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 조사 자료의 공간 보간을 위한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범주형 자료의 통합
Integration of Categorical Data using Multivariate Kriging for Spatial Interpolation of Ground Survey Data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19 no.4, 2011년, pp.81 - 89  

박노욱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에서는 공간적으로 소수의 지점에서 획득된 현장 조사 자료의 공간 보간 과정에 범주형 자료를 결합하는 다변량 크리깅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범주형 자료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기존 범주형 자료의 속성별로 대푯값을 할당하는 단일 지역 평균 기반의 단순 크리깅 방식 대신에, 영역-점 변환 크리깅을 이용하여 원하는 해상도로 상세화시킨 추정값을 가변적 지역 평균으로 이용하였다. 지화학 원소 구리의 공간 보간지질도를 이용하는 사례연구를 통해 제안 기법을 예시하였다. 교차 검증 결과, 제안 기법이 단변량 정규 크리깅과 기존 단일 지역 평균 기반의 단순 크리깅 기법에 비해 각각 15%와 25%의 예측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범주형 자료를 부가 자료로 이용하는 공간 보간에 이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a multivariate kriging algorithm that integrates categorical data as secondary data for spatial interpolation of sparsely sampled ground survey data. Instead of using constant mean values in each attribute of categorical data, disaggregated local mean values at target grid poi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현장 조사 자료의 공간 보간을 위해 범주형 자료를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다변량 크리깅 기법을 제인하고자 한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기존 범주형 자료의 각 속성별로 단일 대푯값을 부여하는 방식을 보완하기 위해 범주형 주제도의 상세화(disaggregation)와 결합된 다변량 크리깅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범주형 주제도의 각 속성별로 현장 조사 자료의 평균값을 계산한 후에, 이 값들에 대해 영역-점 변환 크리깅(area-to-point kriging, [7])을 적용하여 속성의 폴리곤 내부에서 값이 변하는 지역 평균을 유추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제안한 다변량 크리깅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예시하기 위해 강원도 태백산 광화대 호명도폭([16])내의 177개 지점에서 획득된 하상 퇴적물의 구리(Cu) 성분 자료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범주형 주제도로는 수치 지질도 강릉 도폭을 이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현장 조사 자료의 공간 보간을 위해 범주형 자료를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다변량 크리깅 기법을 제인하고자 한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기존 범주형 자료의 각 속성별로 단일 대푯값을 부여하는 방식을 보완하기 위해 범주형 주제도의 상세화(disaggregation)와 결합된 다변량 크리깅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크리깅이란 무엇인가? 대표적인 방법론으로는 거리역비례 가중치법(inverse distance weighting), 지역 경향면 모델(local trend surface model), 불규칙 삼각망(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크리깅(kriging) 등 다양하다[11, 15]. 이 중 크리깅은 공간 보간 과정에 샘플 자료와 보간 위치의 공간적 자기상관성 정보를 직접적으로 가중치 결정에 사용하는 고급 보간 기법에 해당된다[3].
오차 전파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최대한 신뢰성 높은 공간 보간 결과를 얻어야 하는 근거는? 현장의 많은 지점에서 자료를 획득하게 되면 공간 보간에 수반되는 오차를 줄일 수 있지만, 시간, 비용 등의 측면에서 항상 많은 현장 조사 자료 획득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공간 보간을 거친 주제도는 응용 목적에 따라 이를 입력 자료로 사용하는 이후 분석에 직접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자료가 획득되지 않은 지점에서의 값 예측에 수반되는 불확실성 혹은 오차는 이후 분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 전파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최대한 신뢰성 높은 공간 보간 결과를 얻어야 한다.
공간 보간에 활용되는 방법론은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공간 보간과 관련하여 많은 기법들이 제안되었으며, 상용/비상용 GIS 소프트웨어에 그 방법론들이 포함되어 공간 보간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론으로는 거리역비례 가중치법(inverse distance weighting), 지역 경향면 모델(local trend surface model), 불규칙 삼각망(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크리깅(kriging) 등 다양하다[11, 15]. 이 중 크리깅은 공간 보간 과정에 샘플 자료와 보간 위치의 공간적 자기상관성 정보를 직접적으로 가중치 결정에 사용하는 고급 보간 기법에 해당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P. Chiles and P. Delfiner, 1999, Geostatistics: Modeling Spatial Uncertainty, p. 720, Wiley- Interscience, New York. 

  2. C. V. Deutsch and A. G. Journel, 1998, GSLIB: Geostatistical Software Library and User's Guide, 2nd Ed., p. 369,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 P. Goovaerts, 1997, Geostatistics for Natural Resources Evaluation, p. 483,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4. P. Goovaerts, 2000, "Geostatistical approaches for incorporating elevation into the spatial interpolation of rainfall," Journal of Hydrology, vol. 228, no. 1-2, pp. 113-129. 

  5. P. Goovaerts and A. G. Journel, 1995, "Integrating soil map information in modelling the spatial variation of continuous soil properties," European Journal of Soil Science, vol. 46, no. 3, pp. 397-414. 

  6. A. G. Journel and C. J. Huijbregts, 1978, Mining Geostatistics, p. 600, Academic Press, New Jersey. 

  7. P. C. Kyriakidis, 2004, "A geostatistical framework for area-to-point spatial interpolation," Geographical Analysis, vol. 36, no. 3, pp. 259- 289. 

  8. E. Pardo-Iguzquiza, 1999, "VARFIT: a Fortran- 77 program for fitting variogram models by weighted least squares", Computers & Geosciences, vol. 25, no. 3, pp. 251-261. 

  9. N.-W. Park, D.-H. Jang and K.-H. Chi, 2009, "Integration of IKONOS imagery for geostatistical geostatistical mapping of sediment grain size at Baramarae beac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0, no. 21, pp. 5703-5724. 

  10. D. Patriarche, M. C. Castro and P. Goovaerts, 2005, "Estimating regional hydraulic conductivity fields - a comparative study of geostatistical methods," Mathematical Geology, vol. 37, no. 6, pp. 587-613. 

  11. 김두식, 원지혜, 김혜인, 김경희, 박관동, 2010, "기상자료 보간에 의한 GPS기반 가강수량 산출 정확도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4호, pp. 33-41. 

  12. 박노욱, 장동호, 2008, "수치표고모델과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대한지리학회지, 제43권, 제6호, pp. 1002-1015. 

  13. 오석훈, 2005, "암반등급 해석을 위한 비선형 지시자 변환과 3차원 크리깅 기술의 물리탐사 및 시추자료에 대한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제26권, 제 5호, pp. 429-435. 

  14. 정상용, 이강근, 1995, "난지도 매립지 일대의 지하수위 분포 추정을 위한 복합 크리깅의 응용," 지하수환경, 제2권, 제2호, pp. 58-63. 

  15. 조홍래, 정종철, 2006,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한국GIS학회지, 제14권, 제1호, pp. 29-41. 

  16. 진명식, 이진수, 김성재, 이취영, 1983, 태백산 광화대 호명 도폭 지화학도,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