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동설화'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 복식 고증
A Study on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Leading Costume in 'Seodong Tale'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1 no.7, 2011년, pp.135 - 151  

김문자 (수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stume styles during the Silla(新羅), and Paekje dynasty[百濟] in 'Seodong tale'. In those days, costume form, color, pattern, and ornamen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presenting the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reviewi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동설화는 어느 시대에서 구비전승되었는가? ‘서동설화’는 신라와 고려시대에 구비전승 되다가 일연스님에 의해 『삼국유사』에 기록되었다. 1322년 사이에 초간 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1394년 중간되면서 개각(改刻)되었고 1512년(중종 7년) 간행된 정덕본은 80% 이상 보각(補刻)하여 간행하였는데, 현재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서동설화는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가? ‘서동설화’는 신라와 고려시대에 구비전승 되다가 일연스님에 의해 『삼국유사』에 기록되었다. 1322년 사이에 초간 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1394년 중간되면서 개각(改刻)되었고 1512년(중종 7년) 간행된 정덕본은 80% 이상 보각(補刻)하여 간행하였는데, 현재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무왕’조의 설화가 허구와 사실의 경계선이 모호하게 되어 있다고 본 이유는 무엇인가? ‘무왕’조의 설화는 민간에 유포된 민담에 일부 실재 인물들이 설정되어 허구와 사실의 경계선이 모호하게 되었다. 설화의 배경이나 환경이라는 점에서는 당시의 나 · 제간의 현실이 자리 잡고 있지만 사실 그 자체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변종형 (2010), 서동설화의 기록화 양상 연구, 배달말, 47, pp. 3-4. 

  2. 삼국유사 권2 武王〔古本作武康非也百濟無武康〕 자료검색일 2011. 3. 4, http://gate.dbmedia.co.kr/suwon/korea.asp?url_name삼국사기삼국유사 

  3. 김기흥 (2010), 서동설화의 역사적 진실, 역사학보, 205, pp. 184-185. 

  4. 김종진 (2004), 무왕설화의 형성과 서동요의 비평적 해석, 한국문학연구, 27. 

  5. 최용수 (1995), 서동설화와 서동요, 배달말, 20. 

  6. 김선숙 (2007) 삼국유사(三國遺事) 무왕조(武王條)의 서동설화(薯童設話)에 대한 검토, 동아시아문화연구(구 한국학논집), 42. 

  7. 김유미(2007), 여성국극에 나타난 대중 역사극의 한 양상 - 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3. 

  8. 삼국유사 권2 武王〔古本作武康非也百濟無武康〕 자료검색일 2011. 3. 4, http://gate.dbmedia.co.kr/suwon/korea.asp?url_name삼국사기삼국유사 

  9. 朝鮮?報社出版部편 (1985), 高句麗古墳壁畵, 東京:朝鮮?報社, 도판 83. 

  10. 리은창 (1978), 한국복식의 역사(고대편),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59. 

  11. 자료검색일 2011. 3. 2,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1880000,37 

  12. 천마총박굴조사보고 (1974), p. 92. 

  13. 이영훈, 신광섭 (2004), 고분미술 II, 서울: 솔출판사, p. 65. 

  14. 梅原末治(1924), 慶州金鈴塚飾履塚發掘調査報告 大正十三年朝鮮古蹟調査報告, pp. 70-72. 

  15. 김문자 (2008), 삼국시대 관모 및 관식 유물 가정을 위한 기준 설정, 복식 58(5), p. 30. 

  16. 朱?憲(1985), "高句麗壁畵古墳の被葬者について",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報社, p. 31. 

  17. 경주문화재연구소 편 (1993), 皇南大塚(南墳)發掘調査報告書(圖版?,圖面), 도판 12. 

  18. 천마총발굴조사보고서 (1974), pp. 101-102. 

  19. 경주문화재연구소 편 (1994), 皇南大塚(南墳)發掘調査報告書(本文), p. 95. 

  20. 천마총발굴조사보고서 (1974), p. 97. 

  21. 경주문화재연구소 편 (1994), 皇南大塚(南墳)發掘調査報告書(本文), p. 78. 

  22. 경주문화재연구소 편 (1994), 皇南大塚(南墳)發掘調査報告書(本文), p. 87. 

  23. 三國史記 卷 第三十三雜志 第二 色服條 

  24. 김문자 (2002), 백제관식에 대한 연구, 한복문화, 5(2), pp. 22-23. 

  25. 이진민, 남윤자, 조우현 (2001), 王會圖와 蕃客入朝圖에 묘사된 三國使臣의 服飾硏究, 복식, 51(3), pp. 156-157. 

  26. 서미영 (2006), 백제공복에 관한 연구, 복식, 56(8), p. 63. 

  27. 李弘稙(1965), 梁職貢圖論考"-特히 百濟國 使臣圖經을 中心으로, 고대창립 60주년기념논문집, pp. 295-325. 

  28. 崔孟植(1998), 陵山里 백제고분 출토 裝飾具에 관한 一考, 백제문화, 27, p. 160. 

  29. 崔孟植(1998), 陵山里 백제고분 출토 裝飾具에 관한 一考, 백제문화, 27, p. 159. 

  30. 서미영 (2006), 백제공복에 관한 연구, 복식, 56(8), p. 69. 

  31. 국립부여박물관 (2005), 백제인과 복식,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pp. 153-154. 

  3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편 (1985), 皇南大塚 I(北墳)發掘調査報告書, p. 77. 

  33. 김문자 (2008), 삼국시대 관모 및 관식 유물 가정을 위한 기준 설정, 복식 58(5), p. 21. 

  34. 유희경, 김문자 (2004),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35. 

  35. 이한상 (2004), 황금의 나라 신라, 서울: 김영사, pp. 173-174. 

  36. 자료검색일 2011. 3. 4,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1,00900000,11 

  37. 천마총발굴조사보고 (1974), pp. 98-99. 

  38. 이한상 (2004), 황금의 나라 신라, 서울: 김영사, pp. 33. 

  39. 자료검색일 2011. 5. 3,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4540000,11 

  40. 유희경, 김문자 (2004),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96. 

  41. 국립부여박물관 (2005), 백제인과 복식,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pp. 95. 

  42. 김문자 (2008), 삼국시대 관모 및 관식 유물 가정을 위한 기준 설정, 복식 58(5), p. 25. 

  43. 국립부여박물관 (2005), 백제인과 복식,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pp. 124. 

  44. 자료검색일 2011. 5. 4, http://www.heritage.go.kr/culture_2008/kor/search/pop_search_view.jsp?pkPS01001004001000635000AE 

  45. 자료검색일 2011. 5. 5,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1,01580000,34&mcKS_01_02_01 

  46. '은제 팔찌', 자료검색일 2011. 6. 2,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1,01600000,34&imgfnamea0160000034003.jpg&dirnamenational_treasure&photoname은제팔찌(왕비)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