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경항통 환자에 대한 근위취혈과 원위취혈 침치료 효과 비교연구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Local Acupoints Compared with Distal Acupoints in Chronic Neck Pain Patients 원문보기

大韓鍼灸學會誌=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v.28 no.5, 2011년, pp.57 - 64  

김소정 (경희대학교 강남경희한방병원 침구과) ,  장진영 (경희대학교 강남경희한방병원 침구과) ,  김남식 (경희대학교 강남경희한방병원 침구과) ,  김용석 (경희대학교 강남경희한방병원 침구과) ,  남상수 (경희대학교 강남경희한방병원 침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icacy after acupuncture on local acupoints group and distal acupoints group for chronic neck pain. Design : A randomized, crossover clinical trial. Methods : From 15st, September 2010 to October 30th, 2010. 20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임상시험은 교차설계로 시행되어 완전히 다른 환자들로부터 관찰된 치료효과를 비교하는 병행설계에 비하여 치료효과의 변동 폭이 적어지는 효과를 얻 었으며, 각각의 침치료 전후에 1주간의 washout 기간을 두어 침치료의 잔류효과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만성 질환의 경우 질병의 자연 경과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침치료 직후의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이와 같은 효과를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4).
  • 이에 저자는 만성 경항통 환자를 대상으로 근위취혈과 원위취혈 침구치료의 효과를 상호 비교 관찰 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구치료에서 혈위의 선택 기준은 무엇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침구치료는 일정한 혈위를 통하여 진행되며 혈위의 선택과 배오는 치료상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혈위의 선택 기준은 크게 근위취혈과 원위취혈로 구분 할 수 있다. 임상에서 쓰이는 치료 혈위의 선택은 통일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각각의 효과 비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6).
만성 경항통에 속하는 질환에는 무엇이 있는가? 서양의학적으로 경추간판탈출증, 경추의 골관절염, 경부척추증, 척수종양, 사경증, 경부의 근과 건의 유통성 손상, 경부염좌, 경부의 신경성 긴장 등이 이 범위에 속하는데1) 만성 경항통에서 기질적 이상이 없는 경부 질환의 병리적인 원인은 명백하지 않지만 다양한 자세에서 머리를 고정시키기 위해 근수축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때 경부 근육의 약화로 인한 피로가 만성적인 경부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언급되고 있다3).
경항통이란 무엇인가? 최근 현대인의 정신적 스트레스와 컴퓨터 과사용 및 교통사고의 증가 등으로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질환 중 하나1)인 경항통은 경항부의 동통, 즉 목의 전후 좌우에 발생된 동통을 말하는데, 전체 인구의 67% 가량이 일생에 한 번 이상 경험하며 만성화되면 환자의 삶의 질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유영진, 선승호, 이연희, 최가영, 이선주, 이광호. 경항통 환자에 대한 경추 협척혈 치료 29례. 대한침구학회지. 2010 ; 27(4) : 239-45. 

  2. Wang WTJ, Oslon SL, Campbell AH, Hanten WP and Gleeson PB. Effectiveness of physical therapy for patients with neck: An individualized approach using a clinical decision-making algorithm. Am J Phys Med Rehabil. 2003 ; 82(3) : 203-18. 

  3. Viljanen M, Malmivaara A, Uitti J, Rinne M, Palmroos P and Laippala P. Effectiveness of dynamic muscle training, relaxation training, or ordinary activity for chronic neck pain: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03 ; 327(7413) : 475. 

  4. D Irnich, N Behrens, J M Gleditsch et al. Immediate effects of dry needling and acupuncture at distant points in chronic neck pain: results of a randomized, double-blind, sham-controlled crossovertrial. Pain. 2002 ; 99(1-2) : 83-9. 

  5. Eisenberg DM, Davis RB, Ettner SL, Appel S, Wilkey S, Van Rompay M, Kessler RC. Trends in alternative medicine use in the United States, 1990-1997: results of a follow-up national survey. J Am Med Assoc. 1998 ; 18 : 1569-75. 

  6. 박인식, 정찬영, 장만기, 강미숙, 이승우, 김은정, 이승덕, 김갑성.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근위취혈과 원위취혈 침 치료의 효과 비교에 대한 임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2) : 227-42. 

  7. 이휘용, 송범용, 육태한, 강지숙, 홍권의. 경항통 환자에 대한 원위취혈 및 근위취혈의 침치료 직후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6) : 183-92. 

  8. 김지현, 이경민, 임성철. 교통사고로 인한 편타성 손상 환자에 대한 원위취혈 및 근위취혈의 치료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2010 ; 16(2) : 159-66. 

  9. 이건목, 김도호, 김현욱, 조은희, 임병철, 김형수, 이재규, 이경희, 이건휘. 경항통 치료에 있어 T형 침도침 시술을 활용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4) : 191-6. 

  10. 이승덕. 경추통 환자에게 있어서 내경의 심자방법이 경추 전만의 각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6) : 195-207. 

  11. 한희철, 이상무, 황규선, 정형섭. 중자, 중선혈을 이용한 항통 치료의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1) : 46-53. 

  12. 이병열, 이현, 박태균. 경항통환자 50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9 ; 16(2) : 69-82. 

  13. 이은용, 이병렬. 항통을 주소 치료한 환자 25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8 ; 15(2) : 393-406. 

  14. 전재관, 이학인. 경항통 관한 임상적 고찰. 동서의학. 1998 ; 23(1) : 31-41. 

  15. 권순정, 송호섭. 경항통에 봉약침치료법이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4) : 76-84. 

  16. 김경태, 송호섭. 무작위 대조 이중맹검 시험을 통한 봉약침의 경항통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4) : 185-95. 

  17. 강영화, 김효은, 조명제, 김태우, 윤기붕, 김은영. 연부 조직 손상으로 인한 경항통 환자의 봉약침 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6) : 67-79. 

  18. 장소영, 차정호, 정기훈, 이태호, 황희상, 유정석, 이은용, 노정두. 편타 손상으로 인한 경항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약침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 ; 24(4) : 35-41. 

  19. 윤일지. 경항통 환자의 중성어혈약침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2007 ; 16(2) : 1-5. 

  20. 김관우. 사암침법 수상록. 1판. 대전 : 초락당. 2006 : 297, 333, 387. 

  21. 전국한의과대학 침구경혈학교실. 침구학(하). 서울 : 집문당 1993 : 1209-14. 1231-33. 

  22. Huskisson EC. Measurement of pain. Lancet. 1974 ; 2(7889) : 1127-31. 

  23. Vernon H, Mior S. The Neck Disability Index: a study of rehability and validity. J Manipulative Physil Ther. 1991 ; 14(7) : 409-15. 

  24. 이은우. 경통 환자 평가를 위한 Neck Disability Index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7 : 97-103. 

  25. Franca DL, Senna-Fernandes V, Cortez CM, Jackson MN, Bernardo-Filho M, Guimaraes MA. Tension neck syndrome treated by acupuncture combined with physiotherapy: a comparative clinical trial (pilot study). Complement Ther Med. 2008Oct ; 16(5): 268-77. 

  26. 이종석, 고동균, 김창환. 사관혈(四關穴) 에 대한 근거 및 임상적 의의. 대한침구학회지. 1992 ; 9(1) : 109-17. 

  27. 김관우. 사암침법 병증론. 1판. 대전 : 초락당. 2009 : 620, 623. 

  28. Conley MS, Meyer RA, Bloomberg JJ. Feeback DL, Dudley GA. Noninvasive analysis of human neck function. Pine. 1995 ; 20(23) : 2505-12. 

  29. Jull G, Kristjansson E. and Dall Alba P. Impairment in the cervical flexor: A comparison of whiplash and insidious onset neck pain patients. Manual Therapy. 2004 ; 9(2) : 89-94. 

  30. Gerr F, Marcus M, Ensor C, Kleinbaum D, Cohen S, Edwards A, et al. A propective study of computer users: a study design ans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symtoms and disorder. Am J Ind Med. 2002 ; 41 : 221-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