측 유측절치의 경우 변위 정도가 경미하여 자발적인 맹출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정복술을 시행하지 않았고 상악 좌측 유측 절치의 경우 역시 변위 정도가 미약한 것으로 판단되고 교합시의 간섭을 초래하지 않아 혀의 생리적 힘에 의한 재위치를 기대하여 정복 및 고정을 시행하지 않았다. 보호자에게는 유동식의 섭취와 구강 위생 관리, 감염 방지를 위한 항생제 복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향후 영구치 합병증 발생 가능성과 정기 검진의 필요성에 대해 주지시켰다. 방사선 사진 상에서 명확한 치조골 골절선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외상을 당한 부위에서 동요도 검사 시 절치부의 동요가 동시에 관찰되고 상악 전치부 치조골의 움직임이 관찰되었으며 부착치은의 열상이 관찰되어 치조골 골절로 진단 할 수 있었다(Fig.
  • 본 증례에서는 치조골 골절을 동반한 유치열기의 외상 후 계승 영구치의 합병증 중 드물게 발생하는 치근 만곡과 치근 형성 정지가 상악 절치부에서 관찰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조골 골절의 진단은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치조골 골절은 임상 검사와 방사선 사진 검사를 통해 진단이 이루어지는데 임상 검사 시 손상 받은 부위 골절편의 변위 및 동요도가 관찰되거나 부정교합이 존재할 수 있고 구강 점막의 불연속성과 치은 열상, 치은 출혈, 진탕 등이 동반될 수 있다8,10,18). 치조골 골절은 종종 치아의 변 위와 동반되며, 다수 치아에 걸친 외상이 존재할 경우에는 치조골 골절의 가능성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8).
외상 후 영구치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어린이가 외상을 경험한 경우 외상을 받은 유치는 19-69%의 비율로 인접한 영구치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2). 외상 후 영구치에 발생 하는 합병증으로는 법랑질 저형성증, 치관 만곡, 치관 변색, 영구치 맹출 경로 이상, 영구치 매복, 치근 만곡, 치근 형성 정지 등이 존재하는데 그 중 치관 변색 및 법랑질 저형성증이 가장 흔히 발생하고 영구치 매복, 이소 맹출, 치근 형성 정지, 치근 만곡 등은 드물게 발생하는 합병증이다5,6).
치조골 골절로 인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치조골 골절의 치료는 골절편을 재위치시키고 고정하여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보통 성인에서는 4주간 고정을 하는데 비해 어린이는 빠른 치유를 보이므로 2-3주 정도로 고정 기간을 줄일 수 있다4,8). 골절로 인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생제를 처방하고 치조골이 안정화되면 스플린트를 제거하며 안정화되지 않았을 경우 추가로 2~3주간 고정을 더 시행할 수 있고 손상 부위에 대한 정기 검진이 수반되어야 한다18,19). Schulz는 어린이에서의 치조골 골절 시는 재 위치된 치조골이 자가 치유 능력이 있어 골절편 고정의 정확도가 성인만큼 중요하지 않다고 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대한소아치과학회: 소아.청소년 치과학. 신흥인터내셔날, 서울. 2009. 

  2. Andreasen JO, Ravn JJ: Epidemiology of traumatic dental injuries to primary and permanent teeth in a Danish population sample. Int J Oral Surg, 1:235- 239, 1972. 

  3. Elias H, Baur DA: Management of trauma to supporting dental structures. Dent Clin North Am, 53: 675-689, vi, 2009. 

  4. Andreasen JO: Fractures of the alveolar process of the jaw. A clinical and radiographic follow-up study. Scand J Dent Res, 78:263-272, 1970. 

  5. Andreasen JO, Ravn JJ: The effect of traumatic injuries to primary teeth on their permanent successors. II. A clinical and radiographic follow-up study of 213 teeth. Scand J Dent Res, 79:284-294, 1971. 

  6. Arenas M, Barberia E, Lucavechi T, et al.: Severe trauma in the primary dentition--diagnosis and treatment of sequelae in permanent dentition. Dent Traumatol, 22:226-230, 2006. 

  7. Stylogianni L, Arsenopoulos A, Patrikiou A: Fractures of the facial skeleton in children. Br J Oral Maxillofac Surg, 29:9-11, 1991. 

  8. Andreasen JO, Andreasen FM, Andersson L: Textbook and color atlas of traumatic injuries to the teeth. 4th edn. Blackwell Munksgaard, Oxford, UK ; Ames, Iowa, xiv, 897 p. 2007. 

  9. Andrade MG, Weissman R, Oliveira MG, et al.: Tooth displacement and root dilaceration after trauma to primary predecessor: an evaluation by computed tomography. Dent Traumatol, 23:364-367, 2007. 

  10. Brin I, Fuks A, Ben-Bassat Y, et al.: Trauma to the primary incisors and its effect on the permanent successors. Pediatr Dent, 6:78-82, 1984. 

  11. Andreasen JO, Sundstrom B, Ravn JJ: The effect of traumatic injuries to primary teeth on their permanent successors. I. A clinical and histologic study of 117 injured permanent teeth. Scand J Dent Res, 79: 219-283, 1971. 

  12. Topouzelis N, Tsaousoglou P, Pisoka V, et al.: Dilaceration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a literature review. Dent Traumatol, 26:427-433, 2010. 

  13. Sykaras SN: [Treatment of the traumatic injuries to the anterior teeth]. Odontostomatol Proodos, 26: 216-232, 1972. 

  14. Ben-Bassat Y, Brin I, Zilberman Y: Effects of trauma to the primary incisors on their permanent successors: multidisciplinary treatment. ASDC J Dent Child, 56:112-116, 1989. 

  15. 임형수, 이창섭, 이상호: 유치열기의 외상으로 인한 계승 영구치의 발육 및 맹출장애.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8: 255-260, 2001. 

  16. Crawford LB: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in mixed dentition treatmen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12:1-7, 1997. 

  17. Ravn JJ: Developmental disturbances in permanent teeth after exarticulation of their primary predecessors. Scand J Dent Res, 83:131-134, 1975. 

  18. 권정현, 최병재, 최형준, et al.: 하악 유전치부 치조골 골절시 resin-wire open cap splint를 이용한 고정.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175-180, 2008. 

  19. Martins WD, Favaro DM: Fracture of the alveolar process in a 2-year-old child: a report of an unconventional immobilization. J Contemp Dent Pract, 6: 134-138, 2005. 

  20. von Arx T: Developmental disturbances of permanent teeth following trauma to the primary dentition. Aust Dent J, 38:1-10,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