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를 돌아 일본에서 관측된 황사의 특징 (2010년 5월 22일-5월 25일)
The Characteristics Asian Dust Observed in Japan Deflecting the Korean Peninsula (2010. 5. 22.-5. 25.)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4, 2011년, pp.388 - 401  

안보영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  전영신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봄에 관측된 황사는 모두 66회였다. 월별로 보면, 3월에 26회, 4월에 23회, 5월에 17회로 5월의 황사는 3, 4월에 비해 드문 현상이다. 2010년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동아시아에 나타난 황사는 발원하여 이동하면서 한반도를 비껴 일본으로 갔다. 이 황사는 22일 몽골 및 중국 북부지역에서 강한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그 후면을 따라 남동진 하였고, 3일 뒤인 25일 일본에서 황사가 관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기간의 종관기상 분석, 기류의 이동 방향, 위성을 이용한 황사의 수평 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중국해에서 발달한 저기압이 북상하면서 그 중심이 한반도 가장자리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중국 내륙으로 내려온 황사는 저기압성 기류를 따라 한반도를 돌아 일본으로 이동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기류의 흐름은 850 hPa면의 바람벡터와 풍속장 분석 및 1000 hPa면의 상대습도 분포에서도 나타났다. 300 hPa 일기도상에서 제트기류는 몽골 서쪽 부근에서 남동진하여 몽골 내륙으로 사행하였다. 이후 이 기류의 영향으로 지상에서 한반도에 저기압이 발달하였는데 이는 황사가 한반도를 돌아 일본으로 이동한 결정적인 흐름이었다. 72시간의 후방공기궤적 분석결과, 일본에서 맨눈으로 관측된 곳의 기류는 모두 중국 산동반도와 동중국해에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황사의 수평분포 결과, MODIS 위성의 RGB 영상에서 5월 24일에는 중국 산둥반도와 동중국해, 일본 규슈지역 남서쪽에서 황사가 탐지되었고, 5월 25일에는 동중국해와 일본 남해지역으로 황사가 이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황사 연구는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의 발원지나 황사의 이동 경로 또는 에어러솔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지만, 이후 본 연구에서 분석된 사례와 같은 황사가 발생했을 경우 황사예보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ian dust was observed a total of 66 times in the springtime during the period from 2002 to 2010, with 26 cases in March, 23 cases in April and 17 cases in May. This study investigates a Asian dust episode that occurred during the period from 22 to 25 May 2010, based on synoptic weather pattern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89)의 연구와 매우 비슷하였으나 한반도에서는 황사의 관측이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 기간의 이러한 이례적인 이동경로 및 종관기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핵심적인 특징의 차이를 구분한 후 이와 유사한 황사가 발생했을 경우 황사의 예보 정확도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한반도에 나타나는 황사는 주로 봄철(3-5월)이다. 최근 들어 가을철과 겨울철에도 빈번이 관측되고 있으나 본 연구의 사례기간과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봄철 황사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1904년 근대기상관측이 시작된 이래, 한반도에서 봄에 처음으로 관측된 황사는 1950년 3월 13일 추풍령에서였다.
  • 황사의 발원지는 연 강수량이 200 mm 이하의 건조 지역에서 발원되기 때문에 발원지에 대한 건조한 상태를 알아보았다. 1000 hPa 면의 상대습도 분포를 보면 황사가 발원된 22일에 몽골 동쪽과 내몽골 지역에서 10% 이하의 낮은 상대습도를 나타내어 건조한 지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동아시아에 나타난 황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월별로 보면, 3월에 26회, 4월에 23회, 5월에 17회로 5월의 황사는 3, 4월에 비해 드문 현상이다. 2010년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동아시아에 나타난 황사는 발원하여 이동하면서 한반도를 비껴 일본으로 갔다. 이 황사는 22일 몽골 및 중국 북부지역에서 강한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그 후면을 따라 남동진 하였고, 3일 뒤인 25일 일본에서 황사가 관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기간의 종관기상 분석, 기류의 이동 방향, 위성을 이용한 황사의 수평 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봄에 관측된 황사를 월별로 확인하면 몇 회인가?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봄에 관측된 황사는 모두 66회였다. 월별로 보면, 3월에 26회, 4월에 23회, 5월에 17회로 5월의 황사는 3, 4월에 비해 드문 현상이다. 2010년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동아시아에 나타난 황사는 발원하여 이동하면서 한반도를 비껴 일본으로 갔다.
황사의 발원지에는 무엇이 있는가? 매년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황사는 봄철인 3-5월에잘 발생한다. 황사의 발원지는 몽골고원, 중국과 몽골의 국경 부근의 고비사막, 중국 황토고원, 만주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지역에서는 한랭전선 후면 한기역에서 강한 바람에 의해 먼지 보라가 발생하며(정관영과 박순웅, 1995), 지면의 미세한 토사가 상승 기류에 의해 다량 상층으로 비산(飛散)하다가 침적되는데, 때로는 흙먼지가 상층 3-6 km에 까지 이르기도 한다(Iwasak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기상청, 2007, 위성자료를 이용한 황사분석편람 2007-12호. 기상청 지구환경위성과, 서울, 121 p. 

  2. 김학성, 정용승, 2009, 2005년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한 모래폭풍과 먼지침전(황사)의 관측. 한국지구과학회, 30, 196-209. 

  3. 손혜영, 김철희, 2009, 황사 발원지 기후자료의 시계열 특성과 부산지역 먼지 농도의 연관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0. 734-743. 

  4. 이동규, 김영아, 1997, 1980-1989년 북동아시아의 봄철 일기 유형 및 황사 현상과의 관계. 한국기상학회지, 33, 17-40. 

  5. 윤순창, 박경선, 1991, 등엔트로피 궤적에 의한 황사의 장거리 이동 경로 분석. 한국대기보전학회지, 7, 89-95. 

  6. 전영신, 김지영, 부경온, 김남욱, 2000, 겨울철 황사의 특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 487-497. 

  7. 전영신, 조경숙, 김영화, 이종국, 2003, 만주에서 발원한 황사 현상. 한국기상학회지, 39, 251-263. 

  8. 전종갑, 예상욱, 권민호, 정용승, 1999, 황사의 장거리 수송과 관련된 대기 순환 유형의 분류. 한국기상학회지, 35, 575-586. 

  9. 정관영, 박순웅, 1995, 한반도에 황사 출현시의 종관 기상 특징. 한국기상학회지, 31, 45-63. 

  10. 정병옥, 류찬수, 김종석, 반기성, 2006, 제트기류와 황사 발생과의 관계. 2006년 한국기상학회 봄철 학술대회 논문집, 330-331. 

  11. 홍성길, 1995, 기상분석과 일기예보. 교학연구사, 서울, 530 p. 

  12. Chung, Y.S., 1986, Air pollution detection by satellite. The transpot and deposition of air pollutants over oceans. Atmospheric Environment, 20, 617-630. 

  13. Chun, Y., Boo, K.-O., Kim, J., Park, S.-U., and Lee., M., 2001, Synopsis, transpor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in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6, 18461-18469. 

  14. Iwasaka, Y., 1987, Chemical-Physical processes of "KOSA" particle surface during long-range transport. Tenki, 34, 179-182. 

  15. Kenji, K., Xiao-Ning, X., and Atsushi, K., 1998,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long-range Transport of Dustsrorms in the East Asia. Journal of Arid land Studies, 8, 173-176. (in Japanese) 

  16. Tanaka, M., Shiobara, M., Nakajima, T., Yamano, M., and Arao., K., 1989, Aerosol optical characteristics in the yellow sand events observed in May, 1982 at Nagasaki: Part I. Observation. Journal of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67, 269-270. 

  17. Yoshion, M., 2002, Kosa (Asian Dust) Related to Asian Monsoon System. Korean Journal of Atmosphereic Sciences, 5, 93-100. 

  18. Yoshino, M., Yamamoto T., and Suzuki, J.,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rrence of Dust Events and Synoptic Climatological Condition in East Asia, 1999-2003. Journal of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85, 81-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