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건강근로자효과의 최소화 방안과 보정 방법
Methods to Minimize or Adjust for Healthy Worker Effect in Occupational Epidemiology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7 no.5, 2011년, pp.342 - 347  

이경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전재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박동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이원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lthy worker effect (HWE) refers to the consistent tendency for actively employed individuals to have a more favorable mortality experience than the population at large. Although HWE has been well known since the 1970s, only a few studies in occupational epidemiology have attempted to fully defin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건강근로자효과의 구성요소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미리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과, 이미 건강근로자효과를 포함하고 있는 자료에 적용할 수 있는 통계적 보정 방법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건강근로자효과가 나타난 몇 가지 사례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근로자효과의 구성요소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미리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과, 이미 건강근로자효과를 포함하고 있는 자료에 적용할 수 있는 통계적 보정 방법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건강근로자효과가 나타난 몇 가지 사례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 현재에도 특정 직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표준화 사망비 연구를 수행할 때 건강근로자효과를 보정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지 않고 단순히 일반인과 비교한 사망비를 제시하는 것에 머무는 연구가 다수를 차지한다. 이에 본 고찰논문에 서는 최근의 표준화 사망비 연구에 건강근로자 효과가 얼마나 개입되어 있는지를 두 가지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 이상으로 건강근로자효과의 의미와 구성요소, 건강근로자효과의 크기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고, 건강근로자 고용효과 및 건강근로자 생존효과를 최소화하거나 보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알아보았으며, 두 가지 예를 들어 건강근로자효과가 개입되어 있는 연구 결과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근로자효과의 정의는? 건강근로자효과는 ‘일반 인구와 비교할 때, 특정 직업을 가지는 인구 집단의 사망 수준이나 질병 수준이 훨씬 더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최초로 이러한 효과가 언급된 것은 1885년 Ogle에 의해서이며, McMichael이 1974년에 ‘healthy worker effect’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건강근로자효과는 어떠한 요소에 의한 효과의 종합적인 결과인가? 건강근로자효과는 건강근로자 고용효과(healthy hire effect, HHE), 건강근로자 생존효과(healthy worker survivor effect, HWSE)와 같이 몇 가지 요소에 의한 효과의 종합적인 결과로 볼 수 있다(Fig. 1).
건강근로자효과가 최초로 언급된 것과 사용된 시기는 언제 누구에 의해서인가? 건강근로자효과는 ‘일반 인구와 비교할 때, 특정 직업을 가지는 인구 집단의 사망 수준이나 질병 수준이 훨씬 더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최초로 이러한 효과가 언급된 것은 1885년 Ogle에 의해서이며, McMichael이 1974년에 ‘healthy worker effect’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주로 사망률을 비교하는 연구에서 주로 언급되기 시작하였으나 사망률(mortality)뿐만 아니라 질병의 발생률(incidence)까지 확장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rrighi HM, Hertz-Picciotto I. The evolving concept of the healthy worker survivor effect. Epidemiology. 1994; 5(2): 189-196. 

  2. Arrighi HM, Hertz-Picciotto I. Controlling the healthy worker survivor effect: an example of arsenic exposure and respiratory cancer. Occup Environ Med. 1996; 53(7): 455-462. 

  3. Boice JD Jr, Marano DE, Munro HM, Chadda BK, Signorello LB, Tarone RE, Blot WJ, McLaughlin JK. Cancer mortality among US workers employed in semiconductor wafer fabrication. J Occup Environ Med. 2010; 52(11): 1082-1097. 

  4. Fox AJ, Collier PF. Low mortality rates in industrial cohort studies due to selection for work and survival in the industry. Br J Prev Soc Med. 1976; 30: 225-230. 

  5. Gilbert ES. Some confounding factors in the study of mortality and occupational exposures. Am J Epidemiol. 1982; 116(1): 177-188. 

  6. Lee HE, Kim EA, Park J, Kang SK. Cancer mortality and incidence in Korean semiconductor workers. Saf Health Work. 2011; 2: 135-147. 

  7. Lea CS, Hertz-Picciotto I, Andersen A, Chang- Claude J, Olsen JH, Pesatori AC, Teppo L, Westerholm P, Winter PD, Boffetta P. Gender differences in the healthy worker effect among synthetic vitreous fiber workers. Am J Epidemiol. 1999; 150(10): 1099-1106. 

  8. Robins JM, Blevins D, Ritter G, Wulfsohn M. Gestimation of the effect of prophylaxis therapy for 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 on the AIDS patients. Epidemiology. 1992; 3: 319-336. 

  9. Robins J. A new approach to causal inference in mortality studies with a sustained exposure period Application to control of the healthy worker survival effect. Mathematical Modeling. 1986; 7: 1393- 1512. 

  10. Supercourse. Healthy Worker Effect (HWE) Part I. http://www.pitt.edu/-super1/lecture/lec9641/index.htm 

  11. Supercourse. Healthy Worker Effect (HWE) Part II. http://www.pitt.edu/-super1/lecture/lec9651/index.htm 

  12. Waggoner JK, Kullman GJ, Henneberger PK, Umbach DM, Blair A, Alavanja MC, Kamel F, Lynch CF, Knott C, London SJ, Hines CJ, Thomas KW, Sandler DP, Lubin JH, Beane Freeman LE, Hoppin JA. Mortality in the agricultural health study, 1993-2007. Am J Epidemiol. 2011; 173(1): 71-83. 

  13. Yonsei medical center, Ministry of patriots & veterans Affairs. Final Report of Defoliant (Agent Orang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2006. 

  14. Nam CM, Kim JH, Kang DR, Ann YS, Lee HY, Lee DH. A Study on Statistical Method for Controlling the Effect of Intermediate Events: Application to the Control of the Healthy Worker Effect. Epidemiol. Health. 2002; 24: 7-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